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슈토카흐 戰鬪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슈토카흐 戰鬪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슈토카흐 戰鬪
第2次 大프랑스 同盟 의 一部

1799年 3月 25日 스톡홀름 戰鬪에서 오스트리아 步兵隊를 이끌었다.
날짜 1799年 3月 25日
場所
結果 오스트리아의 勝利
交戰國
프랑스 프랑스 總裁政府 합스부르크 군주국 합스부르크 君主國
指揮官
프랑스 章바티스트 주르당 합스부르크 군주국 카를 工作
兵力

26,164 步兵
7,010 起兵
1,649 砲兵
62 總兵

全體: 34,823

53,870 步兵
14,900 起兵
3,565 砲兵
114 總兵

全體: 72,335
被害 規模
4千名 死傷 5,800名 死傷

슈토카흐 戰鬪 (Battle of Stockach)는 1799年 3月 25日에 프랑스軍과 오스트리아軍이 現在의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에서 地理的으로 戰略的인 헤佳友 地域의 統制를 위해 싸웠을 때 發生했다. [a] 廣範圍한 軍事的 脈絡에서 이 戰鬪는 프랑스 革命 戰爭 의 一部인 제2차 聯合 戰爭 期間 동안 獨逸 南西部에서 일어난 첫 番째 全域의 核心이 되었다.

이것은 章바티스트 주르당 이 指揮하는 프랑스 도나우群 과 카를 對共 麾下의 합스부르크 軍隊 사이의 두 番째 戰鬪였다. 軍隊는 며칠 前인 3月 20日에서 22日까지 오스트라흐 南東쪽의 濕地와 풀렌도르프 高原에서 集結했다. 오스트리아軍의 優勢한 兵力車는 거의 3代 1에 이르렀고, 프랑스軍은 撤收할 수밖에 없었다.

슈土카흐에서 프랑스軍은 더 짧은 戰線에 兵力을 集中하여 熾烈한 戰鬪 環境을 造成했다. 처음에는 카를의 戰線이 더 擴張되었지만, 그는 戰線을 强化하기 위해 豫備軍에서 追加 兵力을 迅速하게 撤收했다. 도미니크 放談 이 指揮하는 小規模 프랑스軍이 오스트리아軍의 側面에 거의 近接했을 때, 카를의 個人的인 介入은 支援軍이 到着할 時間을 벌기 위해 오스트리아軍에게 決定的이었다. 주르당 將軍은 部下들을 召集하려다가 거의 짓밟혀 죽을 뻔했다. 結局 프랑스軍은 라인江 으로 後退했다.

背景 [ 編輯 ]

1次 聯合軍은 베르됭 , 카이저슬라우테른 , 네르빈덴 , 마인츠 , 癌베르크 뷔르츠부르크 에서 몇 次例의 初期 勝利를 거두었지만, 이탈리아 北部에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의 努力으로 오스트리아軍이 退却하게 된다. 以後 레오벤 條約 (1797年 4月 17日)과 以後 캄포포르미오 條約 (1797年 10月)을 맺었지만, 이 條約은 實行하기 어려운 것으로 判明되었다. 오스트리아는 베네치아 領土의 一部를 천천히 抛棄했다. 어느 南西部 獨逸 國家가 領土 損失에 對한 王朝의 家屋을 報償하기 위해 仲裁될 것인지 決定하기 위해 라슈타트에서 會議가 召集되었지만, 進展을 이루지 못했다. 프랑스 共和國軍의 支援을 받은 스위스 叛軍은 여러 次例 蜂起를 일으켰고, 結局 18個月間의 內戰 끝에 스위스 聯邦을 전복시켰다. [1]

1799年 初까지 프랑스 總裁政府 는 오스트리아가 使用하는 遲延 戰術에 참을性이 없었다. 나폴리에서 일어난 蜂起는 더욱 警覺心을 불러일으켰고, 最近 스위스에서 얻은 成果는 이탈리아 北部와 獨逸 南西部에서 또 다른 캠페인을 벌이게 된 우연한 機會임을 示唆했다. [2]

戰鬪의 前週 [ 編輯 ]

1799年 겨울이 되자 3月 1日 章바티스트 주르당 將軍과 그의 25,000名의 軍隊 [3] , 所謂 觀測軍이 바젤 사이의 라인江을 건넜다. 이 도하는 公式的으로 캄포포르미오 條約 을 違反한 것이었다. [4] 3月 2日, 軍隊는 프랑스 總裁政府 의 命令에 따라 다뉴브의 軍隊로 改名되었다. [5]

陸軍은 4個 前熱로 검은숲 을 通過하여 回레탈(횔레 溪谷), 오버키르히 및 프로이덴슈타트를 거쳐 숲의 南쪽 끝에서 라인江 江邊을 따라 進擊할 때 거의 抵抗을 받지 못했다. 愼重한 助言이 주르당에게 山의 東쪽 傾斜面에 陣地를 構築하라고 助言했지만, 그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6] 代身 그는 로트바일과 투틀링겐 사이에 陣地를 構築하여 다뉴브 平野를 가로질러 밀었다. [7]

오스트리아軍과 總司令官인 카를 對共은 레흐江 東쪽에 있는 바이에른,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領土에서 軍隊와 함께 겨울을 보냈다. 그의 軍隊만 해도 80,000名에 가까운 兵力이 있었고, 프랑스 軍隊보다 3:1로 數的으로 많았다. 프리드리히 男爵 폰 號體 가 指揮하는 追加 26,000名이 포어아를베르크 를 지켰고, 더 南쪽으로 하인리히 폰 벨가르드 伯爵이 指揮하는 46,000 名이 티롤을 防禦했다. 오스트리아군은 이미 러시아의 차르 바오로와 協定을 맺어 傳說的인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가 60,000名의 追加 兵力을 이끌고 이탈리아에서 오스트리아를 支援하기 위해 隱退할 豫定이었다. [8]

오스트라흐 交戰 [ 編輯 ]

다뉴브 軍隊는 以前에는 上部(南쪽) 슈바非我 의 帝國 都市인 풀렌도르프와 오스트라흐로 進擊했고, 後者는 보덴湖에 있는 影響力 있고 富裕한 敎會 英知人 살렘 帝國 修道院에 屬한 300名의 隣近 마을로 進擊했다. 주르당의 目標는 單純하고, 直接的이었다. 獨逸 南西部 國家와 스위스의 境界에서 오스트리아軍을 遮斷하여 聯合軍이 中部 유럽과 南部 유럽 사이의 陸路로 스위스를 使用하는 것을 防止하는 것이었다. [9] 두 劇場의 孤立은 오스트리아軍이 서로를 돕지 못하도록 막았다. 게다가 프랑스軍이 스위스 內陸通路를 保有하고 있다면 이 經路를 使用하여 두 劇場 사이에서 自體 兵力을 移動할 수 있다. [10]

풀렌도르프 高地帶와 마을 사이에는 平平하고 넓은 平野가 있으며 곳곳에 濕地가 있고 낮은 언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마을 이름에서 따온 작은 支流로 주름져 있다. [11] 오스트라흐 自體는 이 平野의 거의 北쪽 끝에 있지만, 다뉴브江을 基準으로 若干 南쪽에 있었다. 3月 7日, 첫 番째 프랑스軍이 그곳에 到着했고, 오스트리아군은 하루 程度 늦게 到着했다. 다음 週에 兩側의 追加 兵力이 到着했고, 두 軍隊는 이 溪谷을 가로질러 서로 마주쳤다. [12]

프랑스軍은 도나우江 에서 보덴湖 까지 길게 늘어서 있었다. 로랑 드 舊鼻齆 생시르 가 指揮하는 3師團은 맨 왼쪽 側面에 位置했고, 도미니크 放談 의 分離 部隊는 슈투트가르트 近處에서 偵察을 마치고 돌아와 江의 北쪽 海岸을 徘徊했다. [13] 프랑수아 조제프 르페브르는 풀렌도르프 아래 傾斜面에 位置하는 進軍을 指揮했고, 2師團의 조제프 수함은 그의 뒤에 位置했다. 피에르 마리 바르텔레미 페리노의 1師團은 카를의 軍隊가 包圍하는 것을 막기 위해 最南端 側面을 지켰다. 주르당은 풀렌도르프에 司令部를 設置하고, 場-조셉 앙즈 度풀은 수함의 北쪽과 西쪽에 若干 서 있었다. [14]

19日 말까지 오스트리아軍과 프랑스軍은 30時間 以上 前哨基地에서 接戰을 벌였고, 戰鬪는 漸漸 더 激烈해졌다. 21日의 이른 時間에, 르페브르 將軍은 주르당에게 오스트리아軍이 그의 모든 陣地를 攻擊하고 있으며, 全體 交戰이 곧 始作될 것이라고 알렸다. 24時間의 戰鬪 끝에 오스트리아군은 르페브르와 생시르의 軍隊를 풀렌도르프 高地로 후퇴시켰다. 工兵이 오스트라흐 講義 主要 다리를 爆破했지만, 오스트리아군은 어쨌든 개울을 건넜다. 그들은 오른쪽 側面에서 생시르 將軍의 軍隊를 거의 壓倒하고 中央에서 르페브르의 軍隊를 側面 攻擊했으며, 本體에서 南쪽 側面의 一部를 遮斷했다. 생시르의 軍隊는 艱辛히 後退했지만, 完全히 遮斷되었다. 마침내 프리드리히 男爵 폰 號體 將軍은 펠트키르히에서 온 10,000名의 兵士와 함께 北쪽으로 進軍하여 南쪽에서 페리노의 1師團을 威脅했다. [15]

오스트라흐에서 退却 [ 編輯 ]

2200年 3月 21日 주르당은 負傷者를 슈土카흐를 통해 스위스의 샤프하우젠 으로 移送하도록 命令했다. 이어 本軍은 22日 새벽부터 自體 退却을 始作했다. 度풀의 豫備 師團이 먼저 떠났고, 슈土카흐를 통해 에메겐 옵 에크로 後退했다. 第1師團은 보덴湖 位벌링겐의 길쭉한 北端에 있는 보드만으로 後退했다. 後退하는 過程에서 슈바르첸베르크 共의 旅團人 카를 필리프의 第2槍騎兵이 部隊의 一部를 包圍하며 遮斷했고, 500名 以上이 捕虜가 되었다. [16]

슈土카흐와 엥겐에서의 戰鬪 [ 編輯 ]

검은 숲의 東쪽에 있는 東西 및 南北 道路의 交叉點에서 싸웠고, 슈土카흐와 엥겐에서 하루 동안의 戰鬪는 7日 만에 두 番째로 두 軍隊를 서로 겨누었다. 오스트리아군은 如前히 數的으로 優勢했지만, 이番에는 거의 3代1이 아닌 2代1에 가까웠다. 주르당은 더 짧은 電線을 통해 自身의 軍隊를 統合했고, 도나우 軍隊 全體를 直接 指揮하며 움직였다. 카를 對共度 마찬가지로 戰列을 좁혔다. 號體는 아직 대공을 따라잡지 못했지만, 10,000名의 部下와 함께 오스트리아군의 왼쪽 後方에서 接近하고 있었다. [17]

配置 [ 編輯 ]

3月 23日까지 주르당은 슈토카흐 近處에 本部를 두었다. 그는 맨 오른쪽 側面에서 바르텔레미 페리노를 불러들였다. 페리노는 보덴湖의 北西쪽 손가락인 位베링겐 湖水 海岸을 따라 後退하여 消憂함 師團에 隣接한 가까운 右側 側面에 位置했다. 오스트라흐에서 負傷當한 르페브르는 필드를 直接 차지할 수 없었고, 로랑 생시르 가 왼쪽 側面을 指揮했다. 주르당은 自身의 位置를 考慮할 때 位置가 너무 擴張되었다고 생각하여 슈토카흐 뒤로 물러나서 엥겐을 向해 兵力을 集中할 수 있었다. 第1師團은 보덴湖의 서단 地點에 있는 濕地가 내려다보이는 11世紀 要塞 好헨트빌 近處에 陣을 쳤다. 第2師團인 高級 近衛隊 起兵 師團은 엥겐보다 높은 곳에 陣을 쳤다. 第3師團은 리프틴겐(Liptingen, 프랑스人이라고 부름)과 노이하우젠이 陣을 치고 있었다. 放談과 그의 小規模 軍團은 愼重하게 오스트리아의 오른쪽 側面 뒤에 位置하기 위해 努力했다. 주르당은 엥겐에 本채를 꾸렸다. [18]

Map shows the disposition of troops around Engen and Stockach in southwestern Germany
프랑스와 오스트리아軍은 1799年 3月 25日 슈토카흐 近郊에 兵力을 집중시켰다.

計劃은 簡單했다. 放談과 생시르는 오스트리아의 오른쪽을 同時에 攻擊하고 술트와 주르당의 主力軍은 오스트리아의 中央과 왼쪽을 攻擊했다. 相對便의 4個 地點을 同時에 攻擊하려는 주르당의 計劃은 그러한 數的 優位를 가진 軍隊에 對한 唯一한 合理的인 行動으로 보였다. [19]

합스부르크 中央軍은 나우엔도르프 伯爵 프리드리히 요제프 野戰司令官이 指揮하는 17,000名의 兵士를 包含하여 3個의 縱隊로 構成되어 北東쪽에서 接近하고 있다. 카를 大公의 麾下에 있는 主力軍은 亦是 3個 部隊로 構成된 53,000名의 兵士를 包含했다. 主力部隊에서 카를은 그의 麾下에 안할트와 퓌르스텐베르크의 領主들과 6個 大隊를 駐熱意 北쪽에 있지만, 나우엔도르프의 命令 南쪽에 있는 第4戰列에 配置했다. 野戰 怨讐 안톤 伯爵 슈打라이가 指揮하는 追加 兵力 13,000名이 南쪽 側面을 形成했다. [20]

全面戰 [ 編輯 ]

3月 25日의 全面戰은 殘忍하고 피비린내 나는 것이었다. [21] 東이 트기 前, 0500時 가까이에 생시르는 오스트리아의 왼쪽에 對한 獸檻과 페리노의 攻擊과 協力하여 오스트리아의 오른쪽에 正面 攻擊을 加하면서 그의 軍隊를 派遣하여 門을 열었다. 猛烈한 攻擊으로 오스트리아軍은 밤새 머물렀던 숲을 빠져나와 슈반도르프 마을로 向하는 길을 따라 내려갔다. 自身의 軍隊가 側面 攻擊을 받을 것을 두려워한 카를은 第1聯隊의 槍騎兵으로 構成된 6個 中隊인 오스트리아 右翼에 있는 메르벨트 將軍의 軍隊를 支援하기 위해 一部 增援軍을 指示했다. [22] 이때 3月 24日 밤에 陣을 치고 있던 반담의 小規模 群團이 後方에서 攻擊을 加했다. 생시르의 軍隊는 슈토카흐 外郭의 숲을 掌握했는데 [23] , 오스트리아군은 이를 소름 끼치는 숲이라고 불렀으며 [24] , 그곳에서 “固執과 流血衝突”로 描寫된 葛藤을 겪었다. [25] 對共은 헝가리 擲彈兵 6個 大隊와 胸甲騎兵 12個 中隊와 함께 到着하여 그들을 戰鬪에 投入했다. 老鍊하고 戰鬪로 鍛鍊된 그의 擲彈兵들은 그의 露出에 反對했고 한 隻은 實際로 찰스의 말 굴레를 잡아 그를 막았다. 大公이 말에서 내려 部下들을 徒步로 이끌 準備를 하고 있을 때, 카를 알로이스 秋 퓌르슈텐베르크는 自願하기 위해 앞으로 나섰고, 報告에 따르면 大公이 그런 危險에 빠지기 前에 自身이 먼저 죽을 것이라고 말했다. 카를 알로이스 秋 퓌르슈텐베르크 가 後사르와 擲彈兵을 이끌고 反擊을 加하는 동안 그는 프랑스軍의 銃擊에 맞아 死亡했다. 카를 對共은 結局 擲彈兵을 이끌었고, 프랑스의 氣勢는 沮止되었을 뿐만 아니라 逆轉되었다. 안할트의 王子도 戰鬪에서 死亡했다. 생시르는 放談의 攻擊까지 進展을 이루지 못했지만, 大公의 對應으로 둘 다 萎縮되었다. 그 阿修羅場에서 생시르의 第3旅團長人 클로드 저스테 알렉상드르 르그랑은 옆에 있던 兄弟와 補佐官을 모두 잃었고, 르當 自身도 自身의 軍隊를 집결시키려 할 때 짓밟혀 죽거나 捕虜가 되는 것을 겨우 避할 수 있었다. 多數의 오스트리아軍이 합스부르크 中央에 對한 프랑스軍의 主要 攻擊을 沮止했다. [26]

프랑스軍의 右翼에서 페리노 將軍은 먼저 大砲로 오스트리아軍을 밀어내려고 試圖했고, 뒤이어 아쉬와 슈토카흐 사이 道路 兩쪽의 숲을 통한 攻擊이 이어졌다. 2個 縱隊가 2番의 攻擊을 加했고, 둘 다 擊退되었다. 마침내, 페리노는 그의 세 番째 熱을 突擊에 追加했고, 이는 오스트리아軍이 戰線을 再編成하는 結果를 가져왔고, 中央에서 무거운 脯를 發射하는 大砲를 發射했다. 페리노는 砲兵 彈藥이 떨어졌기 때문에 對應할 수 없었다. 프랑스軍은 着劍을 하고, 발비스 마을로 突擊하여 占領하는 데는 成功했지만, 夜間攻擊을 버티지 못했고, 結局 後退했다. [27]

結果 [ 編輯 ]

後退 [ 編輯 ]

3月 26日 저녁, 주르당은 엥겐과 슈土카흐의 陣地를 抛棄하기로 決定했다. [28] 생시르는 오스트리아의 右翼에 對한 그의 攻擊과 放談의 攻擊이 失敗한 後 이미 다뉴브江을 따라 撤收했고 西쪽으로 검은숲를 向해 進軍하고 있었다. 理解할 수 없게도, 적어도 그 當時에는 오스트리아軍이 後退하는 프랑스軍을 追擊하는 데 失敗했다. 카를은 프랑스軍을 追擊하는 代身, 南쪽으로는 발바이스까지 南쪽으로 슈톡카흐와 엥겐에 있는 區劃으로 軍隊를 命令했다. 帝國宮廷法院은 戰鬪 計劃을 樹立하면서 스위스가 프랑스軍에서 除去될 때까지 라인江에 接近하는 것을 禁止했다. 카를 對共은 單純히 自身의 立場을 固守했다. [29]

3月 31日까지 도나우 軍隊는 노이슈타트, 프라이부르크 임 브리스佳友, 프로이덴슈타트 및 쉴 打흐에 進軍했다. 주르당은 回른베르크에 그의 指揮 本部를 設置했다. 騎兵은 山에서 充分한 먹을 것을 찾지 못했고, 吳펜부르크로 보내졌다. [30]

影響 [ 編輯 ]

주르당은 나중에 오스트리아軍이 7,000名이 죽거나 부상당했으며, 4,000名의 捕虜와 여러 大砲를 잃었다고 主張했다. 銃擊戰이 벌어졌던 하루 終日 프랑스軍은 고기도, 빵도, 브랜디도 없이 戰場에 머물렀고, 말에게도 마초를 먹이지 못했다. 주르당은 나중에 이렇게 썼다. “우리가 勝利를 얻었다는 것은 不義나 거짓이다.” 兩側 모두 勝利를 主張했지만, 大部分의 19世紀와 20世紀 歷史家들은 오스트리아軍에게 勝利를 認定했다.

프랑스 總裁政府度 그랬다. 4月 中旬에 腎臟炎으로 苦痛받던 주르당은 參謀長인 腸 오귀스탱 에르누프 司令官에게 指揮權을 넘겨주고 兵力 不足, 補給品 不足에 對해 不平하기 위해 파리로 돌아왔다. 그리고 그가 直面해야 했던 軍隊의 規模, 經驗, 供給. 그는 그곳에서 同情을 거의 받지 못했고, 아프다며 總裁政府에 辭職書를 提出하자 바로 接受되었다.

15年 後 엘바에서 亡命한 나폴레옹은 슈토카흐 戰鬪와 프랑스의 敗北를 分析했다. 그는 그 原因이 조르당의 四端에 있다고 結論지었다. 주르당은 오스트라흐에서의 配置로 인해 集中度를 높였지만, 프랑스軍은 如前히 過度하게 擴散되어 있었다. 더 集中된 兵力에 對抗하여 오스트리아軍은 생시르와 放談이 前後方에서 攻擊했을 때 오른쪽 側面을 强化하기 위해 왼쪽에서 軍隊를 移動할 수 없었다. 더욱이 나폴레옹은 프랑스 右翼에 對한 페리노의 軍隊가 充分히 集中되지 않았고, 道풀의 起兵 攻擊을 進行하기까지 너무 오랜 時間이 걸렸기 때문에 오스트리아군에게 優位를 提供했다고 非難했다. 오스트리아 左翼은 그의 攻擊을 中斷하고 南쪽 側面에서 兵士들을 풀어 北部軍을 支援했다. 重要한 것은 오스트리아軍의 戰線이 充分히 짧아서 軍隊가 南쪽 側面에서 北쪽 側面으로 빠르게 移動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또한 나폴레옹은 주르당이 北西쪽, 卽 검은숲으로 後退했다고 主張했다. 알자스. 그는 앙드레 馬세나의 잘 配置된 헬베티아 軍隊와 合流하기 위해 南쪽으로 退却했어야 했는데, 그곳에서 헬베티아 軍隊와 다뉴브 軍隊가 合치면 합스부르크 軍隊를 물리칠 수 있었다. 주르당의 잘못된 全般的인 戰略으로 나폴레옹은 프랑스軍이 勝利의 門턱에서 敗北를 當했다고 主張했다.

各州 [ 編輯 ]

  1. There was a second battle the following year?see Second Battle of Stockach . Some older English sources refer to this as the Battle of Stochach and some French chronicles as Battle of Liptingen (or Leibtengen).
  1. Blanning, pp. 200?280.
  2. Blanning, p. 200.
  3. John Young, D.D. A History of the Commencement, Progress, and Termination of the Late War between Great Britain and France which continued from the first day of February 1793 to the first of October 1801 . Two volumes. Edinburg: Turnbull, 1802, vol. 2, p. 220.
  4. Blanning, p. 232.
  5. Jean-Baptiste Jourdan. A Memoir of the operations of the army of the Danube under the command of General Jourdan, taken from the manuscripts of that officer . London: Debrett, 1799, pp. 140?144; Smith, Data Book , p. 148.
  6. Rothenberg, Gunther E. (2007), 《Napoleon's great adversaries: Archduke Charles and the Austrian Army 1792?1814》, Stroud, Gloucestershire : Spellmount, 74쪽   ; Ramsey Weston Phipps. The Armies of the First French Republic . Volume 5: The armies of the Rhine in Switzerland, Holland, Italy, Egypt and the coup d'etat of Brumaire, 1797?1799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39, pp. 49?50.
  7. Blanning, p. 232.
  8. Albert Seaton, The Austro-Hungarian army of the Napoleonic wars. London: Osprey, 1973, 9780850451474, p. 15.
  9. Phipps, pp. 49?50.
  10. Rothenberg, p. 74.
  11. Jourdan, p. 164.
  12. Young, p. 228.
  13. Vandamme had been sent to Stuttgart, to determine if the enemy had troops there; this assignment not only depleted Lefebvre's force of its protective flank, but annoyed Vandamme, when he determined there were no imperial forces at Stuttgart. John Gallagher. Napoleon's enfant terrible: General Dominique Vandamme . Tulsa: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08, ISBN   978-0-8061-3875-6 pp. 76?77.
  14. Smith, Data Book , p. 148.
  15. Phipps, pp. 49?50; Young, pp. 229?231.
  16. Roland Kessinger, '"Die Schlacht von Stockach am 25. Marz 1799". Zeitschrift fur Militargeschichte . Salzburg: Ost. Milizverlag, 1997?. [2006].
  17. Gallagher, p. 76; Phipps, pp. 49?50.
  18. Jourdan, p. 173.
  19. Gallagher, pp. 78?79.
  20. Phipps, pp. 49?50.
  21. William Deans, A History of France from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 v. 2, London, A. Fullarton, 1882, p. 645; Young, p. 230.
  22. Smith, Databook , p. 148.
  23. (獨逸語) Jens-Florian Ebert, "Feldmarschall-Leutnant Furst zu Furstenberg," Die Osterreichischen Generale 1792?1815 . Accessed 7 October 2009.
  24. Jourdan, p. 177.
  25. Alison, p. 115; Phipps, pp. 49?50. The grenadiers were battalions Tegethoff , Bojaowsky Teschner Lippe , Sebottendorf , and Juch ; the cuirassiers included the 7th Imperial Lothringen and the 8th Hohenzollern Regiment .
  26. Gallagher, p. 79.
  27. Jourdan, pp. 197?199.
  28. Jourdan, p. 204.
  29. Alison, p. 115; Blanning, p. 232; Gallagher, p. 124.
  30. Jourdan, p. 204.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