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신숙주先生墓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신숙주先生墓

( 신숙주墓 에서 넘어옴)

신숙주先生墓
(申叔舟先生墓)
대한민국 京畿道 記念物
種目 記念物 第88號
( 1985年 9月 20日 指定)
數量 1期
位置
신숙주선생묘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신숙주선생묘
신숙주先生墓
신숙주先生墓(大韓民國)
住所 京畿道 議政府市 孤山로163번길 34-39 (고산동)
座標 北緯 37° 44′ 12.57″ 東京 127° 6′ 25.04″  /  北緯 37.7368250° 東經 127.1069556°  / 37.7368250; 127.1069556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신숙주先生墓 (申叔舟先生墓)는 朝鮮 初期의 大學者이며 文臣이었던 保閑齋(保閑齋) 신숙주 의 墓이다. 議政府市 고산동 에 있다. 1985年 9月 20日 京畿道의 記念物 第88號로 指定되었다.

槪要 [ 編輯 ]

霧淞郡夫人 尹氏의 墓와 나란히 雙墳을 이루고 있으며 墓 앞에는 墓碑石, 床石, 문인상, 神道碑, 한글創製寺跡碑 等 各種 石物들이 있다. 그 中 한글創製寺跡碑 는 最近에 建立한 것이다.

墓는 夫人 尹氏와의 墓와 나란히 雙墳을 이루고 있으며, 封墳은 2基가 있다. 封墳 사이에는 1897年에 세운 墓碑가 있고, 앞에는 床石과 香爐石이 있다. 封墳 左右에는 文人石 2雙이 서 있다. 墓域 아래에는 이승소가 글을 지어 成宗 8年(1477)에 세운 神道碑(神道碑:王이나 高官 等의 平生 業績을 기리기 위해 무덤 近處 길가에 세우던 비)가 있다.

신숙주 는 朝鮮 初期의 學者이며, 政治家로서 者는 범웅, 號는 保閑齋·희현당이고 共助參判醬의 아들로 태어났다. 世宗 때부터 成宗 에 이르기까지 여섯 임금을 忠誠으로 輔弼하였고, 特히 癸酉靖難 以後부터는 朝廷에서 中樞的 役割을 擔當하면서 業績을 남겼다. 著書로는 成宗의 特命으로 刊行된 《保閑齋集》 17卷을 비롯하여, 世祖 6年( 1460年 ) 餘震征伐을 마치고 北征에 關한 것을 編纂한 《北征錄》 6卷, 世宗 25年( 1443年 ) 日本 書狀官으로 갔을 때의 見聞錄인 《海東諸國記》 1卷과 그 밖에 《東國正韻》,《四聲通攷》,《五禮儀》,《經國大典》 等이 있다.

參考 資料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