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立 音樂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인디 밴드 에서 넘어옴)

獨立 音樂 (獨立音樂) 또는 인디 音樂 ( 英語 : Independent music, indie )은 音盤의 製作, 流通, 弘報를 他人의 資本에 依存하지 않고, 스스로 資本과 스스로의 힘으로 製作, 流通, 弘報하는 뮤지션의 音樂을 말한다.

인디 뮤지션은 크게 2가지 形態로 나뉘는데 于先 아예 所屬된 레이블(음반사, 企劃社, 製作者)李 따로 없이 모든 것을 스스로 하는 形態가 있고, 所屬된 레이블이 있더라도 音盤 製作 [1] 은 音樂家 스스로 解決하며 團地 流通, 스케줄 管理, 公演 企劃 等만을 奇劃社가 도와주는 形態가 있다.

한便 大韓民國에서는 인디 音樂을 언더그라운드에서 活動하는 뮤지션의 音樂 또는 非主流 音樂(特히 포크 音樂)을 하는 뮤지션의 音樂으로 잘못 알고 使用하는 境遇가 많다.

인디 레이블 [ 編輯 ]

獨立 音盤社 또는 인디 레코드 레이블은 大衆音樂의 發展에 寄與하였다. 美國 선 레코드社 같은 音盤社는 世界大戰 以後로 거슬러 올라간다. [2]

英國 에서는 1950年代와 1960年代 동안에 메이저 音盤社들이 너무 큰 힘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獨立 音盤社들이 設立하기 어려웠다. 몇몇 英國의 音盤製作者와 아티스트들이 獨立 音盤社를 設立하였는데, 그들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와 그들 作業의 房出口 役割을 하였다. 그러나 大部分은 商業的인 試圖로 失敗하거나 메이저 音盤社들에게 蠶食되었다. [2]

펑크 록 時代에는 獨立 音盤社의 過剩이 나타났다. [2] 英國 인디 차트는 1980年代 처음으로 登場하였고, 獨立 配給網은 1970年代 後半 以後에 보다 組織化/體系化되었다. [3]

韓國의 인디 레이블은 1994年 처음 서교동에 門을 연 클럽 '드럭'을 韓國 最初의 인디 레이블로 看做한다 [4] . 펑크록 클럽으로 始作을 한 드럭은 '크라잉넛', '盧브레인', '위퍼'等의 1世代 인디 스타들을 키워낸 最初의 라이브 클럽이자 인디 레이블이다. 90年代 後半에 접어들면서 많은 레이블이 誕生을 한다. 石器 時代 레이블, 쌈지, 비트볼 레코드, 힙합을 爲主로 하는 마스터 플랜 等이 모두 1990年代 後半에 誕生하게 된다. 그리고 2000年代에 접어들면서 밴드 '델리스파이스'의 리더인 '김민규'가 直接 만든 레이블인 '門라이즈'레이블이 誕生한다. 뮤지션 스스로가 만든 最初의 小規模 레이블이라 볼 수 있다. 元來 自己 自身의 솔로 音盤을 내기 위해 만들어진 레이블이었지만 以後 토마스 쿡, 전자양 等의 뮤지션들이 合流를 하면서 旣存의 인디 레이블과는 다른 領域을 構築해 나가기 始作한다. [5]

인디와 技術 [ 編輯 ]

인터넷 技術은 아티스트들이 그들의 音樂을 潛在的인 수많은 需用者들에게 낮은 費用으로 메이저 音盤社의 도움없이 紹介 할 수 있게 한다. [6] 디지털 音樂 소프트웨어는 새로운 音樂의 出現을 促進한다. 보다 많은 音樂 資料를 提供하는 웹사이트들이 가장 成功하게 되며, 이러한 契機로 인디 밴드들은 많은 機會들을 갖는다. 디지털 서비스의 著作權은 輸入의 重要한 源泉이 되고, 萬若 어떤 아티스트가 音盤의 錄音, 製作, 弘報의 費用을 이미 支拂하였다면, 온라인을 통하여 그들의 音樂을 配布하는데는 費用이 全혀 들지 않는다. [7] 디지털 서비스는 새로운 팬들에게 露出될 機會를 提供하고, 온라인 商店을 통하여 販賣를 增加할 수 있는 機會를 높이게 한다. 音樂이 온라인에서 利用될 수 있게 製作된다면, 아티스트들은 보다 자주 그리고 빠르게 音樂을 流布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티스트들은 - 傳統的인 方式으로는 製作費가 많이 들었던 - 限定版, 絶版의 再發賣, 또는 라이브 앨범 等을 發表할 수 있는 옵션을 갖게 된다.

새롭고 比較的으로 低廉한 錄音 裝備와 樂器의 登場과 함께, 보다 많은 個人들이 그 어느때 보다 音樂의 創作에 參與할 수 있게 되었다. 스튜디오 使用은 매우 費用이 많이 들고, 求하기 어렵다. 新技術은 누구나 스튜디오 品質의 音樂을 自身의 집에서 만들어 낼 수 있게 하였며, 新技術의 發展은 보다 많은 사운드의 實驗을 할 수 있게 한다. [8] 아티스트는 비싼 스튜디오를 使用할 때 發生되는 費用의 支出없이도 實驗的인 音樂을 試圖 할 수 있게 되었다.

많은 아티스트들은 自身만의 웹사이트를 管理한다. 거기에는 마이스페이스 ( Myspace.com )와 같은 사이트도 包含된다. 揭示板 , 音樂 블로그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s)와 같은 技術的 進步 또한 獨立 音樂 會社들이 그들의 事業擴張을 위하여 利用된다. [9] 어떤 사이트들은 訪問者들이 밴드를 評點을 주는 데에 焦點이 두며, 이러한 方式은 音樂 愛好家들이 밴드의 成功에 큰 影響을 주게 된다. 이것은 音盤 産業에서 가장 費用이 드는 部分 中 하나였던, 新人의 發掘과 開發 部分을 最少化하게 한다. 또 다른 사이트들은 아티스트들이 그들의 音樂을 올릴 수 있게 하고, 直接 選擇한 價格으로 販賣한다. [10] 사이트 訪問者들은 장르에 따라 曲들을 閱覽하고, 無料로 샘플 音樂을 듣고, 아티스트의 情報를 보고, 願하는 曲들을 購買할 수 있다. 윌코 와 같은 境遇는 새앨범을 出市하기 前에 인터넷에서 스트리밍하여 들을 수 있도록 만들었다. [11]

많은 밴드들은 音盤社를 버리는 代身에 音樂을 인터넷에서만 配布하고 販賣한다. 시디베이비(CDBaby), 메그羅튠(Magnatune), 아이튠즈 (iTunes)와 같은 디지털 마케팅 會社들은 포드캐스트 (podcast)와 같은 서비스로 製作, 弘報, 비디오 호스팅과 같은 서비스를 提供한다. 디지털 配布의 境遇에는 音樂家가 會社에게 音樂의 配布權을 빌려주는 形式을 갖는다. 契約은 大部分 獨占的이지 않으며, 權利는 一般的으로 아티스트가 가지고 있는다. 이러한 契約의 非獨占性은 많은 아티스트들이 그들의 洞內에 있는 獨立 音盤 商店을 통하여 直接 販賣를 繼續하면서도 온라인에 남아있도록 한다.

보다 最近의 傾向은 아티스트들이 無料로 音樂을 나누어 주는 方式이 눈에 띄는데, 이와 같은 境遇는 라디오헤드 의 2007年 앨범 《 In Rainbows [12] , 고! 팀 의 싱글 "밀크 크라이시스(Milk Crisis)", 그리고 나인 인치 네일스 의 트렌트 레즈너가 2008年 發表한 앨범 《Ghosts I-IV》 [13] 와 《The Slip》 [14] 等이 있다.

各州 [ 編輯 ]

  1. 製作에 드는 費用 亦是 뮤지션이 스스로 解決한다
  2. Rogan, Johnny (1992) "Introduction" in The Guinness Who's Who of Indie and New Wave Music , Guinness Publishing, ISBN   0-85112-579-4
  3. Lazell, Barry (1997) "Indie Hits 1980-1989", Cherry Red Books, ISBN   0-9517206-9-4
  4. “韓國의 인디레이블9 - 드럭레코드” . 《京鄕新聞》. 2008.09.03 14:39:03.  
  5. “韓國의 인디레이블 37 - 門라이즈, 文化史基壇” . 《京鄕新聞》. 2009.02.11 14:44:32.  
  6. Leyshon, Andrew, et al. "On the Reproduction of the Music Industry After the Internet." Media, Culture, and Society , Vol. 27. 177-209.
  7. "An Independent's Guide to Digital Music." [1] Archived 2010年 1月 2日 - 웨이백 머신 .
  8. Hesmondhalgh, David. "Indie: The Institutional Politics and Aesthetics of a Popular Music Genre." Cultural Studies , Vol. 13, Issue 1, 1999. 34-61. ISSN [0950-2386].
  9. Leeds, Jeff. "Independent music on move with internet." January 10, 2006.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 .
  10. Pfahl, Michael. "Giving Away Music to Make Money: Independent Musicians on the Internet." <www.firstmonday.org>.
  11. Mansfield, Brian. "When Free is Profitable." USA Today. May 20, 2004. [3] .
  12. "Radiohead challenges labels with free album" Archived 2008年 7月 31日 - 웨이백 머신 By Angela Monaghan. The Telegraph
  13. Ghosts website” . 2012年 2月 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2月 8日에 確認함 .  
  14. The Slip website” . 2012年 2月 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6月 21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