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聲通解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四聲通解 》(四聲通解)는 朝鮮 前期의 學者 최세진 이 지은 韻書 이다. 1517年에 編纂된 原刊本 [A] 은 傳해지지 않고, 壬辰倭亂 以前과 1656年에 刊行된 木版本과 1614年에 刊行된 목활자본이 傳한다.

崔世珍은 明나라 의 《洪武正韻》을 고쳐 쓴 《 洪武正韻譯訓 》을 補充하여 《속첨洪武正韻》을 編纂하였고, 이를 신숙주 가 지은 《四聲通攷》와 비슷한 形式으로 다시 고친 것이 四聲通解이다. 正音(正音)과 俗音(俗音)은 洪武正韻譯訓의 音階를 그대로 따랐으나 16世紀 當時의 北方音(北方音)을 金屬音(今俗音)이라는 이름으로 追加하였다. 入城 韻尾는 編纂 當時 中國에서 이미 消失되어 있었으므로, 洪武正韻譯訓과 달리 表記하지 않았다.

編纂 [ 編輯 ]

신숙주 集賢殿 學士들이 1375年에 明나라에서 지은 《洪武正韻》(洪武正韻)을 朝鮮에 맞게 고친 《 洪武正韻譯訓 》을 編纂하였지만 [1] , 洪武正韻의 滯在(體裁)를 毁損하지 않으려 한 結果 註釋이 너무 많고 內容도 厖大하여 정작 읽기가 어려웠다. [2] 또 學士들은 漢字를 먼저 運別로 나눈 뒤 四星 에 따라 配列한 《中院音韻》(中原音韻)이나, 漢字를 먼저 四聲에 따라 配列한 뒤 한 韻 안에서 聖母, 雲母, 聲調가 모두 같은 글字들은 聖母의 字母 順序에 따라 配列한 《五音集韻》(五音集韻), 《古今韻會擧要》(古今韻會擧要)를 《 東國正韻 》을 지을 때 參考하였는데, 洪武正韻(逆勳)의 形式은 이와 달랐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았을 것이다. [3] 이 때문에 世宗 은 申叔舟 等에게 다시 命하여 洪武正韻譯訓을 簡素하게 한 《四聲通攷》(四聲通攷)를 編纂하게 하였다. [2] 四聲通攷는 漢字를 東國正韻과 같은 方式으로 配列하였고 [4] , 洪武正韻譯訓과는 鄭 反對로 漢字에 달린 모든 主席을 없앴는데 [5] , 現在 傳해지지 않고 序文만 四聲通解에 실려 있다. [2]

이를 補完하기 위하여 崔世珍은 于先 洪武正韻譯訓을 補完한 《속첨洪武正韻》(續添洪武正韻)을 編纂하였다. 이 冊은 洪武正韻譯訓과 같은 順序로 漢字를 配列하였으나, 半切 表記法을 採擇하지 않았고, 明나라의 首都 北京 의 16世紀 初 現實 漢字音人 北方音(北方音)을 金屬音(今俗音)이라는 이름으로 倂記하였다. [6] 나아가 崔世珍은 속첨洪武正韻을 四聲通攷 式으로 고쳐 《四聲通解》를 編纂하였다. [4] 四聲通解 序文에 따르면 4年에 걸쳐 原稿를 일곱 番 다듬은 끝에 1517年( 中宗 12年)에 完成되었다. [7]

特徵 [ 編輯 ]

四聲通攷를 補完하고자 漢字에 註釋을 달았다. 四聲通解 範例에 따르면 元나라 때의 《고금운회》(古今韻會, 略稱 《運回》)의 主席을 따 왔다 하나, 실은 웅충(熊忠)이 이를 고쳐 쓴 《古今韻會擧要》를 말한다. [8] 450餘 個의 漢字에는 한글로도 註釋을 달았다. [8]

漢字音은 正音, 俗音, 金屬音의 세 가지가 記載되었다. [9] 이 가운데 正音과 俗音은 洪武正韻譯訓과 같은데, 정음은 15世紀 當時 中國人이 널리 썼고 洪武正韻의 半切 表記에도 맞는 中國 漢字音을, 俗音은 15世紀 當時 中國人이 使用하였지만 韻서와는 맞지 않던 漢字音을 말한다. [10] 金屬音은 洪武正韻 發刊 以後 時間이 지나면서 그 音과 이미 差異가 생긴 16世紀 當時의 北防音을 말한다. [9] 그 外에 崔世珍은 《蒙古韻略》(蒙古韻略), 《古今韻會擧要》, 《集韻》(集韻), 《中院아음》(中原雅音), 《中院音韻》(中原音韻), 《韻學集成》(韻學集成) 等의 中國 韻書를 幅넓게 參考하였으며 [11] , 間或 그 漢字音을 正音, 俗音, 金屬音과 더불어 적기도 하였다. [12] 漢字音을 나타낼 때는 半切 을 使用하지 않았고, 聲調도 이름만 表示할 뿐 傍點 을 찍지 않았다. [13] [14]

構成 [ 編輯 ]

四聲通解의 構成은 다음과 같다. [15]

  • 四聲通解 서(序)
  • 雲母政局(韻母定局): 四聲通解의 韻목을 提示하였다.
  • 廣韻(廣韻) 36字母地圖: 강신항 宋나라 때의 韻書인 《廣韻》李 朝鮮에 傳하지 않았다고 보고, 當時에 通用되던 36字母에 《廣韻》이라는 이름만 가져다 붙인 것으로 推定하였다.
  • 運回(韻會) 35字母地圖: 《運回》의 36聖母 體系에서 하나가 不足하다.
  • 紅무韻(洪武韻) 31字母地圖
  • 凡例
  • 本文
  • 四聲通攷 凡例
  • 飜譯老乞大 · 박통사 凡例
  • 同情子音(動靜字音): 聲調에 따라 音과 훈이 달라지는 漢字를 收錄하였다.

體系 [ 編輯 ]

中國의 傳統的인 音韻學 에서는 音節 을 聖母(聲母)와 雲母(韻母)의 結合으로 把握한다. 聖母는 初聲, 雲母는 中聲과 終聲에 該當한다.

聖母 [ 編輯 ]

四聲通解의 聖母 體系는 洪武正韻譯訓과 같은데 [16] , 音韻學의 三十六字母 와 달리 다섯 個의 聖母가 不足하다. [17] 20-21聖母 體系였던 것으로 재구(再構)되는 16世紀 當時 中國語 音韻에 對하여 崔世珍이 相當한 知識이 있었음에도 四聲通解의 正音, 俗音, 金屬音은 모두 이러한 31聖母 體系를 따랐는데, 洪武正韻의 權威를 거스를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18]

四聲通解의 聖母 體系 [19]
아음
(牙音)
설頭音
(舌頭音)
脣重音
(脣重音)
脣輕音
(脣輕音)
齒頭音
(齒頭音)
正齒音
(正齒音)
후음
(喉音)
半舌音
(半舌音)
半齒音
(半齒音)
전청(全淸) 見 ㄱ 端 ㄷ 幇 ㅂ 非 ㅸ 精 ㅈ 照 ㅈ 影 ㆆ
心 ㅅ 審 ㅅ
次淸(次淸) 溪 ㅋ 透 ㅌ 滂 ㅍ 淸 ㅊ 穿 ㅊ 曉 ㅎ
全託(全濁) 群 ㄲ 定 ㄸ ? ㅃ 奉 ㅹ 從 ㅉ 牀 ㅉ 匣 ㆅ
邪 ㅆ 禪 ㅆ
不淸不濁
(不淸不濁)
疑 ㆁ 泥 ㄴ 明 ㅁ 微 ㅱ 喩 ㅇ 來 ㄹ 日 ㅿ

雲母 [ 編輯 ]

四聲通解의 韻類(韻類)는 洪武正韻譯訓과 거의 같은데, 다만 進運(眞韻)에서 文運(文韻)李 나뉘어 23個 韻類, 80個 韻(韻)으로 되어 있을 뿐이다. [20] 이 가운데 정음을 基準으로 한 22個 韻類와 그 中性은 다음과 같다. [21]

韻類 中性 韻類 中性
1 東董送屋 ㅜㅠ 13 簫篠嘯○
2 支紙?○ ㅡㅣ 14 爻巧效○ ㅏㅑ
3 齊薺霽○ 15 歌?箇○ ㅓㅝ
4 魚語御○ 16 麻馬?○ ㅏㅑㅘ
5 模姆暮○ 17 遮者蔗○ ㅕㆊ
6 皆解泰○ ㅐㅒㅙ 18 陽養?藥 ㅏㅑㅘ
7 灰賄隊○ 19 庚梗敬陌 ㅣㅢㅟㆌ
8 眞軫震質 20 尤有宥○ ㅡㅣ
9 文吻問物 ㅡㅜㅠ 21 侵寢沁緝 ㅡㅣ
10 寒旱翰曷 ㅓㅝ 22 單感勘合 ㅏㅑ
11 刪産諫轄 ㅏㅑㅘ 23 監琰?葉
12 先銑霰肩 ㅕㆊ

中性과 달리 終聲(芸楣)은 四聲通解와 洪武正韻譯訓이 差異를 보이며, 特히 入城 韻尾가 그러하다. 洪武正韻譯訓은 入城 韻尾로 正音에는 ㄱ, ㄷ, ㅂ를 表記하였고, 俗音에는 ㆆ(約韻(藥韻)은 ㅸ)을 表記하였다. 反面 四聲通解는 正音에 入城 韻尾를 表記하지 않았고(단 約運은 ㅸ), 俗音은 洪武正韻譯訓과 同一하다. [22] 이는 16世紀 當時 北防音에 入城 韻尾가 이미 없어져 있던 것을 反映한 措置로 [23] , 13世紀 末에서 14世紀 初 사이에 사라진 北方音의 입성이 洪武正韻譯訓 編纂 當時(15世紀 初)만 해도 城門 破裂音 ( ? )으로 弱化되어 남아 있었으나 한 世紀가 더 지나는 동안 完全히 사라지는 通時的 音韻 變化 를 겪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24] 그럼에도 四聲通解는 洪武正韻의 틀에 맞게 入城을 包含한 四星을 모두 設定하였기에 後代에 批判 받았다. [23]

參考 文獻 [ 編輯 ]

各州 [ 編輯 ]

內容主
  1. 原刊本(原刊本): 여러 次例 刊行된 冊 가운데 맨 처음 刊行된 冊
參照週
  1. 강신항 2000 , 110-112쪽.
  2. 情景일 2002 , 178쪽.
  3. 강신항 2000 , 113-114쪽.
  4. 강신항 2000 , 118쪽.
  5. 情景일 2002 , 180쪽.
  6. 情景일 2002 , 174-175쪽.
  7. 강신항 2000 , 117쪽.
  8. 강신항 2000 , 116쪽.
  9. 情景일 2002 , 187쪽.
  10. 情景일 2002 , 147-151쪽.
  11. 강신항 2000 , 116-117쪽.
  12. 강신항 2000 , 164쪽.
  13. 강신항 2000 , 4-5쪽.
  14. 情景일 2002 , 186쪽.
  15. 情景일 2002 , 183-184쪽.
  16. 情景일 2002 , 188쪽.
  17. 情景일 2002 , 164쪽.
  18. 情景일 2002 , 190-194쪽.
  19. 강신항 2000 , 122쪽.
  20. 강신항 2000 , 128쪽.
  21. 情景일 2002 , 168-169쪽.
  22. 강신항 2000 , 131쪽.
  23. 강신항 2000 , 133쪽.
  24. 情景일 2002 , 197-200쪽.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