苻堅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苻堅

陳 世祖 先소皇帝 苻堅 (秦 世祖 宣昭皇帝 ?堅, 337年 ~ 385年 , 在位 : 357年 ~ 385年 10月 16日 )은 中國 五胡 十六國 時代 前震 (前秦)의 3代 皇帝이다.자(字)는 迎鼓(永固) 或은 문옥(文玉)이다.

生涯 [ 編輯 ]

膚見은 異民族 저족 出身으로 副件 (?健)의 동생 부웅(?雄)의 아들로 337年에 태어났다. 어릴적부터 明敏하여 부홍 (?洪)의 寵愛를 받았으며, 等에 '草付應王'이라는 붉은 글씨가 써 있어 부홍은 이를 보고 性을 夫氏(?氏)로 고치기도 했다. 354年 에 부웅이 戰死하자 膚見이 東海王(東海王)의 爵位를 이어받았다.

357年 왕맹 을 만나 登用하였으며, 왕맹과 함께 反正을 일으켜 副生 (?生)을 廢位하고 天王(天王)에 卽位하였다.

卽位 初에 膚見은 왕맹을 重用하여 內治를 다지고 改革을 實施하였다. 왕맹은 覆肩衣 寵愛를 등에 업고 法을 嚴하게 適用하고 政治를 바로잡아 前進의 國力을 크게 성장시켰다. 366年 東進 (東晉)의 형주(荊州)를 攻擊하고 이듬해에는 農書(?西)를 征伐하는 等 積極的인 外政에 나서기 始作하였다.

367年 말에 前進의 王族들이 大規模 叛亂을 일으켜 危機에 빠졌으나 膚見은 왕맹을 派遣하여 叛亂을 鎭壓하고 다시 觀衆을 統一하였다. 369年 환온 (桓溫)李 北伐을 일으켜 全然 을 攻擊하자 全然에서 救援軍을 請하였다. 이에 膚見은 왕맹의 進言을 따라 救援軍을 派遣하였다.

北伐軍에 打擊을 받은 前燕이 衰弱해지자 膚見은 겉으로는 友好關係를 維持하면서 戰爭을 準備하였다. 全緣의 王族 慕容垂 가 亡命을 해 오자 이를 받아들였으며 369年 末에 全然을 攻擊하기 始作하였다.

370年에 왕맹이 全然을 멸망시키자 膚見은 왕맹을 四肢節·都督關東陸主題軍事에 임명하여 全然 領土를 다스리게 하였다. 372年 에는 왕맹을 丞相으로 삼아 國政 全般을 管理하게 하였으며 왕맹의 補佐 아래 前進의 國力은 크게 成長하였다.

373年 에는 동진의 洋酒(梁州 : 산시省 南部)와 익주(益州 : 쓰촨省 )를 征服하였으며, 全量과 臺나라 等의 여러 地方 勢力들도 服屬하여 番國이 되었다.

376年 에는 全量과 臺를 멸망시키고 華北을 統一하였다. 東進과는 敵對關係를 維持하는 가운데 高句麗 와는 友好關係를 맺고 372年에는 僧侶 純度 가 와서 佛像과 經文을 傳함으로써 [1] 高句麗 로서는 最初로 佛敎를 傳播하였다.

375年 에는 왕맹이 病死하였다. 378年 , 동진의 襄陽(襄陽)을 攻擊하여 1年 동안의 包圍戰 끝에 占領하였으며, 回收(淮水) 一帶도 侵入하였다.

한便 膚見은 復屬된 勢力에 對해서 대단히 寬大한 政策을 펼쳤는데 이에 따라 長安 (長安) 隣近에는 선비족 强族 을 이주시켜 살도록 했으며 復屬된 勢力의 指導者에게 이들을 이끌게 하였다. 또한 觀衆의 저족을 華北의 여러 곳으로 移駐시켜 支配權을 强化하고자 하였다.

383年 膚見은 天下 統一을 目標로 餘光 에게 西域을 征伐하도록 하는 한便, 周圍의 反對를 물리치고 96萬 名의 大軍을 徵集하여 동진을 攻擊하였다. 覆肩衣 遠征軍은 동진의 國境 全體에 걸쳐서 攻擊해 들어갔으나 膚見이 直接 參與한 匕首(?水) 方面의 電線에서 背反으로 인해 크게 敗北하여 全君이 敗走하였다. ( 淝水大戰 )

膚見은 慕容垂가 이끄는 3萬 名의 兵力의 保護를 받으며 洛陽 (洛陽)에 到着하여 兵力을 收拾하였는데, 慕容垂는 獨立할 생각으로 苻堅을 說得하여 河北으로 向하였다. 膚見이 長安에 到着하였을 때, 觀衆 地域에서는 膚見이 이주시켰던 선비족과 强族들의 指導者인 毛用洪 , 걸복국인 等이 叛亂을 일으키고 있었다.

膚見은 寮長 (姚?)을 派遣하여 毛用紅을 攻擊하게 하였으나 敗北하였으며, 覆肩衣 處罰을 두려워한 寮長도 叛亂을 일으켰다. 河北 地域에서는 慕容垂가 後燕 (後燕)을 建國하고 業(?)의 부비 (?丕)를 攻擊하였으며 各地의 郡縣들은 後緣과 前進의 勢力 사이에서 離合集散하였다.

以後 寮長은 後進 (後秦), 걸복국인은 西進 (西秦), 모用忠 西燕 (西燕), 楊汀 九地 (仇池) 等을 建國하여 華北 各地가 分裂되었다. 河南 地域은 동진이 占領해 나갔다.

膚見은 主로 西燕, 後進 等의 侵入에 맞서 싸웠으며, 385年 에 서연이 長安을 陷落하자 膚見은 西쪽으로 도망치다가 後進의 寮長에게 捕虜로 사로잡혔교 寮長의 선양(禪讓) 要求를 拒絶했다가 結局 殺害당했다.

寮長은 膚見에게 壯烈天王(壯烈天王)이라 諡號를 내렸으며, 부비는 世祖(世祖) 先掃除(宣昭帝)로 追贈하였다.

參考資料 [ 編輯 ]

各州 [ 編輯 ]

  1. 김부식 (1145). 〈 本紀 卷18 소수림왕 〉. 《 三國史記 》. 二年 夏六月 秦王?堅遣使及浮屠順道 送佛像經文  
前任
副生 (?生)
第3代 前震 皇帝
357年 ~ 385年
後任
부비 (?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