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蔚地空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蔚地空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蔚地空

蔚地空 (尉遲恭, 585年 ~ 658年 ) 또는 위지공 中國 唐나라 初期의 武將이다. 경덕 (敬德)이며, 朔州 (朔州) 선양현(善陽縣) 出身이다.

凌煙閣 (凌煙閣) 24共神 中 한 사람이며, 진경 (秦瓊)과 함께 문배 (門排)에 자주 登場하기도 한다.

生涯 [ 編輯 ]

數 煬帝 時節인 大業 (大業) 末年에 從軍하였으며, 敵松柏(翟松柏)과 有補强(劉寶强)을 討伐하는 等의 功을 세워 朝散大夫(朝散大夫)가 되었다.

617年 유무주 (劉武周)가 叛亂을 일으키자 麾下로 들어가 篇章(偏將)으로 任命되었으며, 619年 송錦江 (宋金剛)과 함께 南進하여 眞珠(晉州)와 회주(澮州)를 陷落시킨 뒤 이효기 (李孝基)가 이끄는 部隊를 擊破하고 獨孤회은 (獨孤懷恩)과 당검 (唐儉) 等을 捕獲하였다.

620年 李世民 (李世民)李 白壁(柏壁)에서 유무주를 征伐하자 殘黨들을 이끌고 個休(介休)를 死守하였으며, 李世民이 이도종 (李道宗)과 우문사級 (宇文士及)를 使臣으로 보내 投降을 勸誘하자 心象 (尋相)과 함께 投降하였다. 621年 移籍 (李勣) 等과 함께 두건덕 (竇建德)의 大軍에 大勝하는 데 크게 貢獻했으며, 626年 玄武門의 便 (玄武門之變) 當時 이원길 (李元吉)을 화살로 쏘아 죽이는 等의 功을 세웠으며, 이연 (李淵)이 李世民을 皇太子로 삼고 讓位하게 하는 데 一助하였다.

627年 우무後代將軍(右武侯大將軍)으로 任命되었으며, 突厥 의 侵入을 받자 경주도행군총관(涇州道行軍總管)을 歷任해 경양현(涇陽縣)에서 突厥을 擊破하였다. 하지만 長孫無忌 (長孫無忌) 및 房玄齡 (房玄齡) 等 朝廷 내 代身들과의 不和로 인해 629年 洋酒都督(襄州都督), 634年 東走者社(同州刺史), 637年 船主自社(宣州刺史) 및 惡國共(鄂國公), 以後 部主導毒(?州都督), 荷主都督(夏州都督) 等으로 次例로 左遷되었다.

643年 開府儀同三司(開府儀同三司)가 되었으며, 高句麗-黨 戰爭 以後 官職에서 물러났다. 그 뒤에는 선인 (仙人)의 길에 專念해 他人과의 交際를 끊고 방사술(房事術) 遂行하였다. 658年 74歲의 나이로 世上을 떠났으며, 事後 사도 (司徒) 및 倂奏都督(幷州都督)으로 追贈되었다. 시호 는 忠武(忠武)이며, 李世民의 무덤인 少陵 (昭陵) 周邊에 配臟(陪葬)되었다.

蔚地空이 登場한 作品 [ 編輯 ]

凌煙閣二十四功臣
1. 長孫無忌 | 2. 이효공 | 3. 杜如晦 | 4. 魏徵 | 5. 房玄齡 | 6. 고사렴 | 7. 울지경덕 | 8. 李霆
9. 小雨 | 10. 단지현 | 11. 유홍기 | 12. 굴돌통 | 13. 은개산 | 14. 시소 | 15. 장손순덕 | 16. 丈量
17. 후군집 | 18. 장공근 | 19. 정지절 | 20. 虞世南 | 21. 유정회 | 22. 당검 | 23. 이세적 | 24. 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