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탕개의 亂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이탕개 에서 넘어옴)

니탕개의 亂
날짜 1583年 1月 28日 ~ 7月 19日
場所
朝鮮 咸鏡道 六鎭 一帶와 豆滿江 北쪽 一部
結果 朝鮮의 勝利
交戰國
朝鮮 野人餘震
指揮官
金睟
정언신
申砬
이일
李舜臣
김시민
利用
니탕개   ?
율보리   ?
禹乙機內
마니응개
이창종個
兵力
2 ~ 3萬 餘名

니탕개의 亂 (尼湯介 ── 亂)은 1583年 朝鮮 6陣 會寧 地方에서 野人餘震 의 니탕개가 일으킨 亂이다. 이는 壬辰倭亂 直前 朝鮮이 直面한 最大 規模의 戰亂이였으며, 朝鮮은 이 以後 問題로 擧論된 여러 防衛 體制를 再檢討하여 鎭管 體制 에서 制勝方略 으로 轉換하게 되는 契機가 되었다.

槪要 [ 編輯 ]

니탕개(尼湯介)는 自身의 不足 等을 糾合해 大規模로 牙山步(阿山堡)와 경원진(慶源鎭) 一帶를 侵入했다. 當時 朝鮮의 邊方 장수들의 橫暴와 女眞族 內部의 勢力 다툼이 原因이었다. 니탕개와 朝鮮의 戰鬪는 長長 7個月 동안 進行되었다. 當時 니탕개 勢力의 規模는 最大 3萬餘 名에 達했다. 그리고 戰鬪의 過程에서는 兩軍의 衝突뿐만 아니라 外交的 交涉이 進行되기도 했다. 하지만 外交的 交涉은 朝鮮과 니탕개 兩側에서 願하는 바를 同時에 達成할 수 있는 方案을 導出하지 못했다. 結局 니탕개軍은 방원步(防垣堡) 戰鬪에서 朝鮮軍에 크게 敗北했다. 방원步 戰鬪를 마지막으로 니탕개의 亂은 終了되었다.

歷史的 背景 [ 編輯 ]

朝鮮은 世宗 時期의 北方 開拓 以後에도 持續的으로 咸鏡道 쪽 防衛에 神經을 써 왔다. 4軍 6陣 中 維持의 어려움으로 인해 4軍을 廢한 以後에도(폐사군) 豆滿江 流域의 6陣의 防衛에 있어서는 매우 斷乎한 態度를 보여왔다. 그러나 李施愛의 亂 과 以後 벌어진 搖動의 建州 여진 討伐 以後부터 建州 餘震과의 朝貢 關係가 끊어졌고, 中宗 代 以後 해서 餘震 및 野人 餘震과의 朝貢 關係도 斷絶되어 女眞族에 對한 情勢를 圓滑하게 把握할 수 없었다.

니탕개의 亂이 일어나던 1583年 은 이러한 누르하치 가 本格的으로 女眞族 內에서의 勢力 다툼에 參與한 時期로, 明나라 의 莫大한 支援을 받던 누르하치의 勢力 膨脹은 女眞族들 內部의 情勢를 크게 변화시켰다. 그 過程에서 朝鮮 近處에 居住하던 一部 番號들은 마침 몰아닥친 凶年 으로 인한 食糧 不足과 勢力 다툼 等을 理由로 勢力을 結集하여 朝鮮을 攻擊할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進行過程 [ 編輯 ]

1次 轉役(1月 28日 ~ 2月 16日) - 경원진 轉役 [ 編輯 ]

1月 28日, 女眞族 勢力은 1萬餘名에 達하는 麾下 部族들을 이끌고 경원진을 攻擊한다. 當時 경원진 一帶의 朝鮮軍 防衛 前歷은 435名 程度로 推定된다. 當然히 朝鮮軍은 相對가 될수 없어 守城展 에 專念할 수밖엔 없었다. 그러나 慶源 府使 김수와 안원보 判官 兩社의는 제各各 防衛 區域을 定하고 防禦戰에 들어가나 序文을 맡았던 前 萬戶 이봉수가 女眞族 軍勢의 規模를 보고 달아나는 바람에 序文이 突破당했고 性 大部分이 약탈당하게 된다. 그래도 武器庫 및 食糧 倉庫와 같은 主要 據點만은 朝鮮이 끝까지 지켜내자 女眞族은 一時的으로 撤收한다.

다음날, 女眞族은 武器庫를 노리고 再次 攻勢를 加했으나 朝鮮은 前날과는 다르게 强하게 反擊해 왔으며, 때마침 溫性 府使 申砬 이 合勢하여 攻擊해오자 女眞族은 敗退하였다.

2月 9日, 後退했던 女眞族은 再次 前歷을 整備해 勳戎陣을 攻擊한다. 訓戎眞 亦是 防禦施設이 體系的으로 設置되어 있었기 때문에 니탕개는 다시 後退할 수밖에 없었다.

2次 轉役(5月 5日 ~ 7月 19日) - 종성진 轉役 [ 編輯 ]

한동안 小康狀態가 持續되었으나 니탕개가 3個月 後 종성진(鐘城鎭)을 侵入하면서 2次 戰鬪가 始作되었다. 2次 戰鬪는 종성진 一帶만이 아니라 會寧(會寧)과 慶源 一帶까지 戰線이 擴大되면서 規模가 擴張되었다.

종성진은 當時 6陣 中에서도 最北端의 陣營이었던데다 종성진 後方의 行營을 지나면 豆滿江 下流까지 바로 통할 수 있고, 이는 곧 女眞族이 함경평야 까지 進出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하기에, 종성진에 對한 攻擊은 朝鮮에게는 事件의 擴大를 가져올 수 있는 危險한 것이었다. 이에 朝鮮은 勝字銃筒 을 비롯해서 모든 火砲를 쏘아대며 防禦하였고, 餘他 陣營의 救援軍이 올 때까지 守備에 專念하였다. 여기에 호정이라는, 니탕개와 사이가 좋지 않던 女眞族 勢力이 朝鮮에 加擔했는데, 니탕개 勢力이 종성진을 攻擊할 때 니탕개 勢力의 本據地를 불태우고 牽制하여 종성진 에 對한 攻擊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撤收했다.

以後 니탕개는 勢力을 整備하여 5月 13日 約 1千餘 名의 騎兵으로 終聲을 再次 攻擊했으나 敗退했고, 5月 16日에는 潼關鎭 과 房原洑를 相當한 兵力을 모아서 當時 房原洑를 攻擊한 女眞族이 約 5千餘名으로 傳하는데 攻擊에 失敗한다. 그러자 니탕개는 19日에 2萬(또는 3萬餘)에 達하는 兵力을 모아 潼關鎭 한 곳을 集中攻擊하였는데, 종성진 攻擊 때와 마찬가지로 이 事實을 투乙支가 朝鮮에 密告하여 朝鮮軍이 事前에 險地를 防禦해 失敗했다.

두 番의 戰鬪에서 敗北했던 니탕개는 朝鮮側에 妥協案을 提示했다. 朝鮮에서 自身을 侵入者로 對하지 않는다면 戰鬪를 中止하고 물러가겠다는 內容이었다. 하지만 朝鮮에서는 니탕개의 本心을 信賴할 수 없다며 그의 提案을 拒絶했다. 니탕개는 다시 朝鮮에 降伏 을 要請했지만 朝鮮에서는 받아들이지 않고, 그를 잡아서 죽이려다가 失敗한다.

니탕개는 다시 2萬名의 軍士를 整備해 7月 19日 방원步 를 攻擊했다. 하지만 방원步 東쪽에는 豆滿江의 河川이 흐르고 있었고, 南東쪽으로는 山脈이 자리 잡고 있어서 天惠의 要塞였다. 이러한 地形을 無理하게 攻擊했던 니탕개軍은 朝鮮軍의 體系的인 反擊에 退却할 수밖에 없었다.

1583年(宣祖 16) 正月부터 7個月에 걸쳐 進行되었던 니탕개의 亂은 방원步 戰鬪를 마지막으로 終了되었다.

結果 [ 編輯 ]

니탕개의 亂은 壬辰倭亂 以前 朝鮮이 直面한 最大의 軍事的 威脅이었으며, 이는 朝鮮이 電氣에 비해 軍事力이 問題가 많고 크게 弱化되었음을 認識하게 하는 最初의 全域이었다. 特히 이때의 朝鮮은 兵力 不足으로 인해 苦悶했다. 朝鮮이 이에 對應策으로 삼은 것은 總統, 特히 勝字銃筒 이었다. 當時 勝字銃筒은 寺刹에서 鐘을 沒收해 녹여서 總統 製造에 活用했다.

또한, 萬 單位 以上의 外敵은 旣存의 鎭管 體制 가 想定한 外敵의 規模 以上이었으며, 이에 對應하여 警長, 卽 首都에서 내려온 장수가 咸鏡道 全體의 軍을 指揮 統率하여 막아낸 것이 制勝方略 의 體制로 完全히 굳어진다. 大規模 외침에 對應하여 道 單位 以上의 軍을 統合하여 防禦하고, 이 指揮를 漢城에서 내려온 警長이 한다는 制勝方略이 完全하게 整理된 것이다.

參考文獻 [ 編輯 ]

  • 강성문, 「朝鮮時代 餘震征伐에 關한 硏究」, 『軍事』18, 國防部 戰史編纂硏究所, 1989.
  • 김구진, 「朝鮮前期 대여진 關係와 餘震社會의 實態」, 『東洋學』14, 단국대학교 東洋學硏究所, 1984.
  • 송우혜, 「朝鮮 宣祖朝의 니탕개란 硏究」, 『역사비평』72, 역사비평사, 2005.
  • 윤호輛, 「宣祖 16年(1583) ‘니탕개의 亂’과 朝鮮의 對應」, 『軍事』82, 國防部 軍史編纂硏究所, 2012.
  • 최호균, 「朝鮮中期 대여진 關係의 硏究」, 성균관대학교 史學科 博士學位論文,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