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亞타케婦女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亞타케婦女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亞타케婦女의 모습.

亞타케婦女 ( 日本語 : 安宅船 )는 壬辰倭亂 當時 日本 水軍이 使用하던 大型 戰鬪艦이다. 韓國語로는 안택선 으로도 부른다. 아다케부네는 戰鬪線이라기보다는 日本 戰國時代 封建領主들이 威勢를 誇示하기 위한 性格이 짙었다. 壬辰倭亂 當時 倭船들은 大槪 朝鮮 水軍 의 主力艦選 이었던 板屋船 보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海戰에서 慘敗한 原因이 되었다. 또한 이 배는 2層 또는 3層 樓閣을 設置한 것을 特徵으로 하는데 임란 當時의 使用된 안택선은 두 사람의 櫓잡이를 둔 大型노 40자루를 裝備한 크기였다고 한다. [1] 이름의 由來는 甲板 위에 模樣의 指揮所가 있는 데서 起因했다. 배의 높이는 大略 3層 높이만 하며, 全體 길이는 30m 程度이다. 朝鮮의 板屋船보다 길이는 긴 便이다. 甲板은 2層 構造로 되어 上甲板에 戰鬪員이 搭乘하고, 下甲板에 櫓잡이들이 搭乘하는데 노는 大略 90餘個이다. 上甲板에는 銃砲 大砲 를 쏠 수 있는 구멍과 盧 젓는 구멍이 있다.

船體는 뾰족한 尖底選 이고 特徵은 배 위에 나무로 집(樓閣)을 지어놓은 形態이다.

名稱 [ 編輯 ]

亞타케婦女(安宅船)라는 이름은 安宅、 阿武로도 表記되며, 中世에서 近世에 걸친 日本의 軍船 가운데서도 大型級을 가리킨다. 큰 것으로는 길이 50m 以上、幅 10m 以上의 거體를 자랑하며 五五亞타케(大安宅, おおあたけ)로도 불렸다. 飼料上으로 亞타케婦女의 이름이 登場하는 것은 16世紀 中葉 덴分(天文) 年間 무렵이다. 高老 氏(河野氏)가 支配하던 이요(伊予) 卽 當時 日本 水軍(水軍)의 先進地域이었던 細土 內海(???海) 西部에서 처음으로 確認되는 것이다.

「亞타케婦女」(安宅船)라 불리게 된 由來는 確實하게 定해져 있지 않으나, 센고쿠 時代(??時代) 아와지(淡路) 隣近을 根據로 하고 있던 아타케 氏(安宅氏)로부터 由來하였다는 說, 巨大하고 많은 사람들을 태울 수 있는 배라는 데에서 「아타케」(安宅)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說, 「亂暴하다」(暴れる)는 意味가 있는 「あたける」라는 日本語 動詞에서 由來하였다는 說, 호쿠리쿠度(北陸道)의 指名 아타카(安宅, 오늘날의 日本 이시카와 縣(石川?) 고마쓰 時(小松市))와 關係가 있다는 說, 무쓰 (陸?)의 아부쿠마 江(阿武?川) 流域을 가리키는 옛 地名인 아타케(阿武)와 關係가 있다는 說 等이 있다. 이름에 關한 決定的인 說은 없으나 日本의 배의 種類別 名稱으로써는 히젠 (肥前) 마쓰라(松浦)의 마쓰라婦女(松浦船), 구마노나다(熊野灘)의 마쿠마老婦女(?熊野船)의 事例처럼 그 배가 乾燥되어 使用되거나 한 指名을 차지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 많다. 히젠 마쓰라와 구마노는 이요와 마찬가지로 모두 헤이안 時代 以前부터 水軍의 據點으로 이름이 높았다.

救助 [ 編輯 ]

亞타케婦女는 中國의 明나라로 가는 遣明船(遣明船)으로도 使用되었던 後他나리婦女(二形船)나 이세부네(伊勢船) 等 大型 火船(和船, 日本 傳統 船舶)을 軍用으로 改良한 것으로 작은 것은 5百 席 들이(1석들이는 約 150kg)에서 큰 것은 1千 석 以上의 規模를 자랑하였다.

모두 뱃머리 윗部分이 모난 形態를 하고 있고 야쿠라(矢倉)라고 불리는 甲板上의 上部 構造物도 角진 模樣의 箱子 構造로 되어 있는 것이 特徵이다. 上部 構造物은 船體의 全體 길이에 가깝기에 소야구라(?矢倉)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形態에 따라 確保된 넓은 船體 위에 木製 楯板(楯板)을 左右縣과 앞뒤에 붙여서 화살과 彈丸으로부터 船員들을 保護하였다. 元來 速度가 나지 않는 大型 船舶으로 速度를 희생시킨 代身 防禦力을 높인 것이다. 楯板에는 瑕疵마(?間)라 불리는 總安易 設置되어 그 틈새로부터 활이나 銃을 쏘아서 敵船을 攻擊하는 方式이었다. 相對便의 배로 옮겨 타서 攻擊하기 위해서 敵船과 배를 붙일 때는 이 脣瓣을 떼어서 一種의 널다리로 使用할 수 있었고, 楯板으로 둘러싸인 소야구라 위쪽에는 지붕이 씌워져 있어서 겉보기에 城郭 施設果刀 恰似하였다. 特히 큰 亞타케婦女의 境遇 2層에서 4層까지 樓閣이 세워지기도 하였고, 그 構造와 重厚함으로 因해 亞타케婦女는 으레 '바다 위의 性'에 比喩되고는 하였다.

當時의 火線과 共通된 船體 構造로써 板子들을 누이쿠기(縫い釘)라는 못과 가스가이(かすがい)라는 걸쇠로 엮어서 建造하였으며 남만(서양)이나 中國의 船舶에 비해 骨格으로의 龍骨은 없다. 輕量은 救助船이나 같은 構造의 여러 배들처럼 衝突이나 坐礁 等의 衝擊으로 水密이 낮아져서 물이 새는 것에 弱하다는 弱點도 있다. 이는 軍用船으로서는 衝角(來밍)을 통한 攻擊이 不可能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軍船으로써 큰 缺點이다. 또한 西洋의 갤리선과 달리 國內에서의 沿岸 戰鬪를 目的으로 하기 때문에 外樣으로 나가는 能力에는 制限이 있었다.

배를 나아가게 하는 데에는 돛도 使用되었으나 戰鬪 때에는 돛대를 접고 노만 使用해서 航海하였다. 櫓의 數는 적게는 50채 程度에서 많은 것은 150채 以上에 達하였으며, 50名에서 2百 名 程度의 고기테(漕ぎ手, 櫓잡이)가 搭乘하였다. 五五아타케의 境遇 두 사람이 붙어서 젓는 大型 櫓를 使用하는 境遇도 있었다. 戰鬪員은 怒氣테와 分離되어 搭乘하였으며 마찬가지로 數十 名에서 數百 名 程度가 搭乘하였다.

後期에 들어서 大型化와 重武裝化가 함께 進行되어 特히 火氣(火器)를 使用한 戰鬪에 對應하여 楯板에 얇은 鐵板을 대기도 하였다고 한다. 武裝도 陸上의 運搬에 不適合한 大砲와 大砲가 配置돼 强力한 火力으로 타함을 壓倒하였으나, 16世紀 後半 朝鮮의 板屋船 에 비하여 배의 四面에 모두 火砲를 配置하지는 못하는 等 積載할 수 있는 火砲의 數는 限定되어 있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釜慶大 環境海洋大學 以上尹 敎授 著述, '技術, 倍, 政治 - 技術, 倍, 政治는 世界霸權을 어떻게 바꿨는가? 295-297쪽( ISBN   978-89-93989-02-1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259315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