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아르미안의 네딸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아르미안의 네딸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아르미안의 네딸들
장르 판타지 , 歷史
漫畫
作家 신일숙
出版社 대한민국 대원씨아이
連載 期間 1986年 ~ 1996年
卷數 1996年 대원씨아이 前 14卷
2008年 학산문화사 全 10卷(신일숙 幻想全集 1)
- 討論

아르미안의 네딸들 》은 신일숙 이 쓴 韓國의 長篇 連載 漫畫이다. 1986年 圖書出版 프린스에서 첫 連載를 始作하여 1995年 圖書出版 아트맨에서 才幹, 1996年 대원씨아이에서 다시 才幹, 完決하였다.

槪要 [ 編輯 ]

紀元前 487年을 始作으로 古代 페르시아 의 속領인 갈데아( 新 바빌로니아 ) 地域에 位置한 假想의 王國 아르미안과 아르미안 王家의 마지막 네 王女의 삶에 關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假想의 國家와 登場人物이 多數 登場하며 神話와 傳說이 이야기의 株를 잇고 있으나 實際 歷史的 人物과 에피소드 또한 多數 布陣한 敍事 構造를 가지고 있다.

줄거리 및 設定 [ 編輯 ]

줄거리 [ 編輯 ]

招待 女王 마하視바야 以來로 달의 女神 실라를 國家的인 守護神으로 삼고 女性만이 王位에 오르는 나라 아르미안의 王家에는 마누아, 스와르다, 아스파샤, 샤르휘나 네 王女가 있다. 어린 時節부터 王位 繼承者로 指名받아 女王으로 訓鍊받아 온 長女 마누아는 亦是 女王이 될 運命을 타고 난 宿命的 競爭者인 막내 샤르휘나와 葛藤을 빚다 結局 競爭에서 勝利하여 王位에 오른 뒤 샤르휘나를 逐出, 追放한다. 추방당한 샤르휘나는 오직 故國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一念 下에 아르미안의 律法上 追放者가 歸國할 수 있는 唯一한 方法인 불새의 깃털을 찾아 全 世界를 떠돌며 온갖 冒險을 겪게 된다.

설정 [ 編輯 ]

  • 아르미안의 招待 女王 마하視바야는 强한 與專社로 黃金빛 머리카락을 가져 '黃金의 女王'이라는 別稱으로도 불리며, 神과 人間의 딸 或은 北部의 與信으로도 알려졌다. 아르미안의 傳說에 따르면 불새의 모습으로 날아와 一帶의 不足을 統合한 뒤 스스로 王이 된 마하視바야는 300餘年 間 王國을 支配한 뒤 다시 불새가 되어 날아갔다고 한다. 以後 아르미안은 달과 불새, 女王을 신성히 여겨 女人을 國王으로 삼는 傳統을 가지게 되었으며 特히 金髮의 女王을 神聖하게 여겼는데, 마하視바야 以來로 아르미안 歷史上 金髮의 女王은 샤르휘나 單 한 名에 不過하였다. 이러한 아르미안 社會의 굳은 믿음은 마누아가 十餘 歲에 不過했던 어린 샤르휘나를 自身의 正統性을 威脅하는 强力한 政治的 競爭者로 여겨 結局 追放하는 데 一助하기도 하였다.
  • 아르미안의 女王은 레 마누 라는 特別한 別稱으로 불리며, 레 마누의 後繼者는 레 마누아 로 불린다. 레 마누아는 女性 王族들 中 選別을 통해 한 名이 뽑히며, 大槪 레 마누의 直系 딸들인 境遇가 많다. 레 마누아로 選拔되면 레 마누價 될 때까지 後繼者의 象徵인 검은 베일을 써서 얼굴을 가린다. 以後 레 마누價 되면 數도 스마의 王宮이자 代身前인 파일라 가드에서 舞姬들과 神女들을 거느리며 살게 된다. 歷代 레 마누들은 叡智力, 瞬間移動 等 特殊한 超能力을 지닌 境遇가 大部分이었으며 直接的으로 政治에 參與하였다.
  • 11代 레 마누의 時代 以來로 레 마누의 後繼者 競爭에서 匹敵하는 能力을 보이다 結局 탈락한 候補者는 '마누의 不文律'이라는 名目 下에 處斷된다. 샤르휘나 亦是 이 對象으로 除去 對象이었으나 어린 나이와 마누아의 一抹의 同情으로 보다 가벼운 追放令을 받는 것으로 決定된다.
  • 레 마누는 結婚하지 않으며, '神聖한 儀式'으로 불리는 要式 節次를 통해 團地 同寢의 相對를 定해 아이를 낳는다. 同寢의 相對는 '神聖한 相對'라는 呼稱으로 불리며 아르미안人에게는 最高의 榮譽로 받아들여지나 日人을 繼續 神聖한 相對로 指目하지는 못한다.
  • 公式的으로 레 마누에게는 아들이 없고, 딸만 存在한다. 흔히 레 마누는 特有의 神聖함으로 딸만을 낳는 것으로 大衆에 弘報되었으나, 實際로는 불새와 달의 王國이라는 아르미안만의 正體性을 維持하기 위해 레 마누價 아들을 낳으면 이를 除去하고 딸만을 認定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아르미안의 네딸들》上에서는 내시 헤게만이 記錄한 6代에 걸친 레 마누들의 豫言書 '헤게만의 戰서'에 揷入된 마하시바야의 豫言이 그러한 傳統의 始初가 된 것으로 描寫된다. 아르미안은 달의 나라 레 마누는 달이니, 달은 女王의 象徵이라. 따라서 아들은 決코 달이 될 수 없으며 그들은 달의 威脅자라. 아들은 太陽을 끌어들이고 太陽이 들어서면 달은 衰退하리라.
  • 레 마누價 죽으면 天鵝聲(天鵝聲)을 울려 그 逝去를 全國에 알리며, 通常 보름間의 國喪 期間을 거친다. 죽은 레 마누는 神聖을 喪失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며 죽은 者에게 執着하지 않는 아르미안의 風習上 最大限 簡素한 葬禮를 치른 뒤 歷代 레 마누의 先山人 '레다의 故鄕'에 묻힌다. 葬禮式 때에는 레 마누의 딸들을 비롯한 王族들이 各自 말을 타고 레다의 故鄕까지 騎馬行列을 하는 禮式을 擧行하며, 葬禮를 치른 뒤 새로운 레 마누價 戴冠式을 치르게 된다.

登場人物 [ 編輯 ]

첫째 마누아와 關聯人物 [ 編輯 ]

  • 마누아
    네 王女 中 長女로 38代 레 마누. 本名 自體가 後繼者를 뜻하는 '마누아'이다. 수호성은 木星.

누구보다 이 나라를 사랑했지만 長老會의 野慾에 呻吟하며 죽은 어머니를 불쌍히 여긴 外剛內柔의 女人.

  • 리할
    마누아의 運命의 相對. 本名 리할 에스파카나 오타네스. 名文 오타네스 家門의 宗孫이자 後繼者로 페르시아 에테에 位置한 富國(部國)이자 오타네스價의 自治領人 베네의 王子이다. 代代로 莊子는 皇室의 皇女와 結婚하는 오타네스 街의 特性上 皇女 소니아의 아들이며 그 自身 또한 다리우스 皇帝의 딸 시메野와 約婚하였다. 그러나 마누아의 要請으로 시메野와 破婚한 뒤 마누아와 婚姻한다. 以後 마누아와의 結婚을 破棄하고 크세르크세스의 딸 아리에샤 皇女와 結婚하나 마누아를 잊지 못하고 煩悶한다. 리割은 假想 人物이나 오타네스(Otanes) 가는 實存한 家門으로, 다리우스 1歲 의 黃위簒奪 當時 그의 곁에서 도움을 준 여섯 名門家 中 하나였다.
  • 케네스
    本名 케네스 테오 케시아. 마누아의 貸付利子 長老會長人 구사야의 아들로 마누아의 護衛武裝. 卓越한 軍事的 能力과 武術 實力을 갖추었으며 單純하고 直線的인 性格의 所有者로 마누아가 죽을 때까지 그女를 戀慕한다.
  • 離反 게뤼압
    샤르휘나의 代父 이삭 대장로의 아들. 샤르휘나를 除去하기 위한 長老會의 陰謀에 휘말려 섣불리 마누아의 暗殺 陰謀에 關與하였다가 失敗, 오히려 이삭 대장로의 處刑과 家門의 滅門之禍의 原因이 된다. 샤르휘나의 超能力으로 艱辛히 목숨을 건진 뒤 아르미안의 敵國 아라비아로 넘어가 功을 세워 모압派 王의 寵臣(寵臣)李 된다. 以後 마누아에 對한 깊은 憎惡와 復讐心으로 歲月을 보내다 結局 마누아의 죽음에 一助하게 된다.
  • 마누엘
    本名 마누엘 라드 오타네스. 마누아와 리할 사이에서 태어난 唯一한 아들. 레 마누의 아들은 祕密裏에 除去하는 아르미안의 律法上 태어나자마자 죽을 運命이었으나 케네스에 依해 살아난 뒤 리割의 後繼者로 키워진다. 페르시아人이 아닌 生母의 身分으로 베네의 嫡長子임에도 政治的 立地가 脆弱했던 自身의 位置를 確固하게 하기 위해 아버지인 리할이 皇帝에게 自尊心을 굽히는 것을 目擊하고, 繼母이자 亦是 또 다른 아들을 낳은 아리에샤 皇女와도 微妙한(계모를 사랑하는?) 葛藤을 겪으며 괴로워하다 19歲 때 바헬라를 만나면서 오타네스가를 떠나게 된다.
  • 바헬라
    本名 레 彼我 바헬라. '차가운 바다의 아가씨'라는 뜻으로 아스파샤와 바헬 사이에서 태어난 딸. 아스파샤가 失性한 뒤 마누아에게 入養되어 마누아의 後繼者로 길러진다. 아르미안이 滅亡한 뒤 아르미안 流民들과 함께 流浪藝人이 되어 全 世界를 떠돌던 途中 마누엘이 19歲 되던 해에 運命의 이끌림으로 베네로 흘러들어와 그와 遭遇한다. 첫 눈에 서로 四寸이자 같은 불새의 血族임을 깨닫고 사랑에 빠진 뒤 마누엘과 함께 사라진다.

둘째 스와르다와 關聯人物 [ 編輯 ]

  • 스와르다
    네 王女 中 次女로 本名은 와스디 스와르다. 네 姊妹 中에서는 唯一하게 아무런 超能力이 없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實際로는 自身의 運命에 悲劇이 닥칠 때마다 이를 알게 되는 能力이 있었다. 優雅함과 氣品을 갖춘 世界 第一의 美女로, 마누아의 計略에 依해 마누아와 리割의 結婚式에 參席하려고 아르미안을 訪問한 크세르크세스의 앞에서 춤을 추고 强制로 하룻밤을 보낸다. 크세르크세스는 아내로 맞이할 것이 아니면 동생을 줄 수 없다는 마누아의 要求에 따라 正式으로 請婚을 하고 스와르다는 네 番째 定處이자 皇后가 된다. 아르미안 側에서는 '스와르다'라는 이름으로 불리나 페르시아 側에서는 '와스디'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크세르크세스에게 특별한 寵愛를 받았으나 막상 本人은 如前히 리割에 對한 戀慕의 感情에서 헤어나오지 못해 크세르크세스의 사랑에 報答하지 못하는 것에 괴로워했으며, 이는 後日 스와르다가 크세르크세스의 憤怒를 산 뒤 처형당하는 原因이 되었다. 聖書 《 에스더서(書) 》의 아하수에로스 王의 王妃 와스디가 그 모델.
  • 크세르크세스
    스와르다의 運命의 相對. 페르시아 帝國 아케메네스 皇祖의 皇帝 크세르크세스 1歲 로 實存 人物이다. 다리우스 1歲 와 다리우스 1歲의 皇妃이자 키루스 2歲 의 딸인 아토사 사이에서 태어난 莊子로 皇位에 올랐다. 스와르다를 處刑한 뒤 아르미안을 侵攻하여 結局 멸망시킨다. 以後 그리스 侵攻에서 크게 敗한 뒤 精神的인 均衡을 잃고 墮落한 나날을 보내다 結局 살해당한다. 實際 歷史에서는 具體的인 末年에 對한 記錄이 남아 있지 않으나 《아르미안의 네딸들》에서는 紀元前 465年 아르미안 遺民의 손에 暗殺되는 것으로 描寫되었다.
  • 시메野 皇女
    크세르크세스의 이福 女同生이자 세 番째 皇后이다. 本來 리割의 約婚女였으나 마누아의 計略에 依해 파혼당하면서 크세르크세스와 婚姻한다. 스와르다가 크세르크세스의 愛情을 獨차지하자 이에 怏心을 품고 스와르多義 周邊을 摸索, 리할과의 聯關點을 찾아내어 스와르다가 처형당하는 것에 一助한다. 아들 다리우스(다라野바슈, 다리오)를 皇位에 올리고 싶어했으나 막상 크세르크세스가 死亡한 뒤 다리우스는 異服兄 아르타크세르크세스(아닥사스다)의 손에 살해당하였으며, 以後 아르타크세르크세스가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歲 로 皇位에 올랐다.
  • 이반 皇子
    크세르크세스의 이福 男동생으로 印度人 어머니에게서 태어났다. 스와르다에게 戀情을 품고 그의 女同生인 아스파샤에게 求婚하기도 하나 그의 求婚이 自身보다는 스와르다에 對한 마음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달은 아스파샤에 依해 거절당한다. 스와르다가 處刑된 뒤 皇子의 身分을 버리고 出家하여 어머니의 나라인 印度로 돌아가 高僧이 되었다. 以後 山神(山神) 쿠울레를 찾아 印度로 흘러들어온 샤르휘나와 偶然히 因緣을 맺고 그女를 돕게 된다.

셋째 아스파샤와 關聯人物 [ 編輯 ]

  • 아스파샤
    네 王女 中 三女로 本名은 아스파샤 페렐 옴머셋. 治癒能力을 지니고 있으며 부드럽고 溫厚하지만 心志가 굳은 外柔內剛型 性格으로 네 姊妹의 어머니인 基르샤 옴머셋과 가장 비슷하다는 評을 듣는다. 姊妹들 中 샤르휘나와 가장 親密한 關係를 가졌다. 不意의 事故로 記憶을 잃고 페르시아의 奴隸 市場에서 奴隸로 팔리고 있던 페리클레스를 發見했을 때 그의 金髮을 보고 샤르휘나와 錯覺한 因緣으로 結局 그를 山 뒤 '바헬'이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페르시아의 王宮에서 보살핀다. 페리클레스가 自身의 運命의 相對이며 偉大한 政治家가 될 運命을 타고났음을 直感한 아스파샤는 언니 마누아의 許諾 下에 王女의 身分을 버리고 그와 結婚한다. 밀레투스 出身으로 페리클레스의 戀人이자 實存 人物인 아스파시아 가 그 모델.
  • 페리클레스
    아스파샤의 運命의 相對. 古代 그리스 아테네 의 政治家이자 軍人으로 實存 人物이다. 《아르미안의 네딸들》에서는 名門 貴族 血統이나 海賊을 만나 負傷을 입은 事故로 記憶을 잃고 奴隸 身分으로 王女인 아스파샤와 처음 만나는 것으로 描寫된다. 後日 아스파샤와 婚姻하고 그리스로 가던 途中 밀레투스 에서 盜賊들에 依해 한番 목숨을 잃게 되나 그가 아스파샤의 運命의 相對이며 아직 죽을 運命이 아님을 認知한 샤르휘나가 에일레스를 說得해 使臣(死神) 마흐툰과 死鬪를 벌인 끝에 그의 靈魂을 救해 되살린다. 다시 살아나는 過程에서 過去의 記憶은 되찾았으나 아스파샤와의 追憶은 모두 잊은 페리클레스는 아테네로 歸國하여 옛 約婚女와 婚姻한다. 老年에 이르러서야 '아스파시아'로서의 아스파샤와 再會한 그는 아스파샤와 다시 사랑에 빠지고, 아스파샤가 아이를 낳은 뒤 그女가 自身과 사랑했었던 옛 少女임을 깨닫게 된다.
  • 아크十五쿠스
    밀레투스 사람으로 山賊 頭目. 그리스로 向하던 아스파샤 一行을 襲擊하여 페리클레스의 죽음에 一助했으나 以後 아스파샤의 특별한 能力에 依해 목숨을 건지고 그女의 溫和함에 感化되면서 改過遷善한다. 本性은 淳朴하고 忠誠心 剛한 性格으로 아스파샤를 物心兩面으로 돕는다.
  • 플레니스
    샤르휘나와 글라우커스의 生父. 불새의 대자(代子)이다. 장님이자 金髮의 吟遊詩人으로 山神 쿠울레의 아들이다.

넷째 샤르휘나와 關聯人物 [ 編輯 ]

  • 샤르휘나
    네 王女 中 막내. '運命의 少女', '아마兆나(여전사)' 와 같은 呼稱으로도 불린다. 언니 마누아의 뒤를 이어 아르미안의 마지막 레 마누價 된다. 수호성은 彗星. 招待 女王 마하視바야 以後 처음이자 마지막 金髮의 女王으로 보라色 눈瞳子와 黃金빛 머리칼을 가졌다. 어린 時節에는 어머니 기르샤의 命令으로 染色하여 머리色을 숨겼으나 기르샤의 死亡 後 金髮임이 드러남과 同時에 十餘 歲의 어린 나이에도 不拘하고 黃金빛 갈기의 神馬(神馬) 流寓칼시바를 길들이면서 威脅을 느낀 마누아에 依해 아르미안에서 추방당한다.
  • 에일레스
    샤르휘나의 運命의 相對. 本來는 神들이 無限한 삶을 살기 위해 '有限한 生命'이라는 自身들의 不完全함을 모아 둔 高렘에 不過했으나 彗星의 기운을 받고 하나의 獨立體로 誕生하여 戰爭과 破滅의 神이 된다.
  • 미카엘
    本名은 미카엘 파레스 리온. 바다의 女神 라아나가 가장 寵愛하는 아들로 페가수스 의 精氣를 받아 태어났으며 名馬이자 神馬 류우칼시바에 깃든 精靈이다. 샤르휘나에게 길들여진 以後 그女를 사랑하여 그女의 冒險에 同行하며 全 世界를 떠돌게 된다.
  • 글라우커스
    샤르휘나가 델피 아폴론 神殿으로부터 '運命의 열쇠를 주는 者'라는 豫言을 받은 뒤 찾아낸 人物. '사람이되 사람이 아니며, 하나이되 復讐인 者'로도 불린다. 紫水晶의 守護者이자 叡智者, 先知者(先知者)이다. 叡智者이자 神과 人間의 混血인 아버지와 修正의 精靈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나자마자 어머니인 修正의 精靈이 불새의 女王 마하視바야로부터 받은 神聖한 紫水晶에 그의 靈魂을, 紫水晶의 面 하나하나에 그의 壽命을 담으면서 그 紫水晶이 無事한 한 不死의 몸이자 多衆 生命體로 살아갈 수 있는 運命을 갖게 되었다. 어머니와 마하視바야 사이의 約束으로 生命의 根源인 紫水晶이 마하시바야의 血統인 샤르휘나의 손에 들어가게 되면서 샤르휘나에게 從屬되고, 아버지와 그 自身 사이의 約束으로 샤르휘나가 運命의 意味를 찾게 될 때까지 그女의 길 案內를 맡는 運命 또한 갖게 된다. 샤르휘나의 이福 오빠.
  • 칼리엘라
    불의 고양이. 불의 女神 팔라가 낳은 精靈이다. 初期에는 어린 아이의 外貌에 고양이의 下半身을 가진 半인 半修(半人半獸)의 모습을 지니고 있었으나 미카엘에 對한 戀慕의 感情으로 自己 自身을 성장시켜 漸次 成人 女性의 모습으로 變貌한다. 불의 女神 候補이다.
  • 野獸말다
    他리스의 一族. 앙고르 聖地가 消滅되고 他리스의 聖地가 再建되는 途中 사라져 世界를 떠돌다 샤르휘나 一行에 合流한다. 앙고르 聖地가 崩壞되는 過程에서 聖地의 核인 黃水晶으로부터 '불새의 그림자'를 吸收, 샤르휘나 一行을 불새가 있는 곳으로 引導하는 役割을 맡는다.
  • 마흐툰
    죽음의 神. 샤르휘나와 에일레스가 페리클레스의 靈魂을 求하는 過程에서 사라만다의 心臟인 피의 다이아몬드의 效果로 '피의 얼음' 속에 肉體가 봉쇄당하는 屈辱을 겪은 뒤 샤르휘나와 에일레스에 對한 깊은 怨恨을 품게 된다. 山神 쿠울레를 만나기 위해 印度의 로말레스 山으로 向하는 샤르휘나를 自身의 英知人 앙고르 聖地로 誘引해 復讐하고자 하나 失敗한다.

기타 登場人物 [ 編輯 ]

  • 포이보스
    叡智의 神.
  • 裸芽나
    바다의 女神. 샤르휘나에게 人間이든 神이든 벨 수 있는 神聖한 檢印 물의 劍을 준다.
  • 基르샤 옴머셋
    37代 레 마누. 네 王女의 어머니이다. 歷代 레 마누 中 가장 溫和한 性格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溫厚함으로 國民들로부터 가장 사랑받는 女王이었으나 反對로 王權 弱化에 一助하기도 하였다. 마누아, 스와르다, 아스파샤의 生父인 하갈 모스타크와 사랑에 빠져 律法을 어기고 11年間 그와 事實婚 關係를 維持했으나 케네스의 아버지 구사야에 依해 眞實이 드러나자 세 딸의 王位繼承權을 擔保로 한 長老會의 强要로 새로운 神聖한 相對를 맞아들여 샤르휘나를 낳는다. 기르샤의 이러한 政治的 幼弱함과 長老會의 王權 侵害 및 權力 濫用은 마누아가 强力한 王權 構築과 長老會 廢止를 決心하는 決定的인 契機가 되었다.
  • 하갈 某스타크
    마누아, 스와르다, 아스파샤의 生父(生父). 유대系의 靑年으로 기르샤와 사랑에 빠져 레 마누의 神聖한 相對는 한 名이 繼續 指目되어서는 안 된다는 律法을 어기고 基르샤와의 公募 下에 여러 모습으로 變裝, 指目되어 세 王女를 낳는 데 一助하였다. 구사야에 依해 眞實이 밝혀진 뒤 아르미안에서 追放되나 身分을 숨기고 아르미안을 旅行하는 旅行客들의 길을 引導하는 案內役을 맡아 生計를 維持한다. 기르샤가 死亡한 뒤 레 마누들의 先山이자 기르샤가 묻힌 '레다의 故鄕' 앞에서 屍身으로 發見된다.
  • 구사야
    아르미안 長老會의 場이자 마누아의 代父 兼 師傅. 케네스의 아버지이다.
  • 벨多레트 長老
    리트派의 長老로 마누아의 오른팔이자 心腹. 마누아의 卽位 直後 新進勢力으로 登場해 特有의 뛰어난 知性과 政治的 感覺으로 마누아의 눈에 들게 된다.
  • 이삭 대장로
    샤르휘나의 貸付利子 臺長老會의 一圓. 學識이 깊고 溫厚한 性品으로 離反 게뤼壓의 아버지이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