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글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보석글
原著者 티메이커 리서치
發表日 1985年
言語 韓國語
種類 워드프로세서
라이선스 常用 소프트웨어

보석글 1985年 大韓民國 삼보 컴퓨터 에서 出市한 IBM PC用 [1] 한글 워드 프로세서 이다. 보석글은 티메이커 리서치(T/Maker Research)라는 會社의 소프트웨어 機能의 一部分을 修正해 한글化한 것으로 完全한 意味의 韓國産 워드프로세서는 아니다. 보석글 出市 當時에는 한글 코드 KSC-5601-87은 2350者의 完成型 한글을 表現할 수 있었으나 保釋글은 1萬 1172者의 組合型 한글 을 出力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글 고어와 論文에 자주 쓰는 單位 等을 表紙하지 못했고 漢字 表現도 一部만 可能해서 한글 코드에 限界點을 비쳤다.

삼보 컴퓨터는 日本 엡손 과 合作해서 프린터 를 販賣하였기 때문에, 보석글과 엡손 프린터를 쓰는 境遇 한글을 出力하기 쉬워서 當時 9핀 EPSON 도트 매트릭스 機種이 프린터 市場을 掌握할 만큼 큰 人氣를 모은 워드프로세서였다. 使用한 커서는 ‘다음 命令은?’(What Next?)이며 初期 보석글 워드 프로세서에서는 삼보에서 만든 한글 入力機가 꼭 있어야 했기 때문에 도깨비 等의 한글 入力機로는 보석글의 한글을 볼 수 없었다.

보석글 II [ 編輯 ]

피터 로젠과 하이디 로젠 (Roizen)이 開發한 "T/Maker"라는 (CP/M과 MS-DOS用) 英文 워드 프로세서를 著作權 使用料를 주고 한글化한 워드프로세서이다. 보석글 II부터는 도움말을 프로그램 使用 中間에 불러 쓸 수 있었다. 도움말 畵面을 보면서 그 中 必要한 命令을 實行하는 英文 워드 프로세서인 〈워드스타型 메뉴 方式〉 [2] 과 短縮키 形式의 〈命令語 方式〉의 使用法이 있었다.

命令語의 예 [ 編輯 ]

  • Alt + F9 - 한글 모드
  • Alt + F10 - 英文 모드
  • Data B: B 드라이브 불러오기
  • G+파일이름: 디스켓의 파일을 버퍼로 複寫
  • 프린트 命令은 (命令語 모드에서??)맨 앞에 마침標(.)를 써서 始作( .new (새 페이지로: FF Form Feed)

各州 [ 編輯 ]

  1. 最小 辭讓 - 4.77-8MHz 8088 XT, 8-12MHz 80286 AT 等
  2. 只今은 이맥스 程度에서나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