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서울새남굿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서울새남굿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서울새남굿

서울새남굿 은 서울 地方의 傳統的인 亡者薦度(亡者薦度)굿으로, 普通 진오기 또는 진오귀라 한다. 이를 分類하면 一般人의 亡者를 위한 굿은 評진오기, 中流層은 얼새남, 上流層은 새남굿이라 한다. 이 亡者薦度굿은 地方마다 名稱이 다르다. 서울·京畿 地方은 普通 진오기, 忠淸·慶尙道는 오구굿, 濟州島는 十王(十王)맞이, 黃海道는 진오기, 平安道는 獸王굿, 咸鏡道는 새남굿 또는 亡묵굿·網武器굿 等으로 부른다.

構成 [ 編輯 ]

서울새남굿은 안堂四更맞이와 새남굿으로 짜여져 있다. 안堂四更맞이는 서울ㆍ京畿地域의 傳統的 財數굿의 形態로 새남굿의 前날 저녁부터 이튿날 새벽까지 밤새 논다. 距離 順序는 周堂물림에서부터 始作하여 否定ㆍ가망請陪ㆍ진적ㆍ불사거리ㆍ道黨거리ㆍ超가망거리ㆍ本鄕거리ㆍ祖上거리ㆍ上山거리ㆍ별상거리ㆍ新訂거리ㆍ大監거리ㆍ帝釋거리ㆍ城主거리ㆍ倡夫거리ㆍ뒷전 等 17距離이다. 아침부터 始作되는 새남굿은 다시 새남不淨거리부터 始作하여 가망請陪·중디밧산·私財三星거리·末尾거리·도령(밖도령)·門들음·영실·도령(안도령)·상식·뒷영실·배째(배가르기)·시왕군웅거리·뒷전 等 14第次(祭次)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거리數가 많고 長時間 所要되기 때문에 만신 5人과 쟁이 6人이 參與한다. 불사거리에서 만신의 靈魂인 말명을 모시고 不辭(佛師)·天尊(天尊) 等을 위하여 노는 거리로 巫舞(巫舞)가 始作되고, 巫卜(巫服)과 巫具(巫具)를 必要로 한다.

  • 重디밧産銀 만신의 앉은거리로서 十王의 靈驗을 讚揚하는 十王풀이를 부르며, 私財三星거리는 亡者(亡者)의 魂魄을 護衛·引導하는 저승使者를 놀리는 距離이다.말미에서는 만신이 華麗한 服飾으로 巫祖(巫祖)로 섬겨지는 바리公主의 巫家(巫歌)를 부르며, 도령은 만신이 地藏菩薩을 모신 蓮池當 앞에 세워진 저승門을 돌고 門獅子(門使者)와 이야기를 나누고 門을 通過한다.
  • 영실은 亡者가 地藏菩薩에게 自身의 抑鬱한 事情을 呼訴하며 慈悲를 救한다. 안도령은 亡者의 魂魄을 引導하는 바리公主가 저승의 12大門을 安全하게 通過하려 애쓰는 대목이며, 常識은 遺族이 亡者에게 儒敎式 祭祀를 드리는 거리이다. 뒷靈室은 亡者의 魂이 씌인 만신이 遺族들에게 마지막 當付의 말을 傳한다. 그 다음 만신이 이승다리와 저승다리를 象徵하는 무명과 베를 찢어 그 길을 열어줌으로써 亡者의 魂이 저승世界로 無事히 薦度된다. 十王群雄거리는 저승의 十大王을 護衛하는 伸張들에게 亡者의 魂魄의 印度와 保護를 祈願한다.
  • 뒷전은 새남굿에 枉臨한 모든 神靈들에게 끝났음을 알려 配送하고 雜鬼·잡信徒 待接하여 돌려보낸다.
  • 巫舞(巫舞)는 伴奏音樂에 따라 大部分 莊重하고 高雅한 춤사위를 보인다. 特히 안堂四更맞이에서의 上山춤·굿거리춤·별상춤·唐樂춤 等과 새남굿에서의 도령춤 卽, 坪도령·손도령·負債도령·칼도령 等은 이 굿에서 보이는 流麗한 춤사위들이다.

또 淸晨(請神), 接神(接神), 오신(娛神), 送信(送神)에 따라 춤의 構造가 다르다. 卽 淸新에서는 춤이 없으며, 接神 때에는 막춤과 도무(蹈舞)를 하고, 오신에서는 八字춤ㆍ막춤ㆍ굿거리춤 等 춤이 華麗하며 送信에서는 巫服(巫服)을 벗어 손에 받치고 한바퀴 돌며 절을 하고 끝낸다.

  • 巫具(巫具)는 굿할 때 使用하는 道具로 基本的인 것은 負債·방울·大神칼이며, 神칼·작두와 무점區(巫占具)인 葉錢ㆍ방울ㆍ紙錢(紙錢)ㆍ五色旗 等이 있으며, 서울새남굿에서는 작두는 使用하지 않는다.

伴奏樂器 [ 編輯 ]

伴奏樂器는 打樂器로 장구ㆍ징ㆍ第금이 있고, 絃樂器로는 解禁이 있으며, 吹樂器로는 젓대ㆍ피리가 있 다. 장구ㆍ징ㆍ提琴은 무당이 所持하고 나머지 樂器는 樂士들이 燒紙한다. 서울새남굿은 굿廳의 諸般 裝飾과 만신들의 服飾ㆍ音樂ㆍ춤이 華奢하며, 무악(巫樂)은 三絃六角을 잡아 연주하기 때문에 規模가 크며 華麗하고도 莊重하다. 이것은 朝鮮時代 宮中 文化的 要素를 受容한 것으로 보인다.

參照 [ 編輯 ]

본 文書에는 서울特別市 에서 知識共有 프로젝트 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 으로 公開한 著作物 을 基礎로 作成된 內容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