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西洋 19世紀의 敎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西洋 19世紀의 敎育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본 文書는 西洋 19世紀 敎育 에 關한 것이다.

國家主義와 敎育 [ 編輯 ]

近代를 特徵짓는 커다란 現象은 民族單位의 獨立國家가 形成된 것이다. 卽 17世紀 · 18世紀 에는 確實히 區分된 領土와 經濟的·軍事的 資源을 가진 國家가 一般的 形態를 갖추게 되어 유럽의 國家主義 (國家主義)가 成就되었다. 이들 民族國家들은 軍事的·經濟的으로 熾烈한 競爭을 벌였고, 모든 國家에서는 學校를 設立하여 國家에 충성스러운 奉仕를 할 수 있는 國民을 養成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國家의 目的과 以上을 實現하는 機關으로 삼게 되었다. 國家主義는 敎育의 國家管理, 國家的 敎育制度의 外部敵 組織, 그리고 義務敎育制度의 發達과 促進 等 主로 敎育體制에 많은 影響을 주었다. 敎育上의 國家主義는 國家의 存續·發展을 敎育의 目的으로 삼는 敎育的 主張이었다. 그 結果, 19世紀 以後 世界 各國은 國體(國體)의 如何를 莫論하고 國家와 關聯 있는 公敎育 (公敎育)機關을 갖게 되었으며, 그 機關을 통해서 國家의 保全(保全)과 繁榮을 꾀하였다. 國家主義에 立脚하여 敎育面에 있어서 先驅的 役割을 한 國家는 프랑스·獨逸 및 美國이다. 프랑스에서는 콩도르세 (M. de Condorcet, 1743-1794) 等이 프랑스革命의 理想에 依據하여 敎育 組織·制度 等을 통한 國家와의 關係를 規定하였고, 프로이센(獨逸)에서는 피히테 (J. G. Fichte, 1762-1814)에 依해서 獨逸 理想主義 哲學의 基礎 위에 敎育의 目的 및 精神과 國家와의 깊은 關聯이 決定되었다. 19世紀의 近代國家들은 産業革命의 進展과 더불어 自國의 繁榮과 榮光을 위해서 敎育理念을 國家的 權威와 一致시키기에 힘썼다. 그리하여 19世紀 後半에 이르러 世界 列强은 國內의 統一을 完成하여 國家主義 敎育을 强力히 推進했다. 國家主義 敎育思想家로서 代表的인 사람은 프랑스의 롤랑 (J. M. Roland, 1734-1793)· 라 샬로테 (L. R. La Chalotais, 1701-1785)·콩도르세와 獨逸의 피히테 · 슐라이어마허 (F. E. D. Schleiermacher, 1768-1834), 英國의 랭커스터 (J. Lan­caster, 1778-1838)와 五言 (R. Owen, 1771-1858), 그리고 美國의 제퍼슨 (T. Jefferson, 1743-1826)과 (H. Mann, 1796-1859) 等이다. 國家主義 敎育論者들은 國家가 國民에 對한 敎育的 責任을 져야 하고, 이를 위해 敎育費를 國家가 負擔하는 義務敎育制度를 主張했다. 그들은 敎育은 普遍的이어야 한다는 信念下에 初等敎育뿐만 아니라, 專門的 職業敎育·成人敎育까지도 國家負擔으로 할 것을 主張하였다. 國家主義의 敎育思想家들은 모두 公立學校를 最善의 敎育機關으로 생각하여 公的 財團에 依해 公的으로 管理되는 非宗派的인 一般 學校制度의 確立을 希望하였다.

피히테의 敎育思想 [ 編輯 ]

피히테 (Fichte)의 敎育論은 '獨逸 國民에게 高喊'이라는 公開講演을 통하여 呼訴한 內容에서 가장 신중하게 展開되었다. 그에 따르면 獨逸國民은 道德的으로 여러 가지 缺陷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根本的으로 是正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먼저 要請되는 것은 敎育의 改革이라고 했다. 그는 오직 國民敎育의 根本的인 改革을 통해서만 倫理的으로 새로운 時代의 形成이 可能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改革된 敎育은 個人的인 自我를 超越하여 全體的 自我 또는 絶對的 自我에 到達하게 하는 敎育을 말하는 것으로, 從來의 敎育을 全的으로 變革하는 것만이 獨逸國民의 生存을 維持하는 唯一한 手段이라고 하였다. 피히테가 主張한 敎育論의 밑바닥에는 칸트가 主張한 自由의 理念이 들어 있으며, 페스탈로치의 影響도 크게 作用하고 있다. 피히테는 人間의 本性을 自由의 實現으로 생각하고, 啓蒙時代의 個人主義를 排斥하고 社會에 依한 社會를 위한 敎育을 主唱하였으며, 먼저 獨逸民族을 敎育하고 獨逸文化를 통해 人類에 貢獻할 것을 强調했다. 피히테의 敎育論은 칸트가 主張했던 自由의 槪念에 따라 自己 活動에 依한 自由에 이르기까지의 敎育을 모든 敎育의 中心目的으로 삼았으며, 敎育의 目的은 自己活動을 促進하고, 眞理와 線을 사랑하도록 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피히테에 依하면 敎育이란 單純히 各 個人이 타고난 本質的 機能을 完成하는 것만이 아니라, 個人的 存在를 完成的 存在에 관련시켜 完成하는 것을 意味한다. 그는 敎育을 監督하는 것은 國家의 任務이며, 國家는 敎育의 普及을 圖謀하여야 함과 同時에, 모든 國民에게 빠짐없이 敎育의 機會를 提供하도록 努力해야 하고 同時에 敎育을 받을 國民에 對하여 强制할 權利도 있다고 했다. 그는 모든 敎育 中에서 特히 德育(德育)의 重要性을 力說하고, 脂肉(智育)은 德育의 手段으로서 意味를 갖는다고 했다. 피히테는 ① 國民 開學(皆學)의 强制, ② 敎育費의 國費支給, ③ 國民敎育의 기초적 部分의 共通化, ④ 男女工學 等과 같은 수많은 進步的 提案을 했다.

啓發注意 [ 編輯 ]

啓發注意(啓發主義) 敎育은 소크라테스의 敎育方法에 依한 眞理發見의 敎育方法을 그 根源으로 하고 있다. 이 啓發主義는 敎育을 人間 養育으로 보는 合理主義 또는 形式陶冶主義와, 自然成長으로 보는 自然主義 敎育思想을 綜合·折衷하려는 性格을 갖고 있다. 이것은 兒童硏究에서 얻은 心理學的 知識을 基礎로 하여 兒童의 內部敵 여러 能力의 啓發을 地圖·造成하는 것을 强調하고, 머리와 손과 마음 等에 內在한 여러 能力의 調和的 啓發, 道德的 稟性의 啓發, 兒童의 先天的 能力의 啓發 等을 敎育의 目的으로 한다. 敎育內容으로는 活動 中心의 敎育課程을 要求하며, 敎科로는 讀書·習字·算數·科學·地理·歷史·語學·文學·遊戱·音樂·作業·美術 等이 强調되었고, 敎育方法으로서는 兒童活動의 原則·油畫(類化) 또는 興味의 原則·形式的 敎授段階설·創作活動의 原則 等이 逆說되었다. 以上과 같은 敎育의 目的·內容·方法은 啓發注意 敎育者에 따라서 그 强調點이 다르지만 一般的으로 다음과 같은 點에서 共通된 主要 特色이 있다. 卽 그들은 첫째, 兒童을 成人의 縮小版으로 보지 않고 그때그때 忠實히 陶冶되어야 할 尊嚴한 存在로 본다. 둘째는 兒童들의 心理에 基底를 둔 敎育을 力說하여 陶冶內容에만 注意할 것이 아니라, 陶冶 對象인 兒童의 本性과 心理狀態를 硏究하여 그에 적합한 敎育을 할 것을 强調한다. 셋째는 自然主義的 原理의 發展으로서 코메니우스와 루소의 敎育思想을 아울러 發展시키는 것이다. 넷째는 努力할 때에 興味·進步가 있고, 興味가 있을 때 努力을 集中的으로 하게 된다는 것에 着眼하여 興味와 努力을 아울러 强調하며, 다섯째는 敎育은 發展의 過程이며 그 發展에 있어 가장 重要한 것은 그 初期이므로 中等敎育이나 高等敎育보다 初等敎育에 關心의 焦點을 두어 初等敎育의 改善에 至大한 努力을 기울였다. 또한 學習지도법의 改善·敎師 養成의 重視·敎育課程 全般에 關한 理解의 促進 等 敎育의 外部的인 麵보다 內部的 狀態의 刷新에 努力했던 點 等이다. 啓發注意 敎育을 心理的 敎育說 또는 發達主義 敎育이라고도 하는데, 이 敎育思想의 代表的 人物로는 페스탈로치·헤르바르트·프뢰벨 等이 있다.

페스탈로치의 敎育思想 [ 編輯 ]

敎育의 聖者라고 불리는 페스탈로치 (Johann Heinrich Pestalozzi, 1746-1827)의 敎育思想이나 理論은 그의 聖者的인 敎育精神에 立脚해서만 올바르게 理解할 수 있다. 그의 代表的인 敎育에 關한 著書로는 <隱者(隱者)의 黃昏>(1780-87), <린하르트와 게르투르트>(1781), <게르투르트는 그의 子女를 어떻게 가르치나>(1801), <直觀의 ABC>(1803), <基礎陶冶의 理念에 關한 見解와 經驗>(1807) 等이 있다. 그의 敎育理論은 敎育의 實踐을 통한 非凡한 觀察力으로 兒童의 內部에 깊이 자리잡고 있는 人間性을 直觀하고, 그것을 사랑하고, 믿고, 기르고, 드러내는 끝없는 敎育精神이 源泉을 이루고 있다. 그를 人類의 救濟者로서 온 世界 사람들이 높이 推仰하는 것도 그러한 敎育精神을 높이 評價하기 때문이다. 페스탈로치 敎育理論의 核心을 이루고 있는 槪念은 人間性이다. 그것은 모든 사람에게 한결같이 先天的으로 주어진 것인 同時에 環境의 刺戟을 받아서 밖으로 뻗어 나가는 힘을 지닌 것이다. 페스탈로치는 敎育의 以上이 바로 그러한 人間性을 個個의 어린이에게서 啓發하는 일이라고 믿었다. 페스탈로치는 當時 支配階級의 前提(專制)와 腐敗·墮落을 攻擊하고 民衆을 眞實로 幸福하게 하는 社會의 必要性을 强調하고 그것을 위한 生活注意의 敎育을 提唱했다. 그는 純粹한 人間性을 向해서 人間의 道德的·知的·身體的인 內的 第能力을 조화롭게 발전시키는 것을 生活敎育의 目的으로 생각했다. 그는 人間에게는 무엇보다도 精神的인 보이지 않는 內面의 根本力이 있는데, 敎育은 이 人間精神의 根本力을 북돋우고 드러내는 일이며, 그것을 妨害하고 抑壓하는 敎育은 아무리 有用한 知識과 技術을 傳達한다 하더라도 참된 敎育은 아니라고 보았다. 페스탈로치는 人間精神의 根本力을 精神力·審精力·技術力의 세 가지로 表現했는데, 그것은 지(智)와 의(義)와 行(行)에 該當하는 것이며, 이는 머리(head)·心臟(heart)·손(hand)으로 表現되기도 하고 3H로 簡單히 要約되기도 한다. 그리고 그는 이 3가지로 代辯되는 人間精神의 根本力의 三位一體(三位一體)的 弔花를 敎育的 理想으로 삼았다. 페스탈로치는 敎育을 社會改革의 手段으로 보았다. 그는 <린하르트와 게르투르트>에서 家庭生活의 改良과 學校敎育의 進步가 民衆의 社會的·道德的 關係를 向上시키는 데 必要한 것이고, 下層階級의 腐敗는 社會의 危險한 暗黑的인 面이므로 良民의 保護와 社會의 開發이 必要하다고 했다. 그는 現在의 窮乏과 苦惱를 緩和시키기 위해 敎育이 必要한 것이며, 下層民의 生活狀態를 改良하는 唯一한 方法이 敎育이라고 믿어 社會改革의 手段으로서의 敎育事業에 生涯를 바쳤던 것이다. 페스탈로치는 知識敎育·技術敎育·道德敎育을 具體的으로 實現하는 方法的 原理로서 直觀을 들고 있다. 그는 直觀을 認識의 絶對的인 基礎로 삼고 그것을 敎授(敎授)의 最高 原理로서 確立하였다. 또 그에게 있어서 直觀은 論理的 認識論에서 말하는 直觀이기에 앞서서 생생한 認識構成의 根本原理이며, 모든 人間敎育의 基礎인 同時에 出發點인 것이다. 그는 直觀의 基本要素로 수(數)·型(形)·어(語)의 세 가지를 들고 이를 直觀의 ABC라 하였다. 그는 事物의 認識은 첫째로 事物의 數와 種類를 識別하고, 다음으로 그 形態와 모습을 보며, 끝으로 그 이름을 소리와 말로 表現하는 方法을 통하여 把握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言語의 能力, 形態의 意識, 計算能力 等을 外部的인 數와 兄과 語에 결부시킴으로써 敎授法의 普遍的 基礎를 確立하였다.

페스탈로치가 經營한 學校에서 適用했던 敎育方法의 一般原理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① 觀察, 卽 感覺的 直觀은 學習指導의 基礎다.
② 言語는 恒常 實物 또는 內容에 결부시켜야 된다.
③ 學習의 時期는 判斷이나 批判의 時期가 아니다.
④ 어떠한 學科에서도 敎授는 가장 單純한 要素로부터 出發하고, 兒童의 發達에 따라 心理學的인 順序로 漸進的으로 促進시켜야 한다.
⑤ 敎授의 內容을 兒童에게 完全히 습득시키려면 充分한 時間이 주어져야 한다.
⑥ 敎授는 發達을 目的으로 해야 하며 獨斷的인 說明을 目的으로 해서는 안 된다.
⑦ 敎師는 生徒의 個性을 尊重해야 된다.
⑧ 初等敎育의 主要 目的은 學習者에게 知識이나 才能을 授與하는 것이 아니고 그 地力을 發展·增加시키는 일이다.
⑨ 能力은 知識에, 機能은 學習에 결부시켜야 된다.
⑩ 敎師와 生徒와의 關係, 特히 訓鍊에서는 사랑에 基礎를 두고 사랑에 依해서 支配되어야 한다.
⑪ 敎授는 敎育의 보다 높은 目的에 종속시켜야 한다.

페스탈로치 敎育思想의 特徵은 具體的·全體的 體驗을 敎育의 原理로 삼는 것이다. 知識敎育·技術敎育·道德敎育 그 어느 것을 莫論하고 具體的·個別的 經驗을 통하여 普遍的 理念의 實現을 試圖하였던 것이다.

헤르바르트의 敎育思想 [ 編輯 ]

敎育의 目的은 倫理學에, 敎育의 方法은 心理學에서 求함으로써 敎育學을 하나의 學問化 및 體系化시켜 科學的 敎育學의 創設者가 된 헤르바르트 (J. F. Herbart, 1776-1841)는 <페스탈로치의 <게르투르트는 그의 子女를 어떻게 가르치나>에 關하여>(1802), <페스탈로치의 <直觀의 ABC>의 理念>(1802), <敎育의 目的으로부터 推論된 一般敎育學>(1806), <敎育學講義强要>(1835) 및 <一般敎育學强要>(1841) 等의 著書를 통해 그의 敎育思想을 展開시켰다. 特히 그의 敎育學은 <一般敎育學>과 <敎育學講義强要>의 두 著書를 통해 體系化되었다. 卽 그는 敎育學의 基礎學으로서 實踐哲學(倫理學)과 心理學을 들었다. 또한, 敎育學의 基礎學이 되는 實踐哲學을 敎育의 目的을 決定하는 補助科學으로 삼았고, 心理學을 敎育의 過程과 手段方法을 돕는 科學으로 삼으려 했다. 헤르바르트는 敎育의 目的을 德性(品性의 陶冶)에 두었다. 德性은 人間이 갖추어야 할 最高의 價値이므로 敎育의 最高 目的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學生들에게 선을 選擇하고 惡을 버릴 수 있도록 깨닫게 해주는 것이 品性陶冶라고 하여 道德的 稟性陶冶를 敎育의 絶對必須的인 目的으로 삼았다. 헤르바르트에 依하면 敎育의 目的은 倫理的인 것이다. 그는 敎育의 唯一한 前 任務는 德이라는 槪念으로 要約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그가 말하는 德이란 個人 속에 永遠한 眞實在(眞實在)로서 發展한 內的 自由의 理念이다. 이같은 內的 自由, 卽 道德的 稟性을 個人의 內的인 永遠한 眞實裁可 되게 하려는 態度를 發展시키는 것이 敎育의 主目的이다. 結局 헤르바르트는 堅實하고 信賴性 있는 道德的 人格이 人間의 最高目的이요, 同時에 敎育의 最高目的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點에서 敎育의 窮極的인 目的은 人間의 道德性을 啓發시키는 데 있다고 하였다. 헤르바르트는 敎育의 最高目的을 道德的 完成에 두고, 그것에 到達하는 段階로 多方面의 興味를 敎授의 直接目的으로 삼았다. 多方面의 興味로서 그는 經驗的 興味·思辨的(思辨的) 興味·審美的 興味·同情的 興味·社會的 興味·宗敎的 興味 等 6個를 들었다. 그에 依하면 知識이 다양한 事物로 向할 때 經驗的 興味를 發하고, 事物의 關係法則으로 向할 때 思辨的 興味를 發하며, 美的 關係로 向할 때 미적 興味가 생긴다. 이 3자는 經驗에 依해서 얻어지는 認識的인 興味의 方向이다. 그리고 交際에 依해서 얻어지는 同情이 個個人의 즐거움과 苦痛에 向하게 될 때 同情的 興味가 생기고, 널리 社會의 幸福과 不幸에 向하게 될 때 社會的 興味를 發하며, 또 最高本體인 神에게 向할 때 宗敎的 興味가 된다는 것이다. 헤르바르트는 이와 같은 多方面的인 興味를 불러 일으키는 일은 敎授의 重要한 使命이라고 했다. 이와 같이 그는 多方面的 興味의 啓發을 敎授의 直接目的으로 삼았고, 그 興味가 發動할 때의 心的 狀態에는 全心(專心)과 致詞(致思)가 있다고 했다. 全心이란 일정한 對象에 沈潛하여 다른 對象을 意識에서 排除하는 心的 狀態이고, 致死란 意識 가운데 흩어져 있는 많은 表象(表象)들을 結合하고 統一하는 作用으로서 그것에 依해서 人格의 統一이 成立된다고 하였다. 以上과 같은 觀念이 서로 結合하여 統一的인 自覺이 成立해 가는 過程에 따라 敎授는 段階的으로 推進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것이 바로 有名한 헤르바르트의 形式的 敎授단계설로, 明瞭·聯合·系統·方法이 그것이다. 그는 또 敎育의 方法으로서 敎授 外에 官吏와 訓鍊의 必要性을 主張했다. 管理는 本來 敎育의 前段階로서 兒童의 自然的·盲目的인 欲望과 行動을 統制하고, 外部的 秩序를 保存시키고, 敎授나 訓鍊을 效果있게 하기 위한 素地를 마련하는 것을 目的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敎授의 前提條件을 調整하는 것이다. 訓鍊은 積極的으로 兒童의 心理狀態에 影響을 끼쳐 그 心情과 性格을 陶冶하는 敎育作用이다. 헤르바르트는 以上과 같은 敎授의 管理·訓鍊 等 3個의 方法을 適當히 組織함으로써 所期의 敎育目的을 達成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프뢰벨의 自己活動의 原理 [ 編輯 ]

幼稚園의 創始者인 獨逸의 프뢰벨 (F. W. A. Frobel, 1782-1852)은 <人間敎育>(1826)이라는 그의 代表的 著書를 통하여, 宗敎와 哲學과 敎育이 渾然 融合된 獨自的인 敎育哲學 가운데에서 그의 敎育原理를 展開하였다. 그는 페스탈로치에게서 自然發達의 原理를, 피히테로부터는 行動의 原理를 繼承하여, 다시 이 兩者를 結合시킨 兒童의 自然性에 對한 硏究를 敎育目標로 삼았다. 그러므로 그의 敎育目的은 兒童의 先天的 能力 或은 個人의 潛在力을 啓發시키는 것이었다. 프뢰벨은 人間을 하나의 人間植物로 看做하여, 園藝家의 目的이 植物이 成長하고 開花·結實하는 것을 調節해 주는 데 있는 것과 같이, 敎育者의 目的은 兒童이 成人으로 자라나도록 調整하는 데 있는 것이라고 하였다. 프뢰벨은 自己表現의 活動을 敎育內容으로 極히 重要視했다. 그가 敎育에 貢獻한 것 中에서 가장 重要한 것은 兒童敎育에 있어서 유희의 本質的 要素와 自己活動을 重視하도록 한 點이다. 그에 依하면 兒童의 活動은 모두 創造的인 것이고, 創造的 活動은 內的인 自己表現이므로 敎育의 課題는 이같은 兒童의 自己表現을 도와주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自己表現은 自己 活動이기도 하며, 이것은 프뢰벨 敎育學의 基礎原理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그는 言語·노래·表情 等을 初期의 가장 基本的인 開發手段으로 생각하고 이를 奬勵하였다. 그리기·율동도 重視했는데, 무엇보다도 프뢰벨은 水攻(手工)과 遊戱를 自己表現의 가장 價値있는 形式으로 强調하였다. 그는 兒童의 旺盛한 創造活動을 자아내기 위한 機構로서 銀물(恩物:幼稚園에서 遊戱 또는 作業에 쓰는 簡單한 道具)을 考案하여 이를 敎區(敎具)로 使用했다. 은물은 공·角木·圓筒·접은 종이·赤木(積木) 等으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破壞와 建設, 建設과 破壞라는 活動을 만족시키는 놀이器具이다. 그는 兒童의 이런 欲求를 만족시켜 주는 것이 幼兒敎育의 祕訣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따라서 은물은 幼兒의 創造力을 일깨우고, 修鍊·强化하는 것을 目的으로 한다. 그는 兒童의 內部에 있는 것을 外部로 끌어 내는 創作活動을 重視했고, 페스탈로치와 같이 兒童은 일을 함으로써 배워야 한다는 行動敎育을 主張하여 勞作注意(勞作主義)에 立脚한 遊戱와 作業을 幼稚園의 基本原理로 삼았다. 또한 그는 兒童에게 協同的·社會的 活動을 할 수 있게 하여, 좀 더 좋은 社會生活 形式을 발전시키게 하고, 좀 더 나은 社會秩序를 만드는 創造的 進化의 한 구실을 하게 하는 것이 學校의 義務라고 하여, 社會化의 方法을 重視하였다. 그는 유희를 自我와 外界 사이에서 調和 있는 相互關係를 맺기 위하여 出發하는 첫걸음이라고 보아, 遊戱를 社會化의 한 方法으로 强調하였다. 그리고 그는 審議(心意)·身體·精神의 調和를 또한 重視하였다. 프뢰벨은 幼兒敎育은 婦女子의 使命이라는 생각에서 保姆敎育을 重要視했다. 그는 幼兒의 生活과 婦人의 愛情은 不可分의 關係를 가진 것으로, 母性愛에 依해서만 幼兒生活은 維持될 수 있으며, 幼兒를 養育하는 동안에 夫人의 眞正한 本性은 發揮된다고 하였다. 그가 幼稚園을 創設한 理由 中의 하나는 母性敎育機關으로서 保姆 養成을 하기 위한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兒童敎育은 指摘·靈的·身體的인 面을 主로 考慮해야 하며, 兒童의 活動·欲求·興味에 依해야 하고, 자유롭고 自發的인 成長과 外部로부터의 賦課가 아닌 內部로부터의 啓發이 되어야 한다는 點이 프뢰벨 敎育思想의 特徵이다. 自己活動·連續發展·個性化·社會化·直觀·勞作·生活經驗 等 一連의 進步的 原理에 立脚한 그의 敎育理論은 이미 進化論의 提唱 以前에 있어서 發達心理學을 豫見했다고 볼 수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