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위키프로젝트討論:生命體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위키프로젝트討論 : 生命體

文書 內容이 다른 言語로는 支援되지 않습니다.
새 主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마지막 意見: 2年 前 (Titanoptera님) - 主題: '絶滅危機'를 '滅種危機'로 修正


新種 生物 10659種 發見 [ 編輯 ]

5日 前 연합뉴스에서 기사화된 內容입니다. 國內 硏究팀이 10年間 新種 10659種을 發見했다네요.일일이 全部 文書 만들려면 오래 걸릴 듯 합니다! 聯合뉴스'獨島엔시스?'…10年間 自生生物 1萬659種 새로 發見 -- -- 이 意見을 作成한 使用者는 Kenlee77 ( 討論 )이나, 署名 을 남기지 않아 다른 使用者가 追加하였습니다. ChongDae ( 討論 ) 2016年 8月 25日 (木) 17:19 (KST) 答辯

保全 狀態 出處 [ 編輯 ]

大部分 生物에 關한 文書들이 保全 狀態에 對해 出處가 없더라고요. 레드리스트 이 사이트가 도움을 줄 수 있을 듯 합니다.-- Kenlee77 ( 討論 ) 2016年 9月 17日 (土) 19:29 (KST) 答辯

틀討論:Taxonbar#이름 [ 編輯 ]

틀의 韓國語 飜譯明과 關聯한 討論을 進行 中입니다. 該當 틀이 이 위키프로젝트를 링크하므로 이곳에도 알림을 남겨 둡니다. ??regards, Revi 2017年 12月 5日 (火) 19:59 (KST) 答辯

'絶滅危機'를 '滅種危機'로 修正 [ 編輯 ]

滅種危機種을 뜻하는 endangered species와 赤色目錄의 絶滅危機를 뜻하는 endangered를 區別할 必要가 있습니다.

또한 一般的으로 絶滅危機鐘보다는 滅種危機種이라는 單語가 더 많이 使用되고 있습니다.

現在 國立生物資源館 韓半島의 生物多樣性 홈페이지( [1] 에서는 '絶滅'이라는 單語를 野生絶滅과 絶滅에만 限定하여 使用하고 있으며, '絶滅危機種'이라는 單語는 보이지 않습니다.

  • 滅種危機 野生生物Ⅰ級?: 自然的 또는 人爲的 威脅要因으로 個體數가 顯著하게 減少되어 滅種危機 에 處한 野生生物로서 關係 中央行政機關의 長과 協議하여 環境部令이 定하는 種

으로 定義함으로서, 滅種危機種 이라는 單語를 使用합니다.

國家指標體系 에서도 "滅種危機"라는 用語를 使用하고 있습니다.

生命科學大事前 에서는 標題語로 "滅種危機種",同義語로 "絶滅危機種"을 使用中입니다.

Google에 "滅種危機種"을 檢索하면, 檢索結果 約 563,000個이고, "絶滅危機種"을 檢索하면, 檢索結果 約 33,600個입니다.

위의 資料들을 綜合하여보면, 絶滅危機종이라는 用語보다 滅種危機種이라는 用語가 公式的으로 더 많이 使用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日本語 위키百科 에서의 標題語가 "絶滅危機種"이므로, "絶滅危機種"이라는 用語는 "滅種危機種"이라는 用語와 뜻은 거의 同一하나, 日本式 用語가 國內에서 使用되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反面, "滅種危機種"(滅種危機種)이라는 單語는 日本의 위키百科에서 檢索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分類(分類:絶滅危機種) 包含 '野生絶滅과 '絶滅'을 說明하는 內容이 아니라면 "滅種危機"로 修正하고, "絶滅危機"를 同義語로 言及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Titanoptera ( 討論 ) 2021年 12月 31日 (금) 10:58 (KST) 答辯

@ Titanoptera : 同意하나 '絶滅' 側 意見도 들어보고 싶습니다. 滅種 文書를 絶滅 로 移動해주신 @ Salamander724 : 님의 高犬도 求합니다. ―― 使徒바울 ( ?? ? ?? ) 2022年 1月 2日 (일) 11:10 (KST)
저는 公信力과 權威가 있는 出處인 國立生物資源館에서 使用하는 用例를 따라 "絶滅"을 維持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샐러맨더 ( 討論 / 寄與 ) 2022年 1月 26日 (水) 01:18 (KST)
저는 위에서 說明드렸듯이 똑같이 國立生物資源館에서 使用하는 用例를 따라 '絶滅'은 野生絶滅(extinction in wild)과 絶滅(extinct)에만 限定하고, 一般的으로 使用되는 '滅種危機種(endangered species)'에 對해서는 '滅種'을 使用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위에 링크 또한 國立生物資源館 公式 홈페이지입니다. 아니면 IUCN에서 說明하는 等級段階인 '絶滅'과 一般的으로 使用되는 '滅種'을 區分하는 方法도 있습니다. 或是 다른 意見 있으시다면 答辯 付託드립니다. Titanoptera ( 討論 ) 2022年 2月 9日 (水) 00:08 (KST)
大量絶滅 大滅種 으로 옮기는 便이 좋아보이네요. ―― 使徒바울 ( ?? ? ?? ) 2022年 2月 10日 (木) 23:36 (KST)

'아시아黑곰'을 '半달가슴곰'으로 修正 [ 編輯 ]

討論:아시아黑곰 에서 高見을 求합니다.-- Titanoptera ( 討論 ) 2022年 1月 3日 (月) 00:39 (KST)

生命體의 名稱, 標題語에 對해서. [ 編輯 ]

下位 프로젝트인 動物프로젝트 에서 빨간링크 補充을 위해 틀:까마귓科 를 보던 中에 發見한 件입니다. 大部分의 動物 種,과 또는 속 틀에서 빨간링크로 되어 있는 標題語의 文書 生成을 위해 檢索엔진을 통해 檢索하면 檢索結果가 없거나 檢索結果가 오로지 위키百科의 文書뿐인 境遇가 많습니다. 英語 위키百科의 文書를 飜譯할때 標題語로 生物의 一般名(Common name)을 그대로 飜譯하면서 생긴 問題인데요. 一般名은 大槪 지리 + 分類(예: 보르네오오랑우탄 , 시베리아虎狼이 ), 形容詞 + 分類(예: 갈까마귀 , 鬼神고래 ), 또는 지리 + 形容詞 + 分類 (예: 마다가스카르난쟁이하마 ) 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中에 特히 形容詞 部分을 飜譯하면서 現在 統一되지 않는 여러 用語들이 생겨난 것 같습니다. 例를 들면 Horned를 魂드 라고 音叉 하는 境遇와 뿔 이라고 飜譯하는 境遇가 있겠네요. 이러한 問題는 俗名으로 가면 더 한데요, 動物 틀을 만들면서 어떤 種의 一般名을 飜譯해 빨간링크로 만들어 두고 그 飜譯된 一般名을 俗名으로 使用해 빨간링크를 또 만드는 境遇가 있습니다. 이 境遇에는 飜譯된 原文인 英語 위키百科를 찾아가서 一一이 對照해보지 않는 以上 이 標題語가 무엇을 가르키는지 알 수가 없어집니다.

이와 關聯해 여러 文書들을 찾아보던 中 이것이 緋緞 빨간링크만의 問題가 아닌 것 같은 생각이 들더군요. 이미 만들어진 수많은 生命體의 文書에도 大韓民國의 國立生物資源館 의 名稱이나 國立生態院의 韓國 外來生物 情報시스템 의 名稱을 쓰는 境遇와 他言語 위키百科에서의 一般名을 飜譯해서 쓰는 境遇가 亂雜하게 뒤섞여 있습니다. 例로 獨島/일본강치( Zalophus japonicus ) -> 바다獅子 의 境遇는 國立生物資源館의 名稱을 標題語로 하고 있고, 그 反對로 灰色官두루미 ( Baleaica regulorum )의 境遇는 國立生態院의 外來種 名稱에 따르면 官學이 正式 名稱입니다. 官學의 境遇에는 그나마 두산百科에서 같은 標題語 를 使用하고 있습니다만, 金도마뱀붙이 ( Gekko badenii )의 境遇에는 國立生態院 外來種 名稱에 따르면 골든도마뱀부치이며 標題語人 金도마뱀붙이는 다른 百科事典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特히 이런 問題는 大韓民國에서 棲息하지 않거나 發見되지 않는 未記錄種일수록 더 甚합니다. 이 境遇는 該當 標題語로 檢索 時 關聯 檢索結果度 적으며 있더라도 위키百科의 內容과 그것을 바탕으로 쓴 블로그, 홈페이지 等이 드물게 보이는 程度입니다.

저 個人이 생각하고 行動으로 옮기기엔 너무나 作業量이 厖大하고 수많은 文書들에 影響을 끼칠 것 같아서 이참에 基準을 定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제가 생각한 代案은 이렇습니다.

가. 明確한 基準(國立 生態園의 學術名, 外來種名 等)이 있는 境遇에 그것을 優先的으로 따른다.

나-1. 基準이 없는 境遇 英語 一般名義 音借로 한다.

나-2. 基準이 없는 境遇 라틴語 學名의 音借로 한다.

位 對案 中에서 나-1 項目의 境遇는 正確히 들어맞는 例示는 아닐 수도 있지만 그래도 特徵이 분명한 生物들을 나눈다는 槪念에서 보자면 犬種들의 標題語를 例示로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골든 리트리버 블러드하운드 를 黃金 리트리버, 피사냥개라고 飜譯하지 않는 것과 같이 英語 一般名을 그대로 音借하는 것입니다.

나-2 項目의 境遇에는 該當 위키가 大韓民國의 위키百科가 아니라 韓國語 위키百科人 만큼 世界的으로 通用되고 明確하게 하나의 種만 가르키도록 設計된 라틴語 學名의 音借를 쓰자는 생각입니다. 이 境遇는 이미 細菌이나 바이러스, 寄生蟲 等의 分類에서는 흔히 쓰이고 있습니다.(예: 키모토아 엑시구아 , 더무스 아쿠아티쿠스 ) 다만, 라틴語를 音借하는데 있어서 公式 外來語 表記法이 없는 것이 좀 걸리네요.

이것이 너무 異質的이라면 消極的 代案으로 生命體의 種, 속 또는 목 等을 모아놓은 틀이나 文書 等에 있는 빨간링크들만이라도 學名을 竝行 表記하는 代案도 있습니다. 제가 이 基準을 생각하게 된 最初 目的이 빨간링크로 된 標題語들이 무엇을 가르키는지 알 수 없는 것 때문이었으니까요. 그렇게 해두면 적어도 이 標題語가 무엇을 가르키는지 알기 쉽고 빨간 링크의 補充도 쉬워질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많은 意見 共有 付託드리겠습니다. Tmd5488 ( 討論 ) 2023年 3月 10日 (금) 14:58 (KST)

라틴語 公式 外來語 表記法은 없으나 위키百科 自體的으로는 있긴 합니다. LR 討論 / 寄與 2023年 3月 10日 (금) 15:07 (KST)
그리고 그래서 저는 文書 쓸 때 學名은 大部分 뒤에 括弧로 倂記하는 便입니다. ESKAPE 같은 거 썼을 때처럼요. 消極的인 方案은 이런 式으로 하자는 얘기가 맞나요? LR 討論 / 寄與 2023年 3月 10日 (금) 15:08 (KST)
네 맞습니다. 빨간링크만 있을 때 學名이 竝行 表記되어 있지 않다면 該當 主題를 특정하기가 어려워집니다. 틀:까마귓科 처럼요. Tmd5488 ( 討論 ) 2023年 3月 10日 (금) 15:11 (KST)
저도 生物種 文書 分類하러다가 外來種에 對한 飜譯語 問題때문에 半쯤 놓은게 많았었습니다. 特히 韓國語 이름이 없는 수많은 生物種의 境遇 曖昧했는데, 一旦 (가) 基準의 境遇에는 確固하게 贊成하고 이대로 두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나)의 境遇가 問題입니다. 外來生物 情報시스템에 있으면 그 名稱을 쓰면 되겠고 그 外에도 韓國에서도 기르는 境遇가 많은 品種, 動植物의 境遇 一般人들이 普遍的으로 부르는 名稱을 가져와도 獨自 硏究 禁止 에 걸리진 않아 보입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없는 境遇가 問題인데 普通 바이러스나 細菌의 境遇 學名을 音借해 부르는 것이 普遍的인 反面 其他 動植物, 特히 植物의 境遇 學名을 音借해 부르는 境遇가 거의 없고 '語塞한 境遇'가 많기 때문에 讀者 硏究 餘地가 있음을 勘案하더라도 海外에서 一般名이 자리잡은 動植物의 境遇 自體 飜譯名 規定을 두어 飜譯하는게 나아보이지 않나 싶습니다. Vela* ( 討論 / 寄與 ) 2023年 3月 10日 (금) 15:23 (KST)
(나) 基準은 저도 相當히 曖昧한 것이 韓國 外來種 情報시스템의 名稱만 보더라도 같은 Green의 飜譯을 그린트리보아 (Emerald tree boa), 그린트리緋緞뱀 (Green tree python), 綠色이구아나 (Green iguana) 같이 英語 形容詞 하나로 그린, 綠色, 綠 等으로 飜譯된다든지 Emerald와 Green같은 다른 英語 單語가 그린 하나로 飜譯된다든지 하는 問題가 있습니다. 위키百科 文書를 例로 들면 그라칠레땃쥐텐렉 (Grecile -> 그라칠레/가냘픈)이나 가장작은땃쥐텐렉 (least->가장 작은), 또는 꼬마향고래 (Dwarf -> 꼬마)나 난쟁이하마 (Dwarf -> 난쟁이)로 서로 다 달라 飜譯 基準을 세우기가 까다롭습니다. 韓國에서 情報를 얻기가 힘든 生命體들은 이처럼 自體的으로 飜譯을 하게 되면 오히려 그 用語가 굳어져서 繼續 쓰이는 境遇가 생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該當 主題가 어떤 종이라면 一般名, 學名 모두 存在하니 後에 外來種으로 正式 登錄되거나 輸入된다고 하면 하나씩 고쳐나가면 되겠으나 上位 分類인 科, 속, 목 等에서는 그에 屬해 있는 어느 하나의 種名을 따와서 그대로 飜譯하는 境遇가 생겨서 이 部分은 음차가 必要해 보입니다. Tmd5488 ( 討論 ) 2023年 3月 10日 (금) 16:21 (KST)
國家가 整理한 外來種 情報시스템도 全部 統一되지 않아서 混亂이 많은 苦悶이 큽니다... 하지만 그나마 外來種 情報 찾을 수 있는게 거기뿐이라서...
더군다나 上位 分類가 正말 苦悶인데, 例를 들면 프로테亞科 植物의 아과인 en:Grevilleoideae 은 音譯하면 그레빌레아-亞科 程度가 맞겠으나 實際로는 그냥 音譯하라고 하면 '그레빌레오이데에' 等으로 그냥 音借해버리는 問題가 發生해버리는게 너무 뻔히 보여서 苦悶이 큽니다. Vela* ( 討論 / 寄與 ) 2023年 3月 10日 (금) 17:09 (KST)
이와 關聯하여 資料를 찾던 中 英語 위키百科의 물고기 위키프로젝트 에서 參考할만한 規則이 있어 가져와 봤습니다. 아무래도 英語와 韓國語는 다르므로 그대로 가져오기에는 無理가 있지만 이를 바탕으로 基準을 確立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英語 위키百科의 물고기 위키프로젝트의 標題語 關聯 規則

標題語(Article titles) [ 編輯 ]

다음 各 項에 對하여 하나 以上의 條件을 滿足하는 境遇에는 一般名을 標題語로 한다.

  • 1(i) 그 種을 가르키며 널리 쓰이는 一般名이 있고 다른 種에서는 全혀 쓰이지 않는 境遇. 該當 種을 가르키는 一般名이 몇몇 더 있긴해도 거의 쓰이지 않음. 例示: en:Greenland halibut .
  • 1(ii) 그 種을 가르키는 一般名이 널리 쓰이며 드물게 다른 鐘을 뜻할 때도 있으나 主題에 混同을 줄만큼 一般的으로 쓰이지 않는 境遇. 例示: en:Guppy .
  • 1(iii) 그 種을 가르키는 一般名이 여럿 있음에도 不拘하고 該當 鐘이 어떤 地域의 固有種이거나 商業的으로 그 地域에서 重要하여 關聯된 公共機關, 保存團體, 地自體, 漁業, 養殖業 等에서 하나의 共通된 名稱을 쓰는 境遇. 例示: en:Atlantic salmon .
  • 1(iv) 그 種을 가르키는 一般名이 形容詞나 地理的 特性을 使用해 비슷한 一般名으로부터 分離된 境遇. 그것이 다른 種과 確然히 區別되는 境遇에는 위 條件을 滿足한 것으로 한다. 例示: en:Shovelnose sturgeon , en:Little shovelnose sturgeon , en:False shovelnose sturgeon .

位 4個 項目의 條件을 充足하지 못할 境遇 라틴語 學名을 標題語로 한다. 例는 다음과 같다.

위 規則을 보면 꽤 妥當한 條件을 滿足하는 一般名의 境遇 學名보다 優先으로 씁니다. 이걸 바탕으로 해서 널리 알려진 一般名을 優先視하는 方向으로 韓國語 위키百科에 맞는 基準을 定하면 좋을 것 같네요. 于先 一般名 또는 國文 學術名이 있는 種과 그렇지 않은 種을 나눠서 基準을 定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다만 1番 項目의 (iv) 項目의 境遇에는 大部分의 標題語 關聯 討論이 저런 英語 一般名을 飜譯을 하면서 생기는 것인 만큼 그에 關해서도 생각해보아야 할 事項이 있습니다. 例로는 英語로 부르는 一般明과 韓國語 一般名/學術名이 다른 境遇로 en:Japanese eel ( Anguilla japonica )은 飜譯하자면 日本長魚겠지만 韓國語로 부를 땐 뱀長魚 이고 學術名이기도 합니다.
國文 一般名/學術名이 있는 鐘 境遇는 위 規則의 1番의 (i), (ii), (iii) 項目과 비슷한 條件으로 널리 알려진 一般名을 優先으로 하고 그렇지 못한 境遇는 國立生態院이나 國立生物資源館의 正式 名稱을 쓰면 될 것 같습니다. 다만 이렇게 할 境遇 이미 만들어진 文書 中에 衝突하는 것이 있는데 例로는 濟州豹紋쥐치 ( Naso hexacanthus )가 있습니다. 이 鐘은 觀賞魚 로 韓國에서 發見되지 않던 種이었고 水族館이나 商業的으로 불릴 때는 英語 一般名人 낫소탱, 또는 나소탱으로 불리나 2008年 濟州에서 發見 되어 濟州豹紋쥐치라는 國文明 이 定해졌습니다. 다른 例로는 시베리아虎狼이 ( Panthera tigris altaica )가 있습니다. 으레 虎狼이라고 하면 韓國에 사는 이 虎狼이를 말하기도 하고 國立生態院의 正式 國文名도 虎狼이입니다만 이 境遇는 該當 亞種이 屬하는 種을 아우르는 總稱度 虎狼이인 만큼 그대로 두되 同音異義 링크로 文書 첫 部分에 明示해주어 넘어갈 수 있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國文 一般名/學術名이 없는 種의 境遇는 未記錄種, 또는 觀賞用 等으로 輸入되었으나 國文 學術名이 命名되지 않은 境遇나 아예 韓國에서는 言及되지 않는 종들이 있습니다. 于先 觀賞魚나 犬種, 花卉 等으로 輸入되거나 言及되는 生命體들은 앞서 적힌 規則을 滿足하는 英語 一般名이 있고 그것을 韓國에서도 그대로 音借하여 쓰고 있는 境遇가 있습니다. 只今 만들어진 文書 中 例示로 南陽쥐돔 ( Paracanthurus hepatus )의 境遇를 들 수 있습니다. 國立生態院이나 國立生物資源館 또는 國內 論文들 中에 이 種의 學名인 Paracanthurus hepatus 를 檢索해보면 아직 定해진 國文名이 없습니다. 다만 사람들이 이 種을 부를 때는 一般的으로 블루탱(Blue Tang)으로 부릅니다. 明白히 南陽쥐돔이라고 부를만한 基準이 없는 이 種의 境遇 標題語를 一般名人 블루탱으로 해도 될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 아예 韓國에 流入도, 言及도 되지 않는 種의 境遇가 가장 曖昧한 境遇인데요, 이 境遇 普通 타 言語 위키의 文書를 飜譯한 게 많습니다. 타 言語의 一般名을 그 基準으로 判斷해 타 言語에서 明白하게 그 種을 가르키는 一般名임이 분명한 境遇는 於此彼 어떻게 定하든 韓國語로 檢索하면 情報를 거의 찾을 수 없을 것이고 任意로 一部만 飜譯한다 한들 나중에 國文 學術名이 命名되거나 韓國語 一般名이 생길 境遇 一一이 찾아서 바꿔야하므로 一般名의 完全 音域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하면 어디까지 音借할 것이냐는 것이 問題인데 形容詞가 붙는 境遇엔 各自 任意로 飜譯하는 單語가 다르고 追後에 正式으로 外來種名이 붙는 境遇 골든도마뱀부치( 金도마뱀붙이 )와 같은 結果가 發生할 수 있습니다. 分類名 또한 모든 種이 Frog(개구리)와 같이 一對一로 對應하는 이름이 있으면 좋겠으나 새우(Prawn이나 Shrimp)나 넙치(Halibut이나 Flounder)와 같이 言語 間에 같은 部類의 生物을 다양하게 부르고 있는 點에서 그냥 一括的으로 全部 音借하는 것이 整理하기 便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明白한 一般名이 없거나, 부르는 一般名이 너무 많거나 널리 쓰이는 一般名이 없는 境遇가 남았는데 이건 그냥 라틴語 學名을 音借하는 것밖에는 달리 좋은 方法이 생각나질 않네요.
上位 分類의 境遇에는 該當 分類에 屬한 종이 單 하나만 있을 境遇에는 屬한 種名을 따르고 그것이 아닌 境遇에 라틴語 音借를 하는 것을 一旦 基準으로 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만, 種에 對한 文書만 있고 上位 分類名이 아직 없는 文書(빨간 링크)일 境遇 上位 分類를 一般名+과/아과 等으로 두면 追後에 關聯 文書를 찾기 힘들어질 것 같습니다. 그래서 明確한 國文名이 없는 境遇 音借를 하든 種名을 따라 이름을 붙이든 一旦 學名의 竝行表記를 반드시 붙이는 基準도 세워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一旦 早晩間 이 內容을 바탕으로 위키프로젝트:生命體#細部 指針 에 基準을 追加해두고 싶은데 이런 文書를 만지는게 처음이라 좀 寞寞하네요. 많은 도움과 關心 付託드립니다. 또한 關聯해서 고쳐야할 點이나 생각해볼 部分이 있다면 부디 意見 共有를 付託드립니다. -- Tmd5488 ( 討論 ) 2023年 3月 11日 (土) 19:37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