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役割修行理論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役割修行理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役割 遂行 理論 ( 英語 : Role-taking theory )은 心理學者 로버트 셀먼 (Robert Selman)이 認知 發達 分野에서 이 理論의 重要性을 强調한 것으로 잘 알려져있다. 그는 成熟한 役割遂行能力(Role Taking Ability)을 통해 우리의 行動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떠한 影響을 미칠수있는지 더 잘 理解할 수 있다고 主張한다. 한便 또한 우리가 役割 遂行 能力을 開發하는데 덜 準備됐다면 다른 사람들이 結果的으로만 行動하고 있다고 잘못 判斷할 餘地가 많아진다는 것이다. 外部 要因들에서 이 理論에 對한 셀먼의 主要 追加 事項中 하나는 經驗的으로 支援되는 役割 遂行 能力의 理論이다. [1] [2] [3] 이는 體驗과 經驗을 根據로 易地思之 또는 共感 能力의 脈絡에서 自身의 行動으로 惹起되는 影響이 다른이에게 어떻게 波及되는지를 理解함으로써 役割遂行能力을 開發해볼 수 있다.

ADHD [ 編輯 ]

ADHD 를 가진 아이들은 그들의 社會 環境에서 어려움을 겪지만, 이것에 對한 社會的 認知的 理由는 많은 部分에서 더 具體的인 모델提示가 이루어질 必要가 있다. 다만 ADHD가 있는 어린이는 ADHD가 없는 어린이보다 役割 遂行 能力이 낮고, 役割 遂行에대한 認識 및 使用이 적으며, 役割遂行能力을 開發하는데 더 느린 程度를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이러한 ADHD를 가진 어린이와 그렇지않은 어린이 사이의 有意味한 差異가 여러 硏究에서 報告되고있다. 이러한 結果를 勘案할 때 ADHD를 가진 아이들은 種種 對立하는 反應 行動 問題를 包含하여 社會的 技術을 向上시키기위한 '役割遂行能力'에 對한 訓鍊을 받는 것이 提案받고있다. [4]

成長段階 [ 編輯 ]

레벨 0 : 平等한 役割 遂行 (大略 3-6 歲) [1] [5]
레벨 1 : 主觀的인 役割 遂行 (大略 6 ~ 8 歲)
레벨 2 : 自己反省的 役割 遂行 (大略 8-10 歲)
레벨 3 : 相互 役割 遂行 (約 10-12 歲)
레벨 4 : 社會的 役割 遂行 (大略 12-15 歲 以後)

이러한 役割遂行能力의 레벨段階는 認知心理學 敵, 人本主義 心理學 的인 觀點뿐만아니라 더 나아가 人間 스스로가 自身의 自我 構築과 關聯해서 社會에 屬한 自身의 自我를 發見 및 再構成하고 그러한 社會에 다시금 自身을 보여주는 相互的이고 社會,文化的인 觀點을 폭넓게 確認할 수 있다.

이슈 [ 編輯 ]

役割遂行理論이 親社會性 行動(prosocial behavior)이라는 社會文化的인 肯定的 效果에 對한 그 量的 影響에 對한 重要性에도 不拘하고 役割遂行能力과 社會的 認知發達의 關聯에서 以外의 主要한 非認知的 要因의 追加的인 더 많은 硏究가 必要하다고 言及된바있다. [1] 例를 들어, 親한 親舊間의 不一致와 같은 社會的 經驗 自體는 役割 遂行能力과 社會的 認知能力의 成長을 促進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6] 또한 兄弟 姊妹의 不一致를 解決하기 위해 仲裁者 役割을 하는 어머니가 役割 遂行 能力과 社會的 認知 成熟을 促進하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兄弟 姊妹 葛藤 사이에서 父母의 影響이라는 追加的인 要因의 設定이 重要하게 받아들여진다. [7] 한便 役割遂行理論의 主要한 觀點인 여러變數를 考慮하는 安定된 行動에서의 事前的이고 代案을 包含하는 準備行動과 效果的인 言語의 使用에서의 豫測的인 考案은 如前히 이러한 協同的이고 人的 네트워크的인 役割遂行의 擴張이라는 이슈에서 보다 적합한 方向과 節次를 提供하는데 유리하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Shaffer, D.R. (2008).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2. Johnson, D.W. (1975). “Cooperativeness and social perspective ta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1 (2): 241?244. doi : 10.1037/h0076285 .  
  3. Selman, R.L. (1971b). “The relation of role taking to the development of moral judgment in children”. 《Child Development》 42 (1): 79?91. doi : 10.2307/1127066 . JSTOR   1127066 . PMID   5549516 .  
  4. Marton, I.; Wiener, J.; Rogers, M.; Moore, C.; Tannock, R. (2009). “Empathy and social perspective tak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7 (1): 107?118. doi : 10.1007/s10802-008-9262-4 . PMID   18712471 .  
  5. Selman, R.L.; Byrne, D.F. (1974). “A structural-developmental analysis of levels of role taking in middle childhood”. 《Child Development》 45 (3): 803?806. doi : 10.2307/1127850 . JSTOR   1127850 .  
  6. Nelson, J.; Aboud, F.E. (1985). “The resolution of social conflict among friends”. 《Child Development》 56 (4): 1009?17. doi : 10.1111/j.1467-8624.1985.tb00173.x .  
  7. Smith, J.; Ross, H. (2007). “Training parents to mediate sibling disputes affects children's negotiations and conflict understanding”. 《Child Development》 78 (3): 790?805. doi : 10.1111/j.1467-8624.2007.01033.x . PMID   17517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