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과천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과천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율진군 에서 넘어옴)

과천군 (果川郡)은 京畿道 의 옛 行政區域이다. 1914年 行政區域 改編으로 시흥군, 안산군 과 合郡되어 시흥군 으로 改編되었다. 現在의 果川市 를 中心으로 서울特別市 大部分의 銅雀區 (다만, 上島洞 · 신대방동 시흥군 所屬이었다.)· 瑞草區 (다만, 염곡동 · 內谷洞 廣州郡 所屬이었다.), 安養市 , 軍浦市 一帶에 該當한다.

由來 [ 編輯 ]

  • 初期 名稱은 凍死힐(冬斯?), 또는 栗木(栗木)인데 凍死(冬斯)는 "돗"으로 推定되어 百濟 指名에 많이 나오는 두(斗)字와 같은 表記로 看做되며, 只今 과천시 一帶가 山으로 둘러싸여 있기에, 山의 옛말 中 '둠, 두메'와 關聯 있는 듯 하다. '힐(?)'은 高句麗語 表記인 '홀(忽)'=>'골'의 表記로 推定되며, 요즘 말로는 "두메(山)골"이라는 뜻으로 여겨진다.
  • '栗木'은 "밤나무"라는 뜻으로 읽히고, 實際로 옛날에 밤나무가 무척 많았다고는 하지만, 不分明하다. 앞서의 凍死 "힐"의 假借(假借)라는 說도 있으나, 栗木의 목(木)을 "나무"라고 읽지 않고, 나무를 歲는 "그루"=>걸로 개련해 "밤걸"로 解釋된다.이것은 나중의 이름인 율진(栗津)과 연관있는 것이다.
  • 나중에 율(栗)을 重視해 과일을 뜻하는 果로 고쳐 果州, 果川이 되었다. [1]

歷史 [ 編輯 ]

Daedongyeojido (Gyujanggak) 13-04.jpg
大東輿地圖 》 13첩 4面
  • 百濟 凍死힐縣, 以後 장수왕 의 南進 政策으로 漢江 流域을 高句麗가 차지한 以後로는 율목군으로 고쳤다. [2]
  • 757年 경덕왕 16年에 行政制度 改編으로 율진군(栗津郡)으로 改稱된 後 以西의 곡양현 (서울 永登浦, 金川, 京畿 光明)과 공암현 (서울 講書, 陽川), 소성현 (仁川 南部, 始興 北部)의 3絃을 영현으로 管轄하였다.
  • 940年 高麗 太祖 23年에 果州(果州)로 昇格되었다.
  • 1018年 高麗 顯宗 9年에 縣으로 格下되어 過주현이 되었다.
  • 1285年 忠烈王 11年 過주현 管轄의 용산처(龍山處)가 부원현(富原縣)으로 分離되었다. 부원현은 只今의 서울 龍山區 이다.
  • 1413年 太宗 13年에 都護府 以下 郡縣中 過去에 (州)의 地位였던 關係로 州라는 이름을 쓰는 地方을 山이나 川으로 改名할 것을 命令함으로써 과천현(果川縣)으로 改名해 只今의 果川이라는 이름이 確立되었다. 그리고 縣監을 두었다.
  • 1895年 陰曆 尹5月 1日 23部 府제로 行政區域이 再編되면서 (縣)制度가 廢止되었기 때문에 (郡)으로 昇格되어 인천부 管轄 과천군이 되었다. [3]
  • 1896年 8月 4日 地方 行政 體制가 13道制 로 變更되어 京畿道 과천군으로 改編되었다. [4]
  • 1914年 4月 1日 日帝에 依한 行政廢合으로 시흥군, 안산군(월곶면·북방면·성곶면은 水原郡 에 編入)과 統合하여 시흥군 으로 改編되었다. [5]
  • 1986年 1月 1日 京畿道 과천지구출장소(시흥군 과천면)李 果川市 로 昇格되면서 옛 과천군이 事實上 復活되었다. [6]

行政 區域 [ 編輯 ]

1914年 以前의 行政區域과 現在의 行政區域 比較
舊韓末 現在
時·區
과천군
(果川郡)
군내면
(郡內面)
관문동·내점동(官門洞·內店洞), 문원동·외점동·교동(文原洞·外店洞·校洞), 하리동(下里洞), 막계동(幕溪洞), 갈현동·街一同(葛峴洞·加日洞) 果川市 관문동·부림동, 문원동·별양동·문원동·중앙동, 과천동, 막계동, 갈현동
동면
(東面)
주암리(注岩里) 주암동
서초리·명달리(瑞草里·明達里)·신원동(新院洞), 良才洞(良才洞), 원기동(院基洞), 우면리(牛眠里) 서울特別市 瑞草區 瑞草洞, 신원동, 良才洞, 원지동, 우면동
상북면
(上北面)
方背洞(方背洞), 상반포리·하반포리·사평리(上盤浦里·下盤浦里·砂平里), 잠실리(蠶室里) 방배동, 반포동, 잠원동
동작리·浦村리(銅雀里·浦村里), 사당리(舍堂里) 서울特別市 銅雀區 銅雀洞, 舍堂洞
하북면
(下北面)
고사리·身分村·옹막동·옹점리(高寺里·新分村·甕幕洞·甕店里), 本洞·상가차산리·下架차산리(本洞·上加次山里·下加次山里), 흑석리(黑石里) 노량진동, 本洞, 黑石洞
상서면
(上西面)
一同(一洞), 移動(二洞), 내비산리·외비산리(內飛山里·外飛山里) 安養市 東安區 관양동, 평촌동, 비산동
河西面
(下西面)
호계동·도양리(虎溪洞·道陽里) 호계동
안양리·석수동·發射리·장내리·後頭미리(安養里·撥舍里·石手洞·墻內里·後頭尾里) 安養市 萬安區 안양동
南面
(南面)
산본동(山本洞), 금정리·괴곡리(衿井里·槐谷里), 堂里·龍湖洞(堂里·龍虎洞), 당정리·봉성리(堂井里·鳳城里), 부곡리·腸奸吏(富谷里·章干里) 軍浦市 산본동, 금정동, 당동, 당정동, 부곡동

各州 [ 編輯 ]

  1. 果川市 紹介 - 어제와 오늘 - 地名 由來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 果川市廳.
  2. “果州” . 2022年 10月 19日에 確認함 .  
  3. 勅令 第98號 地方制度醫改正에관한안건
  4. 勅令 第36號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5. 朝鮮總督府令 第111號 ( 1913年 12月 29日 )
  6. 法律 第3798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