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미유 생상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생상스 에서 넘어옴)

카미유 생상스
1895年頃의 모습
基本 情報
出生 1835年 10月 9日 ( 1835-10-09 )
프랑스 王國 파리
死亡 1921年 12月 6日 ( 1921-12-06 ) (86歲)
프랑스領 알제리 알제
埋葬地 몽파르나스 墓地
性別 男性
職業 作曲家 , 피아니스트 , 오르가니스트 , 指揮者
思潮 後期 浪漫主義
配偶者 마리 로르 에밀리(1875年 結婚)
家族 앙드레(長男), 張프랑수아(次男) 모두 어릴 때 死亡함

샤를카미유 생상스 ( 프랑스語 : Charles-Camille Saint-Saens ; IPA:  [?a?l kamij s??s??(s)] [1] , 文化語 : 샤를 까밀 쌩-쌍스, 1835年 10月 9日 ~ 1921年 12月 16日 )는 프랑스 作曲家 , 오르가니스트 , 指揮者 , 피아니스트 이며, 特히 〈 피아노 協奏曲 2番 〉, 〈첼로 協奏曲 1番〉 , 〈 바이올린 協奏曲 3番 〉 ,〈 序奏와 론도 카프리치오소 〉, 〈 交響曲 第3番 '오르간' 〉, 모음曲 〈 動物의 謝肉祭 〉, 交響詩 〈 죽음의 無挑 〉, 오페라 〈 삼손과 데릴라 〉로 알려져 있다. 纖細한 音色과 豐饒로운 樂器構成으로 有名하다.

生涯 [ 編輯 ]

생상스는 프랑스 파리 에서 태어났다. 政府 서기였던 그의 아버지는 그가 태어난 後 3달 만에 죽었다. 絶對音感 의 所有者였던 그는 2살 때 피아노를 치기 始作하였으며 곧바로 作曲을 始作할 수 있었다. 1839年 3月 22日 로 날짜가 記錄된, 最初로 作曲한 曲인 《피아노를 위한 작은 短篇》은 現在 프랑스 國立圖書館 에서 保管 中이다. 그의 早熟함은 音樂에만 局限되지 않았다. 그는 3살 經에 읽고 쓸 줄 알았으며 7살 때는 라틴語 를 完全히 攄得했다. 12歲 때 모차르트, 헨델 等의 作曲家들의 曲으로 演奏會를 가졌다. 13歲에 파리 音樂院에 들어갔고, 18歲에 《第1交響曲》을 썼다. 28歲에 마들레느 敎會에서 오르간을 쳤으며, 29歲에 그의 가장 有名한 作品들 中 하나인 《第3交響曲》을 作曲하였다. 36歲 때에는 '國民 音樂 協會'를 設立하여 프랑스의 音樂을 일으키는 데 힘썼다. 46歲에 아카데미 會員이 되었다. 그리고 51歲 때 그의 死後에도 사랑받게 될 《 動物의 謝肉祭 》를 作曲하였다. 晩年인 1921年 에는 3個의 木管樂器 소나타인 《오보에 소나타 라長調》, 《클라리넷 소나타 내림 마長調》, 《바순 소나타 사長調》를 잇달아 作曲했으며, 같은 해 12月 16日에 프랑스領 알제리에서 死亡했다.

主要 作品 [ 編輯 ]

交響曲 [ 編輯 ]

  • 交響曲 1番 내림 마長調 Op.2 (1853年)
  • 交響曲 바長調 R.163 "로마" (1856年)
  • 交響曲 2番 가短調 Op.55 (1858年)
  • 交響曲 3番 다短調 Op.78 "오르간" (1886年)

交響詩 [ 編輯 ]

  • 스파르타쿠스 序曲 내림 마長調(1863) [2]
  • 옴팔레의 물레 가長調(1872)
  • 파에톤 다長調(1873)
  • 죽음의 無挑 사短調(1874)
  • 헤라클레스의 젊은 時節 내림 나長調(1877)

序曲 [ 編輯 ]

  • 喜劇 오페라 序曲 마短調(1850年頃)
  • 未完成 喜劇 오페라 序曲 사長調(1854)
  • 祝典 序曲 바長調(1910)

그 밖의 管絃樂曲 [ 編輯 ]

  • 모음曲 라長調(1863)
  • 알제리 모음曲 다長調(1880)
  • 리스본의 밤(1880)
  • 아라곤의 호타 가長調(1880)

協奏曲 [ 編輯 ]

피아노 [ 編輯 ]

바이올린 [ 編輯 ]

첼로 [ 編輯 ]

  • 協奏曲 1番 가短調(1872)
  • 協奏曲 2番 라短調(1902)

플루트 [ 編輯 ]

  • 로망스 내림 라長調(1871)
  • 小抒情詩 라長調(1920)

하프 [ 編輯 ]

  • 小協奏曲 사長調(1918)

호른 [ 編輯 ]

  • 로망스 바長調(1874)
  • 로망스 마長調(1885)
  • 演奏會 小品 바短調(1887)

오르간 [ 編輯 ]

  • 月桂樹 애가(1919)

二重協奏曲 [ 編輯 ]

  • 詩人과 뮤즈(바이올린과 첼로, 1910)

室內樂 [ 編輯 ]

獨奏樂器와 피아노 [ 編輯 ]

소나타 [ 編輯 ]
  • 첼로 소나타 1番 다短調(1872)
  • 바이올린 소나타 1番 라短調(1885)
  • 바이올린 소나타 2番 내림 마長調(1896)
  • 첼로 소나타 2番 바長調(1905)
  • 誤報에 소나타 라長調(1921)
  • 클라리넷 소나타 내림 마長調(1921)
  • 바순 소나타 사長調(1921)
그 밖 [ 編輯 ]
  • 華麗한 카프리스 바短調(바이올린&피아노, 1859)
  • 모음曲(첼로&피아노, 1862)
  • 자장歌 내림 나長調(바이올린&피아노, 1871)
  • 로망스 라長調(첼로&피아노, 1877)
  • 카바티나 내림 라長調(트롬본&피아노, 1915)

피아노 3重奏 [ 編輯 ]

  • 1番 바長調(1863)
  • 2番 마短調(1892)

피아노 4重奏 [ 編輯 ]

  • 마長調(1851~3)
  • 내림 나長調(1875)

絃樂 4重奏 [ 編輯 ]

  • 1番 마短調(1899)
  • 2番 사長調(1918)

그 밖 [ 編輯 ]

  • 세레나데 내림 마長調(1865)
  • 7重奏 내림 마長調(1881)
  • 動物의 謝肉祭 (1886)
  • 幻想曲 가短調(하프, 1893)
  • 뱃노래 바長調(바이올린·첼로·하모늄·피아노)(1897)
  • 幻想曲(바이올린과 하프, 1907)

피아노 [ 編輯 ]

  • 6個의 바가텔(1855)
  • 6個의 練習曲(1877)
  • 모음曲 바長調(1891)
  • 主題와 變奏(1894)
  • 6個의 練習曲(1899)
  • 왼손을 위한 6個의 練習曲(1912)

合唱 [ 編輯 ]

  • 性 세실리아 송가(1852)
  • 미사(1855)
  •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1858)
  • 멕베스(1858)
  • 프로메테우스의 結婚式(1867)
  • 오라토리오 洪水(1875)
  • 鎭魂曲(1878)
  • 페르시아의 밤(1891)
  • 밤에(1900)
  • 코르네유의 靈光(1906)
  • 靈光(1911)
  • 約束받은 땅(1913)
  • 聖母誦(1914)
  • 3個의 合唱(1917)
  • 잔다르크 讚歌(1920)

歌曲 [ 編輯 ]

  • 페르시아人의 노래(1870)
  • 롱사르의 5個의 詩(1907~21)
  • 붉은 再 Op.146(1914)
  • 오래된 노래(1921)

오페라 [ 編輯 ]

  • 隱腫(1864~5)
  • 東洋의 公州(1872)
  • 삼손과 데릴라 (1877)
  • 에티엔 마르셀(1879)
  • 헨리 8歲(1881~2)
  • 페르세포네(1887)
  • 아스카니오(1887~8)
  • 프리네(1893)
  • 프레데共드(1895)
  • 異邦人(1900~01)
  • 엘레네(1902~3)
  • 祖上(1905)

발레 [ 編輯 ]

  • 수다스러운 女子(1896)

映畫音樂 [ 編輯 ]

  • 기즈 公爵의 暗殺(1908)

各州 [ 編輯 ]

  1. s 發音 關聯: 作曲家 本人은 그의 이름이 프랑스 北部의 마을인 Saint-Saens와 똑같이 발음되기를 願했는데, 프랑스 歷史家인 클로드 푸르니에(Claude Fournier)에 따르면 이 마을은 1840~1860年代까지 s가 없이 表記되었고 1940~1950年代까지 끝에 s 없이 發音[s??s??]되었다( Doit-on prononcer le ≪s≫ final de Saint-Saens? Archived 2017年 1月 16日 - 웨이백 머신 ). 한便 標準國語大辭典에 收錄된 標準語는 생상스이다( 생상스 - 標準國語大辭典 ).
  2. 序曲 이라 붙어있지만 交響詩 로 分類됨.

參考 資料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