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오스트리아-튀르크 戰爭 (1716年~1718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오스트리아-튀르크 戰爭 (1716年~1718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第6次 오스트리아-튀르크 戰爭
오스만-합스부르크 戰爭 의 一部

페트로바라딘 戰鬪
날짜 1716年 1月 - 1718年 7月 21日
場所
結果 오스트리아의 勝利
交戰國
신성 로마 제국 神聖 로마 帝國 오스만 제국 오스만 帝國
指揮官
신성 로마 제국 사부아 孔子 外製 오스만 제국 실라다르 다마트 알리 파샤
오스만 제국 하치 하릴 파샤

오스트리아-투르크 戰爭 오스트리아 오스만 帝國 사이의 紛爭을 말한다.

오스만 帝國 은 1699年 締結된 屈辱的 條約인 카를로비츠 條約 (Treaty of Karlowitz)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카를로비츠 條約 12年 後 오스만은 빈 戰鬪 (Battle of Vienna, 1683) 敗北에 對한 復讐를 願했다.

먼저, 오스만 對備자르 (Grand Vizier) 발타즈 메흐메트(Baltacı Mehmet)가 이끄는 오스만軍은 표트르 大帝 의 러시아軍을 擊破했다.( 러시아-투르크 戰爭 (1710年-1711年) 또는 프루트 遠征 ) 그 뒤, 투르크-베네치아 戰爭(1714年-1718年) 에서 代 非자르 다마트 알리(Damat Ali)가 이끄는 오스만軍은 1715年 모레아 (Morea; 펠로폰네소스 半島)를 베네치아로부터 되찾았다.

그에 反應해 오스트리아는 카를로비츠 條約의 保證人으로서 오스만 帝國에 威脅을 加했다. 그러나 오스만 帝國의 反應은 오스트리아를 相對로 戰爭을 宣布하게 했다.

1716年, 사부아 공 外製 (Prince Eugene of Savoy, 1663-1736)은 오스만君을 페트로바라딘 (Petrovaradin) 戰鬪에서 擊破한 뒤, 1716年 10月에는 바나트 (Banat; 루마니아 西部) 地方의 主導 티미쇼아라 (Timi?oara)를 占領했다. 이듬해 오스트리아軍이 베오그라드 (Beograd)까지 占領하자 오스만 帝國은 平和를 願했고, 1718年 파사로비츠 條約 (Treaty of Passarowitz)李 締結되었다. 條約으로 오스트리아는 1699年 얻은 領土를 確實히 인정받았고 베오그라드를 獲得했다. 도나우江 南쪽은 오스만 側에 남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