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語彙上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語彙上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文法 에서 語彙上 (語彙相, lexical aspect) 또는 動作流 (動作類, aktionsarten)는 의 하나로, 語彙 自體가 內包하고 있는 上的 意味이다. 語彙上은 문법상 과 함께 像을 이루며 [1] , 時祭와 어울려 文章의 意味를 構成한다.

하나의 動詞는 單 하나의 語彙上으로 分類되는 것이 아니라, 結合하는 논항에 따라 둘 以上의 語彙上을 갖는다. 이때 動詞句 全體가 갖는 語彙上의 意味를 그 動詞의 狀況類型 (狀況類型, situation type)이라고 한다. [2] 이 觀點에 따르면 하나의 動詞는 여러 個의 狀況類型을 가질 수 있다.

分類 基準 [ 編輯 ]

美國의 言語學者 제노 벤들러(Zeno Vendler)는 動詞가 나타내는 事件이나 狀態 [週 1] 의 樣相에 따라 動詞를 分類하는 세 個의 基準을 提案하였다. 于先 動詞가 記述하는 事態에 自然스러운 끝點(final point)이 存在하는지의 與否(telic / atelic)로 動詞를 區分하여, 自然스러운 끝點이 存在하는 狀況을 記述하는 動詞는 終結性(終決性, telos)을 갖는다고 하였다. 다음으로 事態에 時幅(time span)李 存在하는지의 與否(durative / non-durative)로 動詞를 區分하여, 詩幅이 存在하는 狀況을 記述하는 動詞는 期間性(期間性, duration)을 갖는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事態가 政敵인지 아닌지, 卽 事態의 內部가 分析이 不可能한지 可能한지의 與否(static / dynamic)로 動詞를 區分하여, 持續的인 狀況을 記述하는 動詞는 力動性(力動性, dynamism)을 갖는다고 하였다. 이에 따른 分類는 아래와 같다. [3]

제노 벤들러의 4가지 語彙上 部類 (1957) [4]
力動性(dynamism) 期間性(duration) 終結性(telos)
狀態(state) - + -
行爲(activity) + + -
完遂(accomplishment) + + +
達成(achievement) + - +

1976年 英國의 言語學者 버나드 콤里(Bernard Comrie)가 다섯 番째 語彙上 部類인 瞬間(semelfactive)을 追加하였다. [5] 이 類型에 屬하는 動詞는 自然스러운 끝點이 存在하지 않고, 詩幅이 드러나지 않는 事態를 記述한다.

語彙上 部類 [ 編輯 ]

[-力動性]을 [+上台星]으로 代替하고, 瞬間(semelfactive) 範疇를 追加한 語彙上 部類는 아래와 같다.

上台星(state) 期間性(durativity) 終結性(telicity)
狀態(state) + + -
行爲(activity) - + -
完遂(accomplishment) - + +
達成(achievement) - - +
瞬間(semelfactive) - - -
韓國語의 語彙上 部類의 예 [6]
部類 凍死
狀態 凍死(state) 똑똑하다, 아름답다, 사랑하다, 알다, 믿다
行爲 凍死(activity) 뛰다, 걷다, 수레를 밀다
完遂 凍死(accomplishment) (집 한 채를) 짓다, (빵을) 만들다, 圓을 그리다
達成 凍死(achievement) 태어나다, (易에) 到着하다, (物件을) 發見하다, 깨닫다
瞬間 凍死(semelfactive) 기침하다, (침을) 뱉다

意味論者이자 統辭論者人 美國의 言語學者 데이비드 다우티(David Dowty)는 어떤 動詞가 어떤 語彙上에 屬하는지를 判別하는 基準을 提案하였다. 아래 表에서 ‘d.n.a.’는 “이 類型의 動詞에는 適用되지 않는다.”라는 意味이다.

Tests for Aspectual Verb Categories (Dowty, 1979)
基準 狀態 行爲 完遂 達成
1. 進行形을 나타낼 수 있는지 no yes ? yes
2. 單純 現在時制에서 習慣을 나타낼 수 있는지 no yes yes yes
3. φ for an hour , spend an hour φ-ing OK OK bad bad
4. φ in an hour , take an hour to φ bad bad OK OK
5. φ for an hour φ at all time in the hour 를 含意하는지 yes yes d.n.a. no
6. x is φ-ing x has φ-ed 를 含意하는지 d.n.a. yes d.n.a. no
7. stop 의 보어가 될 수 있는지 OK OK bad OK
8. finish 의 보어가 될 수 있는지 bad bad bad OK
9. almost 의 曖昧性 no no no yes
10. x φ-ed in an hour x is φ-ing during that hour 를 含意하는지 d.n.a. d.n.a. no yes
11. studiously , attentively , carefully 等과 함께 使用할 수 있는지 bad OK bad OK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內容主
  1. 以下에서는 ‘事件(event)이나 狀態(state)’를 모두 ‘事態(eventuality)’로 統一한다.
參照週
  1. 고영근 (1986). “國語의 時祭와 動作相” . 《새國語生活》 (서울: 國立國語院).  
  2. 구본관 外 2015 , 321쪽.
  3. Kate Kearns 2011 , 157쪽.
  4. Kate Kearns 2011 , 158쪽.
  5. Bernard Comrie 1976 , 42-43쪽.
  6. 강범모 2018 , 125-126쪽.

參考 文獻 [ 編輯 ]

  • Bernard Comrie (1976). 《Aspect: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verbal aspect and related problem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11093 .  
  • Kate Kearns (2011). 《Semantics》 第2板. Hampshire: Palgrave Macmillan. ISBN   9780230232303 .  
  • 강범모 (2018). 《意味論: 國語, 世界, 마음》. 서울: 韓國文化史. ISBN   9788968176012 .  
  • 구본관 外 (2015). 《韓國語 文法 總論 I ?開館, 音韻, 形態, 統社-》. 京畿: 집문당. ISBN   9788930316736 .  
  • 이영헌(譯者); Kate Kearns(原著者) (2003). 《意味論의 新傾向》. 서울: 韓國文化史. ISBN   97889773576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