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앤더스 비어 와일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앤더스 비어 와일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앤더스 비어 와일스 (Anders Beer Wilse, 1865年 6月 12日 ~ 1949年 2月 21日 )는 노르웨이 寫眞家 이다.

앤더스 비어 와일스
Anders Beer Wilse
基本 情報
出生 1865年 6月 12日
노르웨이 플레케피오르
死亡 1949年 2月 21日 (83歲)
노르웨이 오슬로
埋葬地 크라게뢰 墓地
性別 男性
國籍 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
職業 寫眞家
配偶者 헬렌 마리 허친슨(Helen Marie Hutchinson)
活動 情報

生涯 [ 編輯 ]

와일스는 플레케피오르 에서 태어났지만 크라게뢰 에서 자랐고 船員이 되고 싶어 했다. 1882年 호르텐 의 한 技術學校에서 技術 學位를 取得한 後 1884年 美國 으로 移住했다. 美國으로 移住 한 後 처음에는 일자리를 찾지 못했지만 結局 시애틀 에 定着하여 美國 地質調査局 에서 일했다. 그는 1886年에 첫 番째 카메라를 購入한 것으로 알려졌있다. 그는 노르웨이를 訪問한 後 1897年 시애틀에서 寫眞 가게를 열었고 헬렌 마리 허친슨(Helen Marie Hutchinson)과 結婚했다..

1900年 그의 아내와 아이들은 노르웨이로 移住했고, 이어 와일스度 家族들과 合流하여 美國에서 17年을 보낸 後 1901年 크리스티아니아 에 寫眞 가게를 열었다.

앤더스 비어 와일스의 아들 로버트 찰스 와일스, 1940年頃

와일스의 아들 로버트 찰스 와일스(Robert Charles Wilse, 1897年 12月 10日~1969年 9月 11日)도 아버지를 따라 有名한 寫眞家가 되었다.

크라게뢰에 位置한 앤더스 비어 와일스의 墓

作業 [ 編輯 ]

와일스는 寫眞 撮影을 위해 노르웨이를 廣範圍하게 旅行했다. 그는 10kg의 카메라를 들고 險峻한 地形을 지나 스발바르 諸島 만큼 北쪽 끝에 있는 接近이 힘든 地域으로 갔다.

와일스가 撮影한 "Gausta"( 街우스타吐펜 산), 1910年 10月 1日


와일스는 로포텐 制度 사람들이 물고기를 잡는 모습 等 사람들이 일 하는 모습과 自然風景을 카메라에 담았다. 그의 寫眞 事業 또한 큰 成功을 거두었으며 스웨덴의 寫眞家인 악셀 린달이 1880年代와 1890年代에 노르웨이에서 撮影한 作業物들 모두를 引受했다. 와일스의 寫眞은 내셔널 지오그래픽 잡지 에도 실렸다.

作業物 [ 編輯 ]

와일스는 生前에 約 200,000張의 寫眞들을 남겼다. 現在, 그가 撮影한 寫眞들 大部分은 10萬個 以上의 風景과 民族學的 寫眞이 있는 노르웨이 民俗博物館 , 오슬로의 歷史와 關聯된 寫眞들을 所藏하고 있는 오슬로 바이뮤지엄, 人物寫眞을 所藏하고 있는 노르웨이 國立圖書館 , 海洋寫眞을 所藏하고 있는 노르웨이 海洋博物館 等에 所藏되어 있다.

와일스가 撮影한 오슬로의 에너하우伽陀(Enerhauggata) 區域의 모습, 1903年


조지 이스트먼 하우스(George Eastman House)의 Chusseau-Flaviens 컬렉션에도 그의 寫眞 컬렉션이 保管되어 있다. 이러한 그의 寫眞들은 디지털로 스캔되고 있으며 大部分 온라인에서 接할 수 있다. 2014年, 와일스의 寫眞은 노르웨이의 가장 重要한 記錄 遺産인 "노르헤스 道쿠멘他르프(Norges dokumentarv)"에 包含되었다. 노르웨이의 新聞社인 Dagens Næringsliv 는 와일스를 많은 文化遺産을 남긴 노르웨이의 가장 著名한 寫眞 作家로 描寫하기도 했다.

갤러리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위키미디어 公用에 앤더스 비어 와일스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