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임寓話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임寓話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임寓話 (林遇華, ?-?)는 壬辰倭亂 때의 義兵將 강희보 (姜希輔)의 部下로 있었다. 여러 가지 冊을 많이 읽어 剝蝕하고 또 膽略을 갖춰 將帥들이 그에게 묻고 處理하는 일이 많았다고 한다.

第2次 晉州城 戰鬪 때 9萬 3千餘 名의 日本軍이 晉州城을 包圍하여 쉴새없이 攻擊을 해오자, 陰曆 6月 22日 강희보는 倡義使(倡義使) 김천일 (金千鎰)에게 建議하여 援軍을 要請할 사람을 보내자고 했고, 이 建議가 받아들여져 임寓話가 性을 빠져나가 救援兵을 請하러 가게 되었다.

霖雨化는 밤을 틈타 城壁을 내려가 敵陣을 빠져나가려 했으나 5里도 가지 못하고 日本軍에게 붙잡혔다. 日本軍은 林寓話를 降伏시키려 했으나 林寓話가 끝까지 拒否하자, 그 다음 攻擊부터는 임寓話를 묶은 채 맨 앞에 내세워 晉州城 사람들의 士氣를 떨어뜨리려고 했다.

1593年 陰曆 6月 29日 城이 陷落된 後 陰曆 7月 2日 日本軍은 自身들의 被害도 컸기 때문에 全羅道 로 進軍하지 못하고 돌아갔는데 이날 밤에 日本軍 陣營을 빠져나왔다. 안방준 1595年 光陽 에 있던 林寓話를 찾아가《 隱峯野史別錄 》의 <진주서사(晋州敍事)>를 그의 陳述을 바탕으로 썼는데, 以後 몇 年 後에 죽었다고 傳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