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위키프로젝트討論:三國志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위키프로젝트討論 : 三國志

文書 內容이 다른 言語로는 支援되지 않습니다.
새 主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三國志와 關聯된 몇몇 文書名의 表記 [ 編輯 ]

본 主題에서 討議하고자 하는 文書名은 두 가지입니다.

공교롭게도 두 文書 모두 三國志와 聯關이 있는 文書들인지라 여기에 討論場을 잡게 되었다는 點 于先 說明드립니다.

두 文書의 共通點은 現在 門서명인 電子 (바이디 性, 우장위안)에 비해 後者 (白帝城, 五丈原) 쪽이 더 많이 알려져있다는 點입니다.

그리고 두 文書의 差異點은

  • 바이디 性 (白帝城) - 古代 中國 當時 지어진 建築物
  • 우장위안 (五丈原) - 現在까지 남아있는 地名이라는 點입니다.

現在 위키百科의 冠禮를 보면

  • 古代 中國에서 지어진 建築物 - 漢字를 그대로 읽는 表記를 使用
  • 現在까지 남아있는 中國의 指名 - 현대 中國語 表記를 使用

이러한 構造로 되어있다는 差異點이 있습니다.

基本的인 說明은 여기까지고, 該當 文書들의 標題語를 어떻게 定할지에 對해 많은 編輯者들의 討論이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덧붙여서 제 個人的인 所望으로는 이 案件이 올해 內로 結論이 났으면 좋겠습니다. -- 110.70.26.63 ( 討論 ) 2018年 12月 21日 (금) 01:15 (KST) 答辯

張孃 (癡叔), 張孃 (後漢), 진기 (洋酒) 等 括弧속 標題에 對하여 [ 編輯 ]

河內태수 張孃 을 '張良 癡叔'으로 檢索해 위백으로 들어올 이는 別로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 三國志 張孃 네이버 , 三國志 張孃 구글 ) 元述 部下 진기 亦是 진기 洋酒로 檢索할 이는 別로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 三國志 진기 네이버 三國志 진기 구글 ) 辭典을 찾는 理由는 該當 人物을 잘 몰라서인데 자(字)나 出身地 같은 걸로 區分하면 이를 찾는 이들이 좀 힘들 것 같습니다. 張孃이나 眞氣나 各各 張孃 (後漢) , 진기 (원방) 項目과 겹쳐 헷갈린단 點도 있고요. 이에 보다 接하기 쉬운 特徵? 正體性? 같은 것을 苦悶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이에 張孃 (後漢) 張孃 (後漢 십상시) or 張孃 (後漢 宦官) , 張孃 (癡叔) 張孃 (後漢 태수) , 진기 (원방) 진기 (後漢) , 진기 (洋酒) 진기 (元述 麾下) 로 바꿔보려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덧붙여 다른 標題들의 括弧 속 說明 亦是 이런 式으로 苦悶해가며 定한다면 泄瀉 손톱만큼일지라도 檢索 流入에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一旦술먹고합시다 ( 討論 ) 2019年 4月 1日 (月) 23:45 (KST)

文書 구분자가 아닌, 本文에 內容을 넣으면 되지 않을까요? 구분자는 同音異義語 區分을 위한 것입니다. 同名異人이 없는 三國志 登場人物도 (三國志) 式의 擴張字를 가지도록 할게 아니라면요. -- ChongDae ( 討論 ) 2019年 4月 3日 (水) 17:01 (KST)
本文에 內容을 넣는 것은 當然한 것이고, 말씀하신대로 同音異義語 文書 標題의 括弧 속 說明이 무엇이 더 알맞겠느냐는 것입니다. '同名異人이 없는 三國志 登場人物도 (三國志) 式의 擴張字를 가지도록' 하는 것은 提案한 바도 全혀 없거니와 이 件과도 相關이 없는 말씀이십니다.
或如 몰라 다시 한番 說明을 붙입니다. 百科事典은 普通 檢索을 통해 流入됩니다. 그런데 現行 張孃 (癡叔) 文書와 張孃 (後漢) 文書는 서로 '자'와 '國籍'으로 區分하고 있어 該當 文書를 잘 모르는 讀者들의 流入을 期待하기가 어려운 構造입니다. 더구나 張孃 (癡叔) 亦是 厚한 사람인지라 애當初 그 區分조차 잘 되지 않는 狀況입니다. 이런 狀況이 오직 이 文書들뿐만이 아니기에 뚜렷한 反論이 없다면 이 事例를 準用하여 다른 標題들度 바꾸려 합니다. 普通 檢索 確率이 높은 說明일수록 區分하기도 좋은 說明인 傾向이 큽니다. 一旦술먹고합시다 ( 討論 ) 2019年 4月 6日 (土) 09:30 (KST)
該當 討論에 따라 이대로 천천히 進行하겠습니다. 이 討論은 백:意見 要請 過程을 거쳤습니다. 感謝합니다. 一旦술먹고합시다 ( 討論 ) 2019年 5月 7日 (火) 10:33 (KST) 答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