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骨格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骨格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뼈대筋肉 에서 넘어옴)

骨格筋 (骨格筋)은 大部分이 骨格(뼈대)에 附着하고 있기 때문에 骨格筋이라고 한다. 뼈대筋 이라고도 한다. 骨格筋을 構成하고 있는 微細筋肉原纖維 액틴 마이오신 이 規則的으로 配列하고 있어서 顯微鏡으로 觀察하면 가로무늬를 確認할 수 있다. 顔面筋肉처럼 筋肉의 끝部分이 皮膚밑에서 있는 境遇도 있고 혀의 固有筋肉처럼 筋肉과 筋肉을 連結시키기 위해 筋肉의 兩끝이 모두 結合 組織에 붙어 있는 境遇도 있다.

救助 [ 編輯 ]

bone 뼈 tendon 힘줄, 건 fascicle 다발, 속

epimysium 筋肉바깥막, 近外膜 perimysium 筋肉다발幕 blood vessle 血管 muscle cell(=muscle fiber) 筋肉纖維, 近(六)細胞 muscle fiber(single cell, multi-nuclear) myofibril 筋肉原纖維 sarcomere 筋肉原纖維마디 myosin filament 미오신 盞纖維 Actin filament 가진근육 盞纖維 Actin 액틴 Tintin 틴틴 Troponin 트로포닌 Tropomyosin 트로포미오신 myosin-Actin crossbridge 미오신-엑틴 連結다리(交叉交合) myosin head 미오신 헤드 stalk 줄기 hinge 交合選(경첩)

骨格筋은 一般的으로 紡錘形 形態를 가지고 있으며 兩끝은 에 附着되어 있다. 附着部位는 收縮性이 없고, 매우 질긴 끈 模樣의 纖維로 되어 있는데 이것을 힘줄 (건, tendon)이라고 한다. 李 兩끝은 筋斗(筋頭)·近美(筋尾)라고 한다. 그 筋肉이 收縮했을 때 位置가 좀 더 크게 移動하는 것을 近美라고 하며, 近美에 붙어 있는 部分을 닿는 곳(停止(停止), insertion)라고 한다. 位置 移動이 적고 고정점을 이루는 것으로 看做되는 것을 筋斗, 그 附着 部分을 이는 곳(기시(起始), origin)라고 한다. 筋斗와 近美 사이가 힘살(筋腹(筋腹), belly)이다.

맨눈解剖學 [ 編輯 ]

힘줄에 附着 [ 編輯 ]

筋肉은 힘의 日次 傳達에 特化된 領域인 筋肉힘줄이음부 (近件接合符, 筋肉힘줄連結, 近件連結, musculotendinous junction, myotendinous junction)로 알려진 複雜한 境界 領域의 힘줄에 附着된다. [1] 筋肉-힘줄 境界面에서 힘은 筋肉 細胞의 根絶에서 힘줄로 傳達된다. [2] 筋肉과 힘줄은 緊密하게 聯關되어 發達하며, 近件 接合符에서 結合한 後 筋肉 收縮에서 骨格系로 힘을 傳達하는 動的 單位를 構成한다. [1]

種類 [ 編輯 ]

筋斗가 한 個뿐인 筋肉을 短頭斤이라 한다. 두 個 以上 있을 때는 多頭斤이라 하며, 上浣 二頭筋·大腿 二頭筋·上腕 三頭筋·下浣 三頭筋·大腿 四頭筋 等 剛한 힘을 發揮하는 筋肉에 많다. 모두 筋미는 原則的으로 한 개, 停止도 한 곳이다. 筋腹 中間이 힘줄에 依해 中斷되어 있을 때는 多福斤이라 한다. 여기에는 惡(顎)二腹筋·肩胛 설골근·腹直筋 等이 있다. 이 中間에 있는 힘줄 部分은 隣接하는 結合 組織과 多少나마 癒着되어 있어 中間的인 支店으로 作用한다.

特異한 骨格筋들 [ 編輯 ]

筋斗 또는 筋美의 走向(走向)李 結合 組織이나 뼈의 홈 等에 依해 크게 바뀌는 境遇가 있다. 이와 같은 構造는 때로 滑車라고도 한다. 눈의 上司根(筋斗), 上浣 二頭筋의 狀頭, 大腿 四頭筋(近美)·裝備骨筋(近美) 等에 볼 수 있으며, 모두 45度 또는 그 以上 方向이 바뀐다. 大腿 四頭筋 近美의 힘줄 表面에는 뼈(膝蓋骨)가 癒着되어 있어 무릎을 구부렸을 때 힘줄이 홈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收縮筋肉纖維 [ 編輯 ]

느린 또는 빠른 收縮筋肉纖維(twitch fiber)의 특수한 特性을 決定하는 骨格筋의 運動 誘發 信號 經路

運動 뉴런 (motoneuron)과 密接하게 聯關된 收縮筋肉纖維 (twitch fiber)에는 느린 收縮筋肉纖維(slow twitch fiber,遲筋)와 빠른 收縮筋肉纖維(fast twitch fiber,속筋)가 있다.

各州 [ 編輯 ]

  1. Charvet, B; Ruggiero, F; Le Guellec, D (April 2012). “The development of the myotendinous junction. A review.” . 《Muscles, Ligaments and Tendons Journal》 2 (2): 53?63. PMC   3666507 . PMID   23738275 .  
  2. Henderson, CA; Gomez, CG; Novak, SM; Mi-Mi, L; Gregorio, CC (2017年 6月 18日). “Overview of the Muscle Cytoskeleton.” . 《Comprehensive Physiology》 7 (3): 891?944. doi : 10.1002/cphy.c160033 . PMC   5890934 . PMID   28640448 .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