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른스트 헤켈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에른스트 헤켈

에른스트 헤켈 (Ernst Haeckel, 1834年 - 1919年 )은 獨逸 의 有名한 生物學者 利子 博物學者 哲學者 , 醫師 , 敎授 , 畫家 였다. 풀네임은 에른스트 하인리히 필리프 아우구스트 헤켈 (Ernst Heinrich Philipp August Haeckel)이었으며 폰 헤켈 (Von Haeckel)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千餘 種에 學名을 붙였으며 系統學 , 分類學 , 生態學 , 原生生物 硏究에 많은 業績을 남겼다. 生態學 이란 낱말은 1866年 헤켈이 처음으로 使用했다. (生物體의 一般 形態論, Generelle Morphologie der Organismen , 1866 Berlin) 그는 찰스 다윈 進化論 獨逸 에 擴散시키는 데 寄與하였고, 뒷날 많은 論難을 불러일으킨 反復發生說 을 主唱하였다.

헤켈은 《 Kunstformen der Natur 》(1899-1904)를 통해 100餘 種의 海洋 生物의 多樣한 일러스트레이션을 出版하여 畫家로서의 才能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哲學的 業績으로는 니체 와 함께 著述한 《世界의 수수께끼》가 있다.

生涯 [ 編輯 ]

에른스트 헤켈은 1834年 2月 16日 포츠담 에서 태어났다. 메르歲부르크 의 가톨릭 高等學校를 1852年 에 卒業했으며 베를린 에서 醫學 을 工夫하였다. 그는 알베르트 폰 쾰리케리 等에게서 배웠으며 1857年 醫學 博士 學位를 授與받고 開業醫 免許를 取得하였다.

헤켈은 예나 大學 카를 게겐바우어 밑에서 動物學을 修學하였고 以後 1862年 부터 1909年 까지 47年間 예나 大學 比較解剖學 敎授로 在職하였다. 헤켈은 1859年 부터 1866年 까지 放射衝 , 海面 , 環形動物 과 같은 無脊椎動物 을 硏究하였다. 그는 1859年 부터 1887年 까지 地中海를 旅行하면서 發見한 150餘 種의 放射忠을 비롯하여 千餘種을 새로 發見하여 명명하였다. 1866年 부터 1867年 까지 헤켈은 카나리諸島에 對한 硏究를 심화시켰고 이때 찰스 다윈 , 토마스 헉슬리 , 찰스 라이엘 을 만났다.

1871年 아그네스 後쉬케와 結婚하여 1868年 아들 발터가, 1871年 長女 엘리자베스, 1873年 次女 엠마가 태어났다. 그 後 그는 노르웨이 , 달마티아 , 이집트 , 터키 , 그리스 等地로 硏究 旅行을 다녔다. 1910年 敎授職에서 隱退한 그는 1915年 아내가 世上을 떠난후 衰弱해졌으며 1919年 8月 9日 그의 自宅에서 死亡하였다.

政治 [ 編輯 ]

헤켈의 著書와 講演錄은 나중에 人種差別 , 國民主義 , 社會다윈주의 等의 科學的 根據로 使用되었다.

헤켈의 "政治는 生物學의 應用이다."라는 말은 後日 나치 에 依해 利用되었다. 나치는 헤켈의 一元論 을 利用하여 그들의 人種差別을 正當化하였다. 헤켈은 進化論을 바탕으로 世界의 모든 面이 必然的으로 單一한 統一性을 지니게 된다는 一元論을 主唱하였고, 政治 , 經濟 , 道德 은 生物學의 應用이라고 主張하였다. 그는 이러한 立場 아래 個個人의 發展 만큼이나 人種의 發展이 必要하며 未開한 種族은 보다 發達한 種族의 管理와 保護를 받아야 한다고 主張하였다.

反復 發生說 [ 編輯 ]

헤켈이 그린 反復 발생설을 主張하는 그림. 왼쪽부터 물고기 , 도롱뇽 , 거북 , , 돼지 , , 토끼 , 人間 .

發生反復說(發生反復說), Recapitulation theory 或은 反復說(反復說) 等으로 더 잘 알려져있으며 個體가 成長하는 동안 進化의 段階를 反復한다는 主張이다. 헤켈은 人間의 胎兒가 魚類, 爬蟲類 等의 段階와 類似한 모습을 거쳐 發生한다고 主張하였다.

人間 胎兒 의 成長 過程을 그린 그림으로 헤켈은 人間의 胎兒가 魚類, 爬蟲類 等의 段階와 類似한 모습을 거쳐 發生한다고 主張하였다. 헤켈의 發生도는 以後에 다른 進化學 硏究者들에 依해 헤켈이 意圖的으로 그림을 더 類似하게 그리는 等 造作했다는 點이 밝혀졌다. [1] [2]

各州 [ 編輯 ]

  1. 하인리히 贊클, 도복선 驛, 《科學의 詐欺꾼 (世界를 뒤흔든 科學 詐欺 事件과 그 主人公들의 辨明)》,시아출판사, ISBN   89-8144-184-7 [ 쪽 番號 必要 ]
  2.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6953471200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