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윤형숙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윤형숙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윤형숙
尹亨淑
出生 1900年 9月 13日 ( 1900-09-13 )
대한제국 大韓帝國 全羅南道 麗水市 화양면 창무리
死亡 1950年 9月 28日 ( 1950-09-28 ) (50歲)
대한민국 大韓民國 全羅南道 麗水市 둔덕동
國籍 대한제국 大韓帝國
일제강점기 日帝 强占期
대한민국 大韓民國
學歷 光州數彼我女學校
職業 獨立運動家, 社會運動家
賞勳 建國褒章

윤형숙 (尹亨淑, 1900年 9月 13日 ~ 1950年 9月 28日 )은 大韓民國 獨立有功者 이다.

生涯 全羅南道 麗川 (麗川) 화양면 (華陽面) 창무리 (倉武里)에서 윤치운(尹致雲)의 3男 2女 中 長女로 태어났다. 耳鳴(異名) 尹穴女 (尹血女) [1] [ 編輯 ]

1919年 서울을 起點으로 3?1獨立萬歲示威 가 일어났으며, 光州 (光州)에서도 3月 10日 場날을 期하여 1,000餘 名의 群衆이 모여 大韓獨立萬歲를 외쳤다. 當時 全羅南道 順天 (順天)의 聖書學원을 卒業하고 光州 수피아여고 에 在學 中이던 윤형숙度 萬歲示威에 參與하였는데, 當時 示威隊의 맨 앞에 서서 萬歲를 외치다가 日本 憲兵이 내리친 칼에 왼팔이 잘리는 負傷을 입었다. 잘려나간 팔이 붉은 피를 뿌리며 땅에 떨어지자 그는 流血이 狼藉한 몸으로 오른팔로 땅에 떨어진 太極旗를 주워들고 높이 흔들면서 ‘大韓獨立萬歲’를 외쳤다.

尹 烈士는 日本 憲兵에 逮捕돼 제대로 治療를 받지도 못하고 苛酷한 拷問을 받다 오른쪽 눈마저 멀었다. 팔이 잘린 그는 裁判廷에도 나가지도 못했고 光州地方法院에서 保安法 違反으로 闕席裁判 으로 懲役 4個月 刑에다 4年 年金型 [2] 을 더한 判決을 받았다. 以後 穴女(血女)라는 이름을 얻었다. 學籍簿와 判決文에도 윤형숙이라는 本名 代身 ‘尹穴女’로 적혀 있다. [3] [4]

監獄을 나와 咸鏡南道 元山 (元山) 마루다 神學校에 入學하였으나, 拷問의 後遺症으로 學業을 中斷하고 療養을 하기 위하여 全羅北道 高敞 (高敞)에 내려왔다. 그는 高敞 幼稚園에서 6年間 講師를 하였으며, 麗水 봉산동 (鳳山洞)에 鳳山敎會가 設立되자 傳道師로 일하였으며 敎會 내 設立된 鳳山(鳳山)學院에서 敎員을 맡아 文盲退治에 앞장섰다. 以後 麗水제일교회를 거쳐 中央敎會의 傳道師로 일하던 中 8?15解放 을 맞았다.

1950年 6?25戰爭 이 일어났을 때 傳道師라는 理由로 人民軍에게 붙잡혀 9月 28日 麗水市 (麗水市) 둔덕동 (屯德洞) 果樹園에서 손양원 (孫良源) 牧師와 함께 人民軍들의 銃에 죽음을 當하였다.

事後 바람 노래 [ 編輯 ]

結婚을 하지 않아 膝下에 子女가 없었다. 墓는 全羅南道 麗川郡 召羅面 (召羅面) 관기리 (館基里)에 있다.

政府는 그의 功勳을 기리어 2004年 建國褒章 을 였다.

各州 [ 編輯 ]

  1. 韓國學中央硏究院 - 韓國歷代人物 綜合情報 시스템
  2. 外部와의 接觸을 制限?監視하고 外出을 許諾하지 아니하나 일정한 場所 內에서는 身體의 自由를 許諾하는 程度가 比較的 가벼운 監禁
  3. ‘南道의 柳寬順’ 尹穴女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4. “나의 祖國 大韓民國이여 永遠하라, 殉國烈士 윤형숙” 《國家報勳處 블로그》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