한국   대만   중국   일본 
折衷主義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折衷主義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折衷主義 (折衷主義)란 各種 思想 가운데 眞理라고 여겨지는 內容을 折衷하고 調和함으로써 學說을 만들어가는 思想 或은 傾向을 의미한다. 3世紀 알렉산드리아 學派 , 17世紀 後半/18世紀 初 라이프니츠 의 學說, 19世紀 初/中盤 쿠쟁 ( fr )의 學派가 代表的인 例라고 할 수 있다. [1] 折衷主義는 서로 다른 體系들 사이의 矛盾을 解決하지 않은 채 남겨놓기 때문에, 서로 다른 體系들을 融合하거나 結合하려 하는 混合主義 와는 다르다.

헬레니즘 哲學 [ 編輯 ]

紀元前 2世紀頃부터 處世上의 指針을 附與하는 것을 目的으로 한 一種의 핸드북과 같은 것이 流行되었다고 傳해지는데 各 學派의 關心이 漸次로 獨自的 思想을 展開하는 것보다 오히려 一般 사람들의 敎化에 힘쓰게 되었다는 것을 反映한다. 더욱이 이 背後에는 當時 各 學派에게 이미 獨創性을 標榜하지 못하게 되는 事情이 있었다. 그 때문에 各 學派는 學祖(學祖)라고도 할 人物로 還歸하여 再解釋(再解釋)으로 시종하든가 또는 通俗哲學에 徹底하든가 두 가지 길 以外에는 學派의 存在 意義를 發見하고 存續을 꾀할 수가 없게 되었다.
通俗哲學으로의 길을 더듬게 된 데에는 文化의 中心舞臺가 로마로 옮겨감에 따라 로마의 現實的인 國民性에 따라, 各 學派는 勢力을 擴張하기 위해서는 嚴密·抽象的인 理論을 展開하는 것보다 오히려 現實에 對한 各各의 信奉하는 思想的 有效性, 適切性을 力說할 必要가 있었음을 생각할 수 있다. 以上 두 가지 길 中 어느 것을 擇할 것인가에 關해서는 各 學派間에 程度의 差異가 엿보이며, 또 同一 學派 內에서도 그것을 둘러싸고 分裂이 생기는 境遇가 있었다.

假令 ' 아카데메이아 '의 境遇 플라톤으로 돌아가 그것에 忠實하려고 하는 그룹(플라토니코이=플라톤 一問) [2] 과의 對立이 일어났다. 이러한 風潮와 더불어 各 學派는 漸次 變質하여 從來의 學派間의 限界가 解體되는 結果가 빚어졌다. 그리고 各 學派는 各自의 敎說(敎說)의 起源을 되도록 옛날로 溯及하여 거기서 權威를 求하려 하였다.

哲學者는 어떠한 意見을 펼 때에는 언제나 苦戰을 參照하여 典據로 삼으려 했다. 그 結果 紀元前 2世紀頃부터 過去 哲學者의 敎說을 集成한 '學說地(學說誌)'나 플라톤 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註解·全集의 編輯과 같은 活動이 盛行했다. 哲學 分野 以外에도 마르쿠스 바로 와 같이 로마의 宗敎·社會制度·言語·慣習과 같은 모든 分野에 關한 故事來歷(古事來歷)을 集成·考證한 百科全書的 著述家가 出現하고 있다.

折衷主義는 이와 같은 少尉 上告主義(尙古主義)라고도 할 風潮와 表裏 關係에 있다. 折衷主義의 具體的 內容은 各 學派에 따라 다른데, 如何튼 自己 學派의 思想을 中心으로 다른 學派의 思想을 吸收, 折衷하려 하고 있다. 그 根底에는 學派間의 差異는 名目的인 것에 지나지 않고 結局은 하나의 根源으로 還元되어 根本이 一致한다는 上告主義的 發想이 있게 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論理學을 利用하여 플라톤의 2原論的 世界觀에 스토아 學派 의 倫理學을 엮어 넣으려고 한 後期 아카데메이아 , 特히 아스칼론의 안티오코스 ( el )는 當時 折衷主義의 典型을 나타낸다. 그의 弟子 키케로 는 《아카데미카》 , 《最高의 善과 惡에 關하여》 等의 著作 가운데서 스승의 說을 紹介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생각은 極端的인 境遇 但只 當時 第 學派間의 學說上 差異를 折衷, 解消해 버릴 뿐만 아니라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사이의 根本的 對立마저도 소멸시켜 後者를 電子 속에 全的으로 還元시키는 試圖조차 行해지고 있다.

플라톤의 思想을 中心으로 다른 여러 가지 思想을 折衝化하려는 傾向은 아카데메이아 뿐만 아니라 中期 以後의 스토아 學派 에도 엿보이고, 後日 紀元 1世紀 後半頃에 플루타르코스 等에서 볼 수 있는 플라톤주의의 復興이라고도 할 現象으로 繼承되어, 3-4世紀의 ' 신플라톤주의 '에서 體系化되고 結實을 보았다.

다른 한便 아리스토텔레스를 中心으로 여러 思想을 折衝化하려는 試圖가 없는 것은 아니다. 갈레노스 는 本是 膽汁·粘液과 온·냉·한·난의 짝지음에 依해 獨特한 病因論(病因論)을 展開한 醫學者였다. 그리고 醫學論의 立場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學說에 對한 共感과 스토아에 對한 反感을 품고, 《히포크라테스와 플라톤의 學說에 關하여》, 《율리아노스 反論: Against Julianus》 等의 著作 속에 여러 사람의 學說을 引用하면서 獨自的 折衷主義를 展開하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時事常識編輯部, 《SPA 綜合敎養》, 박문각, 2009年, p.582
  2. ‘Platonists’(platonikoi): http://www.taylorfrancis.com/books/e/9781351716048/chapters/10.4324%2F9781315179339-18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