烏桓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烏桓 (烏桓 또는 烏丸)은 허베이省 , 랴오닝省 , 산시省 , 베이징 近處와 內몽골 等에 居住한 遊牧民이었다. 그들은 董狐 의 後孫으로 匈奴 에 敗하였다.

그들은 한 王朝의 後半에 活動的이었으며 韓君의 傭兵에 參與하였다. 中國 皇帝의 最前線의 主要 非中國 民族들과 같이, 오환은 皇室과 相對的으로 協調的이었다. 190年頃 後漢 이 滅亡할 當時 오환은 中國의 叛亂과 內戰에 參與하였다. 200年代에 烏桓의 3部는 黃河 以北의 重要한 君主였던 元素 를 支持하였다. 207年 曹操 는 烏桓의 領土로 깊숙이 行軍해 들어오고 그들을 볼랑山(白狼山之戰)에서 擊破하였다. 많은 烏桓의 騎兵이 그에게 投降하고 그는 天下의 가장 偉大한 騎兵隊長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비록 다양한 烏桓 指導者들이 3世紀에 散發的인 叛亂을 이끌었지만 4世紀에는 선비 나 한족에 吸收되었다.

習俗 [ 編輯 ]

말을 타고 다니며 활쏘기를 잘 하고, 물과 풀을 따라 遊牧 生活을 하였으므로, 居處가 일정하지 않았다. 貧弱한 갈대 오두幕을 집으로 삼아 入口를 모두 動向(東向)으로 하였다. 낮에 禁輸(禽獸)를 사냥하여 고기를 먹고 젖을 마시며, 털과 솜털로 옷을 해 입었다. 젊은이를 貴하게 여기고 늙은이를 賤待하였고, 그 性品이 사납고 傲慢했으며, 노여우면 아비와 어미를 죽였으나 끝내 그 兄弟는 害하지 아니하였으니, 兄弟에게는 一家(一家)가 있으나, 아비와 어미는 그들의 몸으로서 種子(種子)가 될 뿐이어서, 報復할 者가 없기 때문이다. 언제나, 決鬪나 侵犯을 서로 다투는 것을 능히 다스리는 勇猛하고 剛健한 者를 推戴하여 部族長(部族長)인 對人(大人)으로 選出하였고, 邑落은 各其 작은 우두머리를 가지는데, 世襲하지는 않았다. 數百에서 數千個의 마을로써 一部(一部)를 이루었고, 大人이 부를 일이 있으면 나무에 새겨 信標(信標)로 삼고 邑落은 이를 傳하고 行하였으니, 文字는 없어도 不(部)의 무리들이 敢히 그 傳達받은 바를 어기지 아니한다. 姓氏(姓氏)는 일정한 것이 없고, 大人에 依하여 剛健한 者의 이름 글字를 性(姓)으로 삼는다. 對人 以下(以下)는 各自 牧畜(牧畜)하고 生産(生産)을 다스리며, 賦役(賦役)을 돕지는 않는다.

婚姻과 家庭 生活 [ 編輯 ]

그 結婚은 모두 먼저 仲媒 없이 四通(私通)하여 女子를 빼앗아 가고 나서 半年이나 百日 後에 仲媒人을 派遣하고 말·蘇·孃을 보내어 장가드는 것을 禮法으로 삼았다. 男便은 아내를 따라 되돌아가는데, 男便은 妻家(妻家) 사람들을 높고 낮음에 關係없이 뵙고, 아침에 일어나 모두에게 절하였으나, 自己의 父母에게는 몸소 절하지 않았다. 妻家의 머슴이 되어 이년(二年)을 使役(使役)하면, 妻家는 厚하게 女子를 보내는데, 居處와 財物이 오로지 妻家에서 나온다. 그러므로 그 習俗(習俗)은 否認(婦人)의 計策(計策)을 따르나, 戰鬪할 때가 되면 男子는 그것을 스스로 決定한다. 富者(父子)와 男女가 서로 마주보고 쭈그려 앉고, 모든 머리카락을 깎아서, 가볍고 便하게 한다. 夫人은 시집갈 때가 되면 머리카락을 기르고 나누어 상투로 하여, 口訣(句決)을 붙이고, 金과 푸른 玉으로 꾸미니, 中國에 있는 洑尿管(步搖冠) [1] 과 같다. 아비나 兄이 죽으면, 아비에게 繼母가 있는 境遇에는 繼母를 妻로 삼거나 兄嫂를 取한다. 萬若 兄嫂를 取할 者가 없으면 自己 아들로 볼 때, 關係가 密接한 順序〔親之次〕에 따라 조카가 伯母나 叔母를 妻로 삼는 것이다. 이러한 節次에 따라 妻로 삼은 者가 죽으면, 그 옛 지아비와 合掌(合葬)한다.( 兄死娶嫂 參照)

産業 [ 編輯 ]

새와 짐승이 孕胎하고 受由하는 것을 알아차려 四季節로서 때를 맞추고, 밭을 갈고 씨를 뿌릴 때에는 언제나 뻐꾸기의 울음을 써서 徵候(徵候)로 삼았다. 땅은 푸른 기장과 洞長(東牆)을 기르기에 적합한데, 銅匠은 쑥과 類似하고, 열매는 아욱科 같으며, 十月에 이르러 익는다. 그들은 百株(白酒)를 만들 줄은 알았으나, 누룩은 만들 줄을 몰랐다. 쌀에 있어서는 늘 中國에 依存하였다. 大人은 활·화살·安葬·굴레를 만들 수 있었고, 쇠를 두드려 兵器를 만들었으며, 가죽을 바느질하여 무늬와 繡를 놓았고, 毛織物을 짠다.

疾病 [ 編輯 ]

病이 나면 쑥찜을 쓰는 것을 알았고, 또는 돌을 데워서 찜질을 하거나 흙을 데워서 그 위에 엎드렸고, 또는 아프고 병든 곳을 따라, 칼로 脈을 터뜨려 피를 냈고, 또한, 天地山川(天地山川)의 神에게 빌었으나, 針(鍼)과 藥은 없었다.

죽음과 葬禮 [ 編輯 ]

戰爭에서 죽는 것을 貴하게 여기었고, 屍身은 廉(殮)하였으며, 管(棺)李 存在하였다. 애初에 죽을 때에는 哭(哭)을 하나, 葬禮를 지낼 때는 곧 노래하고 춤추며 함께 亡者를 보낸다. 개를 살찌게 길러 이로써, 彩色한 노끈으로 목에 걸고 끌어내고, 또한, 죽은 者가 타던 말·衣服·生前의 裝身具를 거두어 모두 불태워 이로써 그에게 보낸다. 特히 묶인 個를 거느리는 것은 죽은 者의 神靈(神靈)을 護衛하고 赤山(赤山)으로 돌아가게 하려는 것이다. 赤山은 搖動(遼東) 西北쪽 數千里에 있는데, 中國人이 죽음의 渾身(魂神)李 泰山 (泰山)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는 것과 같다. 葬禮 치르는 날짜에 이르면, 밤에 親戚·親舊 무리가 모여 앉아, 끌려온 개와 말을 모두 세워 두고, 或은 노래하고 曲(哭)하는 者가 개와 말에게 고기를 던져 주었다. 두 사람에게 注文(呪文)을 입으로 외우게 했고, 죽은 者의 渾身(魂神)李 곧바로 가서 險하고 막힌 곳을 넘게 하였으며, 제멋대로 하는 鬼神이 막지 못하도록 保護하여, 그 敵産에 다다르도록 하였다. 그런 然後에 개와 말을 죽이고, 옷가지를 불살랐다. 鬼神을 恭敬하고, 하늘과 땅, 해와 달, 별, 山川(山川)에 祭祀 지냈으며, 또한 돌아가신 對人 中에서 굳센 名聲을 가진 字에도 또한 소와 羊으로 祭祀를 지내고서, 祭祀가 끝나면 모두 이를 불살랐다. 飮食을 먹기에 앞서 반드시 祭祀를 지냈다.

刑罰 [ 編輯 ]

그들이 맺은 法은, 大人의 말을 어기면 死刑이고, 盜賊질을 멈추지 아니하면 死刑이다. 그들이 서로 죽이면, 모든 마을이 스스로 서로 앙갚음하게 하고, 서로 앙갚음이 그치지 아니하면 나아가, 大人이 이를 情(定)하였다. 罪가 있는 者가 그의 소나 量을 내어 이로써 죽을 목숨을 贖罪하면 刑罰을 멈춘다. 스스로 그의 아비와 어미를 죽이는 것은 無罪이다. 萬若 逃亡하거나 배반한 字가 對人에게 사로잡히면, 모든 마을이 그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고, 모두가 그로 하여금 옹狂(雍狂)의 땅에 이르도록 쫓아냈다. 옹狂 땅에는 山이 없고, 沙漠·흐르는 물·草木과 많은 毒蛇·뱀·구렁이 等이 있으며, 精靈 (丁令)의 西南쪽이자 오손 (烏孫)의 東北쪽에 있어서 외지고 貧困하였다. 그들의 先祖가 匈奴에게 敗北한 뒤로부터 사람들의 무리가 孤立되고 弱해져 匈奴의 臣下가 되어 服從하고, 늘 해마다 소·말·孃을 날랐는데, 期限이 넘도록 準備되지 않으면 番番이 그들의 妻子息을 잡아갔다.

人物 [ 編輯 ]

  • 학단 (?旦): 書記 49年(巾舞 25年), 무리를 이끌고 落陽으로 가서 皇帝를 만나고 侯王(侯王)으로 封해졌다. 그의 무리는 搖動屬國, 요서, 우북평, 어양, 光陽, 상곡, 大君, 안門, 太原, 삭방군에 줄지어 있었다.
  • 欠持分 (欽志賁): 영평(西紀 58年~75年) 年間에 어양(漁陽)에서 種人들을 이끌고 叛亂을 일으켰다. 後에 요동태수 채융(祭?)李 軍士를 모아 欠持分을 죽이고 그 무리들을 擊破했다.
  • 無瑕 (無何): 後漢에 依해 솔中王으로 봉해진 對人으로 厚한 眼眥(安帝: 106-125) 때에 이르러 어양, 우북평, 안門에서 自身의 무리와 함께 선비, 匈奴와 합쳐 大君, 상곡, 濁軍, 五원을 掠奪했다. 이에 後漢은 大司農 하희(何熙)를 行 거기將軍으로 삼아 左右雨林(左右羽林) 5領의 兵士들과 邊方 7軍 餘양영(黎陽營)의 軍士를 일으켜 都合 2萬 名으로 이를 攻擊하니, 匈奴는 降伏하고 선비, 오환은 各各 새 밖으로 돌아갔다.
  • 융말外 (戎末?): 無瑕가 厚한 變更에서 쫓겨난 後, 後漢에 歸附하여 都尉(都尉)의 官職을 얻었고 王后(王侯) 돌귀(?歸), 巨然(去延) 等을 거느리고 오환교位 勁葉(耿曄)을 따라 새(塞)를 나가 선비를 攻擊해 戰功을 세웠다. 以後 융말외와 돌귀, 巨然은 솔中王(率衆王)으로 封해졌고 束帛(束帛-緋緞 묶음)을 下賜받았다.
  • 球歷거 (丘力居): 요서 烏桓對人으로 5千餘 落(落)을 이끌었다. 王이라 自稱하였다. 中産태수 將順을 中心으로 亂루, 小復緣, 五軟 等과 함께 淸州, 西周, 冀州, 柳州 等地에서 擄掠과 慘殺을 恣行하였다.
  • 難壘 (難樓): 상곡 烏桓對人으로 9千餘 落(落)을 이끌었다. 王이라 自稱하였다.
  • 小復緣 (蘇僕延): 搖動屬國 烏桓對人으로 千餘 落(落)을 이끌고 초왕(?王)을 自稱하였다.
  • 五軟 (烏延): 우북평 烏桓對人으로 8百餘 落(落)을 이끌고 寒露王(汗魯王)을 自稱하였다.
  • 答돈 (?頓): 球歷거의 조카. 球歷거가 죽은 뒤, 球歷거의 아들이 어려 그를 代身해 자리에 오른 烏桓의 對人으로 元素가 공손찬과 싸울 때, 원소를 도와 공손찬을 쳤다. 以後 小復緣, 五軟 等과 함께 袁紹에게 선우로 封해졌다. 累半이 長成하자, 그에게 자리를 돌려주고 自身은 累半 麾下의 王이 되었다. 元素가 曹操와 싸워 지고 原狀이 도망쳐 오자 받아주었다. 以後 유성에서 曹操와 싸웠으나 原狀과 함께 戰死했다.
  • 累半 (樓班): 球歷거의 아들. 長成하고 나서 小復緣을 통해, 선우로 推戴되었다.
  • 속浮幻 (速附丸): 答돈이 曹操에 敗해 죽은 後, 累半, 五軟 等과 함께 搖動으로 도망쳤으나 遼東에서 붙잡혀서 斬首되었다.
  • 구루돈 (寇婁敦): 우북평의 烏桓對人으로, 原狀, 答돈, 호류섭과 함께 夭逝로 달아났다. 毌丘儉 軍이 到着한다는 말을 듣고 호류섭과 함께 5千餘 무리를 이끌고 降伏했다.
  • 好류섭 (護留葉): 요서 烏桓對人으로 요서 오환도毒 솔中王에 封해졌다. 예전에 原狀을 따라 夭逝로 달아났었는데, 毌丘儉 軍이 到着한다는 말을 듣고 5千餘 무리를 이끌고 降伏했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各州 [ 編輯 ]

  1. 管(冠)의 一種으로, 걸어다니면 흔들리는 裝飾으로 만들어 머리에 쓰는 管(冠)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