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心臟絲狀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心臟絲狀蟲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心臟絲狀蟲 (心臟絲狀蟲)은 學名으로 Dirofilaria immitis라고 하며, 모기를 媒介로 하여 傳染되는 蛔蟲이다. 작은 실처럼 생긴 寄生蟲이기 때문에 絲狀蟲이라고 불린다.  固有숙주는 개이지만, 고양이, 늑대, 코요테, 여우, 페럿, 바다獅子, 아주 드물게도 特定狀況에서는 사람에게도 感染된다. [1]   이 寄生蟲은 心臟絲狀蟲이라고 불리지만, 成蟲은 心臟 뿐만아니라, 肺動脈에도 存在하며, 肺血管과 肺組織에 損傷을 주어 動物의 健康에 큰 影響을 끼친다. [2]   때때로 成蟲은 寓心에서 移動하여, 甚하게 感染되는 境遇 後大正脈까지 存在하게 된다. 心臟絲狀蟲 感染은 宿主에게 深刻한 疾患을 惹起하며, 鬱血性 心不全 으로 죽음에까지 이르게 만든다.

分布 [ 編輯 ]

心臟絲狀蟲은 모기가 있는 모든 地域에서 거의 大部分 나타나고 있다. 美國全域(알래스카 包含)뿐만아니라 캐나다에서 따뜻한 地域에서도 發生한다. 南아메리카, 南유럽, 東南아시아, 中東, 濠洲, 韓國, 日本에서도 나타난다.

感染過程 [ 編輯 ]

心臟絲狀蟲의 생활사
心臟絲狀蟲 幼蟲 (as seen at 400× magnification)

心臟絲狀蟲은 宿主體內의 肺動脈에 感染되기전까지 여러段階의 生活史를 거치게 된다. 心臟絲狀蟲은 生活史를 完了하기 위해 中間段階로 모기가 반드시 必要하다. 모기안에서 成長率은 溫度에 依해 左右되며, 27度 以上에서는 다음段階로 進行하는데, 約 2週間의 時間이 所要된다. 氣溫이 14度 이하가되면 成長이 멈추고, 生活史는 中止된다. [3] 따라서 傳染은 따뜻한 날씨에서 일어나게되고, 傳染季節은 地域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宿主가 모기에 물려서 感染이 始作된때부터 宿主의 心臟內에서 成蟲으로 成熟되는데까지 6-7個月이 所要되며 이것을 衝體潛伏期라고 한다.

그러나 american heartworm society 2014年度 資料에 따르면, 心臟絲狀蟲의 傳染은 겨울時期에 멈추지만, 都市地域의 局地環境(都心의 빌딩이나 駐車場같은 局地的 熱섬現象 )에 따라서 傳染率이 0이 되지 않는다고 報告하고 있으며, 더군다나 모기의 種類中 聖體로 겨울을 보내는 境遇를 보인다고 發表했다. 反面에 모기 體內에 있는 幼蟲은 낮은 溫度에서 成熟이 멈추지만, 바로 따뜻해지는 境遇 더 빨리 成熟을 再開한다. [4]

感染後 모기 體內에 있는 3期 幼蟲 (L3)은 모기안에서 1-2週 동안 成長하고, 모기가 宿主를 물었을 때 宿主의 皮膚밑에서 4期幼蟲(L4)가 된다. 다음 胸部와 腹部의 筋肉으로 移動하며, 感染後 45-60日頃에 5期幼蟲(L5, 未成熟性衝)이 된다. 感染後 75-120日사이에 이 未成熟成蟲은 血液內로 進入하여, 心臟을 통해 肺動脈에 자리잡는다. 以後 3-4個月이 지나면, 크기가 커지게 되는데 암컷成蟲의 境遇 約 30cm程度의 길이로 자라고, 수컷成蟲의 境遇 23cm程度로 자란다. 感染後 7個月이 되면, 成蟲은 짝짓기를 하고, 암컷은 Microfilaria라는 幼蟲을 낳는다.

다음 生活史로 進行하기 위해, 幼蟲은 모기가 宿主를 吸血하여 모기의 場內로 들어가기 前까지, 길게는 約 2年間 宿主의 血液內를 떠돌아 다닌다. 모기가 血液을 攝取했을 때 幼蟲은 感染歷있는 3期幼蟲으로 進行하게 된다. 그後 다른 宿主를 感染시키기 위해서 모기의 침샘으로 移動한다. 幼蟲이 다른 宿主를 感染시킬수 있는 段階까지의 성장하는 時間은 2株에서 6週까지인데 이것은 氣候의 따뜻한 程度에 따라 다르며, 氣溫이 14度 以下로 내려가면 幼蟲의 生活史는 停止하게 된다.

宿主 [ 編輯 ]

心臟絲狀蟲의 宿主 [1]

臨床症狀 [ 編輯 ]

成蟲으로 成熟하기 前인 6個月間의 衝體潛伏期 동안에는 개는 絲狀蟲 感染의 어떤 證據도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現在 幼蟲이나 抗原을 檢出하는 檢査方法으로는 衝體潛伏期 狀態에서 檢出할 수 없다. 드물게 心臟絲狀蟲이 元來 妓生場所가 아닌 다른場所, 例를 들면, 눈, 腦, 다리의 動脈으로 가게 되면, 失明, 痙攣, 跛行 等의 症狀을 보이게 된다. 하지만 一般的으로는 幼蟲이 成熟하여 心臟에 모일때까지 어떤 症狀이나 疾病을 보이지는 않는다.

많은 個에서 心臟絲狀蟲이 成蟲으로 成長하더라도 無症狀, 或은 輕微한 症狀을 보인다. 이 境遇 아주 弱한 感染이거나 動物이 活動量이 적을 때 나타난다. 그러나 活動量이 많은 個이거나 感染이 좀 더 많이 일어난 境遇 心臟絲狀蟲疾患의 代表的인 症狀이 나타난다. 初期 症狀은 기침, 特히 運動時에 기침이 더 甚하게 나타나고 쉽게 지치는 모습을 보인다. 治療없이 더 進行되게 되면, 甚한 體重減少, 卒倒, 咯血, 마지막으로 鬱血性 心不全으로 進行한다.

Wolbachia [ 編輯 ]

Wolbachia pipientis는 心臟絲狀蟲의 內部共生 微生物이다. 모든 心臟絲狀蟲은 어느程度 Wolbachia가 感染되어 있다고 推定하고 있다. 成忠이나 幼蟲이 죽을 때 組織內에 Wolbachia나 그와 關聯된 蛋白物質을 分泌한다고 硏究에서 밝혀졌다. 이 過程은 고양이에서 더 重要하게 나타나는데, 살아있는 成蟲보다 幼蟲, 成蟲이 죽을때, 더 疾患과 關聯이 있기 때문이다. 心臟絲狀蟲 陽性인 動物에서 doxycycline 같은 抗生劑를 投與하는 것이 Wolbachia를 死滅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더 硏究가 必要한 部分이다. [6]

診斷 [ 編輯 ]

診斷에는 3가지 方法이 있다

幼蟲確認은 血液內에서 顯微鏡으로 幼蟲을 確認하는 方法으로 過去에 가장 많이 使用하던 方法이며, 直接 血液塗抹하거나 毛細管을 遠心分離後 白血球沿層을 確認하거나, modified Knot test, 微細濾過方法 等 多樣하다. 이 方法의 正確度는 여러 番 할수록 向上된다. modified Knot test나 微細濾過方法은 幼蟲의 數를 農畜시키기 때문에 正確度가 더 增加한다. 血液塗抹은 幼蟲의 움직임을 確認하는 方法이다.하지만 幼蟲이 없는 感染 可能性이 5-67%로 多樣하다. 돌아다니는 幼蟲의 數字가 成蟲의 數와 關聯이 없기 때문에, 病의 重症度를 나타내지 않는다.

抗原檢査는 幼蟲檢査法을 補完하거나 代替하는 가장 一般的인 方法이다. 幼蟲檢査法과 成忠 抗原檢査法의 組合은 diethylcarbamazine을 投藥받거나 어떤 豫防도 하지 않는 個에서 가장 有用한 方法이다. 感染된개의 1%程度가 幼蟲檢査에서는 養成이나 抗原檢査에서는 音聲을 보인다 免疫診斷法 ( ELISA , lateral flow immunoassay, rapid immunomigration techniques)은 宿主血液內에서 心臟絲狀蟲의 抗原을 찾아내는 方法으로 現在 널리 使用되고 있다. 이 方法의 短點은 암컷 絲狀蟲의 生殖器에서 發現되는 抗原만을 찾을 수 있는 點이며, 感染後 첫 5-8個月間은 音聲의 結果를 보일 수 있다. 이 檢事의 特異度는 100%에 가까우며 敏感度는 80%以上이다. [7] 最近 硏究에서는 한마리의 암컷 絲狀蟲 感染에서는 單 64%의 敏感度를 보이지만, 암컷成蟲의 數가 많을수록 漸漸 敏感度는 增加한다고 밝혔다(2마리에서 85%, 3마리에서 88%, 4마리에서 89%의 敏感度를 보인다). 이 硏究에서 正確度는 97%를 보였다. 위音聲結果는 成蟲의 數가 적거나, 未成熟感染狀態이거나, 수컷만 感染되었을 때 나타난다.

放射線撮影은 感染의 深刻度와 豫後를 判斷하는데 利用한다. 典型的인 變化는 駐肺動脈, 尤甚, 肺葉의 肺動脈 擴張이다. 肺組織의 炎症도 흔히 觀察된다. [8]

治療 [ 編輯 ]

個에 있어서 心臟絲狀蟲 治療의 最終目的은 臨床症狀을 改善시키고, 모든 段階의 心臟絲狀蟲(幼蟲, 感染幼蟲, 未成熟性衝, 成忠)을 完全히 除去하고, 治療後 合倂症을 最少化하는 것이다. 聖衷을 治療하기전에 個에서는 治療의 危險度를 評價하기 위해 心臟, 肝, 腎臟에 對한 檢査가 반드시 이루어져야한다. 一般的으로 成蟲은 砒素 基盤의 化合物로 死滅시킨다. 美國에서 主로 利用하는 藥은 immiticide라는 商品名인 melarsomine dihydrochloride를 使用한다. [9] 이 藥은 以前에 使用하던 藥物(thiacetarsamide sodium 商品名 caparsolate)보다 훨씬더 安全하고 副作用도 덜하며, 後記 感染時에도 좀더 安全하게 使用되고 있다.

治療後에 合倂症없이 죽은 成蟲이 體內로 安全하게 吸收될수 있도록 數週間 休息(運動制限)을 반드시 取해야 한다. 卽 개가 興奮狀態市에 죽은 成蟲이 破壞되고 弊를 따라 移動하여, 呼吸不全 및 死亡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美國 心臟絲狀蟲協會에 따르면 個에서 아스피린 使用은 臨床的 效能이 模糊할뿐만아니라 副作用때문에 더以上 勸奬하지 않는다. 아스피린은 心臟絲狀蟲에 依한 血戰과 血管損傷을 減少시키기 위해 以前에 使用되곤 했다. [10]

幼蟲에 對한 治療도 別個로 이루어진다. 受注의 安定期가 至難以後 心臟絲狀蟲 檢査에서 音聲이 나오는경우 治療가 完了되었다고 評價한다.

成忠에 對한 手術的 除去 亦是 指示되는 境遇가 있는데 心臟疾患이 相當히 進行된 境遇에 實施한다. [11]

이버멕틴 을 心臟絲狀蟲 正常 豫防容量의 3倍를 每달, 1年 내내, 長期間 投藥時에 心臟絲狀蟲을 結局에는 死滅시킬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成忠 社滅亡法은 2가지 理由때문에 推薦하지 않는다. 첫째로 이 治療方法은 immiticide(melarsomine)보다 效果的이지 않다. 더욱 重要한 點은 18個月이 지난 成蟲은 죽지 않는다는 點이며, 그래서 多數感染人 個에서는 意味없는 方法이다. doxycycline을 每日 1年以上 投與하고, Heartgard plus를 1年넘게 處方하는 方法은 無症狀의 初期 絲狀蟲 感染患者에서 效果가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위의 方法은 american heartworm society에서 推薦하지 않는 方法이다. 위와 같은 理由, 卽 成蟲은 잘 죽지 않는다라는 點과 成蟲의 95% 死滅을 보이는 것도 2年以上 投與를 해야하며, 運動制限도 그보다 더 오랫동안 해야한다. 그 時間동안 感染은 持續되고, 疾病은 惡化된다. 또 한가지 理由는 이버멕틴에 耐性을 보이는 心臟絲狀蟲이 나타날 可能性이 크기 때문이다. [12]

豫防 [ 編輯 ]

心臟絲狀蟲感染 豫防은 수많은 獸醫藥品中 하나로 할 수 있다. 美國에서 承認된 藥品은 이버멕틴(商品名 heartgard, iverhart, 다른 카피藥들), milbemycin(商品名 interceptor, Sentinel), moxidectin(商品名Proheart)가 있다. moxidectin은 6個月이나 12個月 間隔으로 使用하는 西方形態의 注射劑도 있는데 이것이 Proheart 6, Proheart 12이다. moxidectin 注射型은 2004年 安全性 問題로 販賣가 中斷되었는데, 2008年 새로운 成分組合人 Proheart 6은 FDA에서 市場販賣를 許可했다. Proheart 6는 캐나다, 日本같은 여러나라에서 販賣되고 있으며, Proheart 12는 濠洲, 아시아에서 널리 使用된다. 局所 豫防藥度 勿論 使用되고 있다. advantage mult(imidacloprid + moxidectin) 局所道袍制는 蛔蟲 , 九蟲, 心臟絲狀蟲, 鞭蟲 뿐만아니라 imidacloprid에 依한 벼룩도 豫防한다. Selamectin(Revolution)은 亦是 每달 投藥하는 局所道袍制이다. 이 藥 亦是 벼룩 , 진드기 도 豫防한다.

定期的으로 投藥한다면 豫防藥은 아주 效果가 있으며, 心臟絲狀蟲 感染을 개 고양이 모두 99% 豫防한다. 豫防에 失敗하는 大部分의 境遇는 傳染期間 동안 適切한 藥投藥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年中 14度 以上인 地域은 持續的으로 豫防이 推薦된다.

이버멕틴 系列의 藥을 失手로 빼먹더라도 그前에 一定間隔으로 꾸준히 豫防을 한 境遇라면  最大 4個月까지 幼蟲이 成蟲으로 成熟하는 것에 對한 抑制力을 95%정도 보이는데, 이것을 reach-back effect라고 한다. [13] 年 1回 檢査는 保護者가 最少容量 投藥 스케줄을 選擇한경우 必須的이다.

고양이에 對한 心臟絲狀蟲 豫防은 이버멕틴(Heartgard for cat),  milbemycin (Interceptor), selamectin (Revolution for Cats), Advantage Multi (imidacloprid + moxidectin) 局所道袍제가 있다.

美國心臟絲狀蟲協會 (American heartworm society)에서 勸奬하는 豫防法은 개와 고양이에 相關없이, 地域에 相關없이, 每달(year-round)豫防하고 1年에 1回 心臟絲狀蟲 檢査를 하는 것이다. [14]

고양이 心臟絲狀蟲 增 [ 編輯 ]

개가 心臟絲狀蟲의 自然宿主이지만, 고양이는 非定型 宿主이다. 이것때문에 개와 고양이 心臟絲狀蟲症의 差異가 나타난다. 心臟絲狀蟲 幼蟲의 많은 數가 개에서와 다르게 고양이 體內에서 살아남지못하고, 一般的 感染되는 成蟲首都 2-5마리이다. 心臟絲狀蟲의 生存期間은 2-3年으로 고양이에서는 個보다 짧고, 고양이에서 大部分 感染은 幼蟲 循環을 하지 않는다. 고양이 亦是 心臟絲狀蟲 幼蟲의 異所寄生이 더 잘 나타나며, 그 結果로 腦나, 體腔으로의 感染이 나타난다. [15]

感染率은 主要 發生地域에서 개에서보다 1-5%이다. [16] 집에 살거나 밖에 사는 고양이 모두 感染된다. [17]

하지만 이러한 發生率은 고양이 特有의 診斷的인 限界, 一時的이거나 가벼운 臨床症狀, 感染을 確認하기 前에 斃死하는 疾病의 經過 等을 考慮할 때 낮게 測定된 數値이다. 실例로 保護所에서 心臟絲狀蟲 豫防을 하지 않은 고양이를 剖檢만으로 確認하였을 때 같은 保護所에서 亦是 같은 條件下의 個에서 比較할 때 成蟲確認率은 個의 成蟲確認率의 5~15%를 보인다. [18]

病因論 [ 編輯 ]

L5 幼蟲이 肺動脈 에 侵入했을 때 고양이에서 나타나는 血管疾患은 個에서보다 더 深刻하게 發現한다. 이 炎症反應과 關聯된 疾患을 고양이에서 心臟絲狀蟲에 依한 呼吸器疾患 HARD(heartworm-associated repiratory disease)라고 定義한다. HARD는 初期 感染後 3-4個月에 나타날 수 있으며 血管內에 L5街 出現함에 依해서 發生한다. 肺血管과 肺에 一連의 厭症反應은 흔하게 고양이 喘息이나 알러지성 氣管支炎으로 誤診할 수 있다. [19]

죽은 幼蟲, 成蟲으로 인해 생기는 血栓 으로 인한 肺動脈 閉塞은 個에서보다 致命的인데 이것은 고양이의 傍系循環과 肺血管이 個보다 적기 때문이다. [20]

症狀 [ 編輯 ]

고양이의 急性 心臟絲狀蟲症은 쇼크, 嘔吐, 設使, 卒倒, 急死이다. 慢性 感染은 食慾減退, 體重低下, 無氣力, 運動不耐性, 기침, 呼吸困難이다. HARD의 症狀은 心臟絲狀蟲 感染이 完全히 사라져도 남아있을 수 있다.

診斷 [ 編輯 ]

고양이 心臟絲狀蟲 診斷은 어렵다. 개의 境遇처럼, 心臟絲狀蟲 抗原에 對한 ELISA 檢査 養成은 感染 可能性을 아주 크게 나타내지만, 陽性 抗原反應은 암컷 成蟲의 數에 依存한다. 萬若에 한마리의 수컷 成蟲이 있는 境遇 檢事는 音聲이다. 萬若 암컷 成蟲이 있더라도 感染後 7-8個月後에 陽性反應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고양이는 陽性檢査가 나타나기 前에 臨床症狀이 나타난다. HARD는 成蟲으로 發展되지 않은 고양이에서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陽性 抗原反應이 없을 수도 있다.

抗體檢査 亦是 고양이 心臟絲狀蟲 感染에서 使用可能하다. 絲狀蟲에 感染된 적이 있는 境遇라면 養成이 나타나며, 感染이 完全히 除去된 고양이에서도 3個月까지는 陽性反應이 된다. 抗體檢査는 抗原檢査보다 敏感度가 더 높지만, 成忠感染의 直接的 證據를 提供하지는 않는다. [21] 그러나 以前 感染 診斷에 對해 考慮해볼 수 있기 때문에 HARD診斷에는 도움이 된다.

放射線檢査視 肺動脈의 너비 增加, 肺의 局所 或은 瀰漫性 放射線 非透過度 增加를 보인다. 心臟超音波는 고양이에서 매우 敏感度 높은 檢事이다. 心臟絲狀蟲은 心臟 或은 肺動脈內에서 두줄의 高에코性 構造物로 나타난다. [22]

治療 및 豫防 [ 編輯 ]

개의 境遇처럼 砒素化合物이 고양이 成蟲治療에 使用되고 있지만, 肺의 炎症反應이 더 甚하게 나타난다. 많은 數의 고양이가 治療後 數日內에  肺塞栓症 이 나타난다. melasormine의 效果는 고양이에서 硏究가 그렇게 많지 않으며, 成蟲治療는 推薦되지 않고, 美國에서는 고양이에 使用하기 위한 어떤 成蟲治療劑도 承認되지 않았다.

治療는 一般的으로 每달 心臟絲狀蟲 豫防藥을 適用하고 짧은기간 스테로이드 를 竝用하는 것이다. 手術은 성충제거에 效果的으로 使用한다. 고양이에 對해서 美國에서 許可된 藥은 3가지이다. 이버멕틴, milbemycin, selamectin이다. 고양이 心臟絲狀蟲症의 豫後는 아주 안 좋다.

人間의 健康에 對한 考慮事項 [ 編輯 ]

  Dirofilaria repens (左側, 사람) Dirofilaria immitis (右側, 個) 의 比較

개의 心臟絲狀蟲症은 公共保健과 關聯하여 無視해도 좋을 程度이다. 사람으로 感染되는 境遇가 흔하지 않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사람으로의 感染은, 드물게 呼吸器疾患이 나타나는 境遇가 있지만, 普通 미치는 影響이 없거나 아주 微微하다. 그러나 心臟絲狀蟲이 사람의 肺에 到着해서 급작스럽게 죽는경우, 이 絲狀蟲을 죽이고 吸收하기 위해 周邊을 둘러싸는 肉芽腫을 形成하기도 한다. 感染된 사람의 肺에 생긴 肉芽腫의 放射線寫眞을 보면, 肺癌 과 비슷할 程度로 크게 보이게 되고, 病理學的 檢査를 위해 生檢 이 必要하다. 이러한 點이 個의 絲狀蟲보다 사람의 感染에서 나타나는 醫學的 結果이다.

예전에 美國 南東部에 있던 많은 케이스에서, 개의 心臟絲狀蟲이 사람의 눈으로 感染된다라고 생각했던 적이 있다. 하지만 이 境遇들은 너구리의 寄生蟲인 Dirofilaria tenuis로 밝혀졌다. 數百件의 사람의 皮下 感染이 유럽에서 보고 되었는데, 이것 亦是 개의 心臟絲狀蟲이 아닌 비슷한 種類의 Dirofilaria repens로 밝혀졌다.

各州 [ 編輯 ]

  1. “American Heartworm Society | FAQs” . Heartwormsociety.org . 2014年 7月 4日에 確認함 .  
  2. Ettinger, Stephen J.; Feldman, Edward C. (2010). 《Textbook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7板. W.B. Saunders Company. ISBN   978-1-4160-6593-7 .  
  3. Knight, David (1998年 5月 1日). “Heartworm” . 《Seasonality of Heartworm Infection and Implications for Chemoprophylaxis》. Topics in Companion Animal Medicine.  
  4. 2014 american heartworm society canine guideline , 2014 american heartworm society canine guideline p3-4
  5. Mazzariol S., Cassini R., Voltan L., Aresu L. & di Regalbono A. F. (2010). "Heartworm (Dirofilaria immitis) infection in a leopard (Panthera pardus pardus) housed in a zoological park in north-eastern Italy". Parasites & Vectors 3: 25. doi:10.1186/1756-3305-3-25.
  6. Todd-Jenkins, Karen (October 2007). “The Role of Wolbachia in heartworm disease”. 《Veterinary Forum》 24 (10): 28?30.  
  7. Atkins, Clarke (2005). “Heartworm Disease in Dogs: An Update” . 《Proceedings of the 30th World Congress of the World Small Animal Veterinary Association》. 2007年 10月 2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7年 2月 26日에 確認함 .  
  8. “American Heaartworm Society” . 2013年 11月 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9. “Product Information” . 2008年 8月 2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7月 1日에 確認함 .  
  10. 2014 american heartworm society canine guideline , 2014 american heartworm society canine guideline p15
  11. “2005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eartworm (Dirofilaria immitis) Infection in Dogs” . 《American Heartworm Society》. 2005. 2008年 6月 1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7月 1日에 確認함 .  
  12. 2014 american heartworm society canine guideline , 2014 american heartworm society canine guideline p19
  13. Atwell, R. (1988). “Heartworm” . 《Dirofilariasis (CRC Press, 1988:30?34)》. 2011年 7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5月 9日에 確認함 .  
  14. "american heartworm society think12 resource center"
  15. “2007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eartworm ( Dirofilaria immitis ) Infection in Cats” . American Heartworm Society. 2007. 2007年 6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7年 7月 26日에 確認함 .  
  16. Berdoulay P, Levy JK, Snyder PS, 外. (2004). “Comparison of serological tests for the detection of natural heartworm infection in cats”. 《 Journal of the American Animal Hospital Association 40 (5): 376?84. doi : 10.5326/0400376 . PMID   15347617 .  
  17. Atkins CE, DeFrancesco TC, Coats JR, Sidley JA, Keene BW (2000). “Heartworm infection in cats: 50 cases (1985?1997)”. 《J. Am. Vet. Med. Assoc.》 217 (3): 355?8. CiteSeerX   10.1.1.204.2733 . doi : 10.2460/javma.2000.217.355 . PMID   10935039 .  
  18. 2014 american heartworm society feline guideline summary , 2014 american heartworm society current feline guideline summary p1.
  19. Yin, Sophia (June 2007). “Update on heartworm infection”. 《Veterinary Forum》 24 (6): 42?43.  
  20. Atkins, Clarke E.; Litster, Annette L. (2005). 〈Heartworm Disease〉. August, John R. 《Consultations in Feline Internal Medicine Vol. 5》. Elsevier Saunders. ISBN   978-0-7216-0423-7 .  
  21. Atkins C (1999). “The diagnosis of feline heartworm infection”. 《 Journal of the American Animal Hospital Association 35 (3): 185?7. doi : 10.5326/15473317-35-3-185 . PMID   10333254 .  
  22. DeFrancesco TC, Atkins CE, Miller MW, Meurs KM, Keene BW (2001). “Use of echocardiography for the diagnosis of heartworm disease in cats: 43 cases (1985?1997)”. 《J. Am. Vet. Med. Assoc.》 218 (1): 66?9. doi : 10.2460/javma.2001.218.66 . PMID   11149717 .  

各州 [ 編輯 ]

  • Traversa D., Cesare A. Di & Conboy G. (2010). "Canine and feline cardiopulmonary parasitic nematodes in Europe: emerging and underestimated". Parasites & Vectors 3 : 62. doi 10.1186/1756-3305-3-62 .

外部 링크 [ 編輯 ]

American Heartworm Society [ 編輯 ]

  • American Heartworm Society Founded in 1974, the American Heartworm Society is internationally recognized as the definitive authority with respect to heartworm disease in dogs and cats.

리소스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