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피어-워프 假說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사피어-워프 假說 ( 英語 : Sapir?Whorf hypothesis, Whorf hypothesis, Whorfianism, linguistic relativity )은 한 사람이 世上을 理解하는 方法과 行動이 그 사람이 쓰는 言語의 文法的 體系와 關聯이 있다는, 言語學的인 假說이다.

사피어의 初期 假說 [ 編輯 ]

言語가 思考를 支配한다는 主張은 6世紀 印度의 詩人 바르트리하리 가 했었고, 그 以後 印度에서 論議가 되어 왔었다. 빌헬름 폰 훔볼트 亦是 비슷한 主張을 그의 隨筆에서 한 적이 있다.

에드워드 사피어 는 오른쪽 引用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言語가 思考를 支配하고 思考가 言語를 만든다고까지 얘기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의 弟子인 워프는 사피어의 생각을 발전시켜 大膽한 假說을 세웠고 이것은 피쉬먼을 비롯한 많은 社會言語學者들에게 影響을 끼쳤으며 이런 類의 생각은 조지 오웰 의 《 1984 》 等에서 直接的으로 描寫되기도 했다.

워프의 檢證 [ 編輯 ]

벤자민 리 워프는 生業이 火災豫防記事였고 副業이 言語學者였는데 周邊人들이 가스桶을 描寫할 때 full과 empty라는 形容詞만 使用하는 것을 發見했다. 그들은 實際로는 引火性 蒸氣로 더 危險할 可能性이 높은 가스桶의 狀態와는 別個로 그들이 쓰는 形容詞 때문에 '빈' 가스桶 近處에서만 담배를 피우는 것이었다.

워프는 이러한 解釋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證據를 蒐集하여 이 假說의 信憑性을 높였는데 그에 依해 提示된 有名한 例는 이누이트語의 눈(snow)에 關한 것이다. 이누이트어 에서는 눈(snow)을 ‘내리는 눈(falling snow), 바람에 휩쓸려온 눈(wind-driven snow), 녹기 始作한 눈(slushy snow), 땅 위에 있는 눈(snow on the ground), 단단하게 뭉쳐진 눈(hard-packed snow)’ 等으로 다양하게 表現한다. 이는 눈을 이렇게 다양한 方式으로 認識한다는 것을 드러내 주는 것이다. 反面 이누이트語와 다르게 英語에서는 '눈(snow)'이라는 한 가지 表現밖에 없다.

워프는 이와 같은 各 集團의 語彙의 差異뿐만 아니라 文法的 差異가 各 言語의 差異를 더 두드러지게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美國 인디언 言語에 對한 硏究를 통해 立證하고자 하였다. 그는 英語 , 불어, 獨逸語 等 印度유럽어와 같은 言語構造와 Hopi御醫 構造를 對照하였는데, 對照 結果 SAE(Standard Average European)의 範疇들은 話者들에게 時間과 空間을 向한 固定된 方向을 주는 反面 Hopi御醫 文法範疇는 世界에 對한 ‘過程’ 方向을 提供해 준다는 것을 發見해 내었고 이러한 差異들이 Hopi語와 SAE의 話者들이 世界를 서로 다르게 보도록 해준다고 믿었다.

一般的으로 學者들은 워프 假說에 對해 言語가 미치는 統制의 程度 差異에 따라 ‘强한(strong)’ 解釋과 ‘弱한(weak)’ 解釋으로 나눈다. 剛한 解釋에 依하면, 사람들의 認知 範疇는 그들이 말하는 言語에 依해 決定된다는 것이고 弱한 解釋에 依하면 사람들의 行爲는 狀況에 따라 그들이 使用하게 되는 言語의 言語 範疇에 依해 支配받기 쉬울 것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解釋과 더불어 워프의 假說과 그를 立證하는 證據에 對해 學者들 間에 많은 論爭이 있었다. 學者들은 유럽言語와 워프가 引用한 北美 土着 言語 사이에는 實質的인 差異性이 있으나, 이러한 差異性이 반드시 各 言語 話者들이 世界를 認識하는 方法에 깊은 差異性을 惹起하는 것은 아니라는 點을 指摘하였다. 사피어 워프 假說에 對한 가장 妥當한 主張은 이 假說이 基本的으로 證明될 수 있는 性質의 것이 아니라는 事實이다. 다음의 말은 現在의 學界의 立場을 代辯해 준다.

오늘날 우리는 사피어-워프 假說 을 全的으로 受容하지도, 그렇다고 全的으로 拒否하지도 않는다.
 
— 맥코맥, (1997:4)

現在 워프의 이러한 假說은 認定받지 못하고 있다. 워프의 假說은 基本的으로 證明될 수 있는 性質의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서로 全혀 다른 言語를 使用하는 集團이 共通된 文化를 共有하는 일은 흔히 觀察된다. 또 어떠한 槪念이라도 直接的으로 對應되는 語彙가 없을 뿐이지 돌려서 說明하는 것은 可能하다. 但只 그 語彙의 存在 有無는 必要에 따르는 것이다.

參考 [ 編輯 ]

各州 [ 編輯 ]

  1. 로널드 워더우 저, 박의재 驛, [現代 社會言語學] 2版에서 再引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