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청원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禹 칭위안
吳 ?源
出生日 1914年 6月 12日 ( 1914-06-12 )
出生地 中華民國(現 中華人民共和國 ) 푸젠성 푸저우
死亡日 2014年 11月 30日 ( 2014-11-30 ) (100歲)
死亡地 日本, 가나가와縣 誤다와라

오청원 ( 吳?源 , 고 세이겐 (구레 기요하라), 禹 칭위안 , 1914年 6月 12日 ~ 2014年 11月 30日 )은 中國 푸젠성 出身으로 日本 에서 活動한 바둑 棋士 이자 日本을 代表하는 국수 다. 本名은 五千 (吳泉, 禹 醉眼 , 구레 이즈미)이다.

生涯 [ 編輯 ]

日本 留學 前인, 中國 時節 ‘少年 五千(吳泉)’의 스승은 固守餘(顧水如), 固守여는 北京 어느 起源에서 偶然히 少年 오천의 바둑을 구경하게 되고, 少年의 재주에 反해 한판 試驗器를 둔 後 弟子로 삼았으며, 以後 自己집으로 出退勤시키며 少年을 가르쳤다. 하루는 오천의 어머니가 少年과 같이 와서는 少年의 이름을 지어 주십사 要請했다. 그날은 마침 高先生의 兄인 淵如(연여)가 함께 있었는데, 연여가 “샘물은 맑지(泉水是 的)."라고 말했다. 이어 高先生이 말하기를, “샘물은 아득한 곳에서 솟아 멀리까지 흐르지(泉水是 遠流長的).”라고 말했다. 이리하여 五千은 吳淸源(오청원)이라는 또 하나의 이름이 생겼고 以後 이 이름으로 有名해지게 된다.

그는 바둑을 좋아하는 父親의 影響으로 7살 때부터 바둑을 배웠다. 1928年 어머니, 兄과 함께 日本으로 移住, 世故에 겐사쿠 의 門下에 들어갔다.

1934年 라이벌 기타니 미노루 와 共同으로 '危機(圍棋)의 革命 新布石法'을 發表, 1939~1941年 기타니 미노루와의 治水 고치기 十番棋에서 勝利해 바둑界의 1人者의 자리에 올랐다.

그 後 다른 日本 頂上級 바둑 騎士들과의 십번기에서도 勝利해 約 20年동안 1人者의 자리를 지켰다. 1983年 隱退하였고 門下에 린하이펑 , 루이나이웨이 를 뒀다.

國籍 [ 編輯 ]

國籍 科 이름은 여러 番 바뀌었다. 1936年 日本 國籍으로 바꾸고 이름을 구레 이즈미 (吳泉)로 바꿨다가 1940年 이름을 고 세이겐(吳 ?源)으로 다시 바꿨다. 1946年에는 國籍을 다시 中華民國으로 바꿨다. 1979年에는 다시 日本 國籍을 取得했다.

기타 [ 編輯 ]

  • 오청원은 1930~1950年代 日本 頂上級 바둑棋士들과의 置數고치기 10番棋에서 모조리 相對의 치數를 고쳤다. 置數고치기 10番期는 日本 에도 時代 에 始作된 바둑界의 '끝장對決'이다. 바둑을 10番 둬서 4板 差異가 나면 治水(氣力의 程度에 따라 누가 먼저 둘 것인가를 定하는 基準)를 고친다.
  • 바둑을 둘 때, 重用 (中庸) 33張에 나오는 '암연이일장(闇然而日章: 君子의 도는 어두워 보이나 날로 빛난다)'이라는 글句를 적어 넣은 揮毫 부채를 들고 大國에 臨했다.
  • '살아 있는 旣成(棋聖)' 또는 '20世紀의 旣成'이자 '現代바둑의 傳說(아버지)'로 불린다.
  • 中國 푸젠성 푸저우 에는 '오청원 바둑會館'이 있다.
  • "바둑은 弔花(調和)", " 妙手 를 세 番 내면 진다"라는 名言을 남김으로써 變則보다는 '原則과 定石'의 重要性을 强調하였다.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