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白旗 (晉나라)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白旗 (晉나라)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白旗
명나라 때 그려진 그림
明나라 때 그려진 그림
別名 務安郡
出生地 迷眩(??)
死亡地 杜佑(杜?)
服務 秦나라
服務期間 紀元前 294年 ~ 紀元前 257年
最終階級 上將軍(上??)
主要 參戰 이궐 戰鬪 ,
장평 大田

白旗 ( 中國語 : 白起 , 병음 : Bai Qi 바이치 [ * ] , ? ~ 紀元前 257年 11月)는 中國 戰國 時代 秦나라 (秦)의 將軍이다.

王錢 (王?)과 더불어 戰國時代 秦나라의 代表的인 名將으로 評價받는 人物이다. 陳 소양왕 (昭襄王) 때에 조나라 (趙) · 위나라 (魏) · 한나라 (韓) · 楚나라 (楚) 等의 여러 나라들과 싸워서 많은 勝利를 거두고 秦나라의 領土를 크게 넓혔다. 그러나 末年에는 소양왕과의 葛藤 끝에 失脚당하고 自殺을 강요당하여 죽었다. 《戰國策》에서는 그의 이름을 恭遜機 (公孫起)라고도 하였다. [1] 務安郡 (武安君)의 稱號를 받았다.

司馬遷 (司馬遷)은 白旗는 秦나라 에서 많은 功을 세우며 權力의 人物이 되었고 統一 政策을 示現하며 天下에 名聲을 떨친 名將이라 評했다.

生涯 [ 編輯 ]

出生 [ 編輯 ]

白旗는 美邑(?邑) 出身으로 用兵(用兵)에 能하였다. [2]

그의 出身은 不確實하나, 《新唐書》 宰相世界表에서는 陳 木工 (穆公) 時代에 掌令을 지낸 백乙病(白乙丙)의 後孫이라고 傳한다. [3] 한便 唐나라 (唐) 時代의 詩人 白居易 (白居易)가 지은 《고공현嶺伯夫君社長(故鞏縣令白府君事狀)》에서는 百基의 祖上이 楚나라 (楚)의 公族人 백공 勝 (白公勝)이었으며 이로 인하여 白氏(白氏)가 由來하였다고 하였다. 그에 따르면, 百空 勝이 亂을 일으켰다가 失敗하고 自殺하자 그 아들이 秦나라로 亡命하여 代代로 그곳에서 장수가 되었다고 하였다. [4]

한나라 征伐과 이궐戰鬪 [ 編輯 ]

紀元前 294年 (소양왕 13), 白旗는 座署長(左庶長)에 任命되어 한나라 (韓)의 神聖(新城)을 攻擊했다. [5]

紀元前 293年 (소양왕 14), 白旗는 소양왕의 外三寸인 胃炎 (魏?)의 推薦으로 上水(向壽)를 代身해서 [6] 한나라 (韓)와 위나라 (魏)를 攻擊하여 이궐(伊闕)에서 勝利하였으며, 24萬 名을 잡아 죽이고 魏나라의 將帥 공손희 (公孫喜)를 捕虜로 잡았으며 5個 城을 陷落시켰다. [7] 이 일로 인하여 白旗는 國威(國尉)로 昇進하였으며 以後 黃河를 건너 한나라의 안읍(安邑) 東쪽을 醉해 間下(乾河)에 이르렀다. [2]

이궐戰鬪 當時의 情況은 記錄이 不足하여 仔細히 알 수 없다. 다만 《戰國策》에 따르면, 當時 漢나라와 위나라는 서로 눈치를 보며 먼저 軍士를 내서 힘껏 싸우려 하지 않았다. 白旗는 이와 같은 情況을 살피고는 軍隊를 나누어 거짓으로 漢나라와 싸우는 척 하다가 不時에 위나라 軍隊를 急襲하여 이를 擊破하였다고 한다. 위나라 軍隊가 擊破당하자 漢나라 軍隊 또한 스스로 무너졌고, 白旗는 그 틈을 노려 北쪽으로 달아나는 敵軍들을 밀어붙여 크게 勝利하였다. [8]

또한 《戰國策》에서는 이궐에서 白旗에게 敗北한 위나라 將帥의 이름을 西廡(犀武)라 하였으며, [9] 秦나라 軍隊가 이궐戰鬪 以後에 周나라 (周)까지 攻擊하는 바람에 그 王이 몸소 위나라로 가서 救援을 請해야했다고 傳한다. [10]

위나라 征伐과 怨聲占領 [ 編輯 ]

紀元前 292年 (소양왕 15), 白旗는 大量兆(大良造)에 任命되었으며, 魏나라를 攻擊해 크고 작은 61個 城을 빼앗았다. [2]

紀元前 291年 (소양왕 16), 白旗는 客卿(客卿) 社마調 (司馬錯)와 함께 魏나라의 怨聲(垣城)을 攻擊해 占領하였다. [2]

《詐欺》 백旣往戰列傳에서 描寫된 該當 時期의 百基의 行步는 다른 記錄과는 矛盾되는 點이 存在한다. 《詐欺》 진본기에서는 紀元前 292年 (소양왕 15)에 百기가 魏나라의 원(垣)을 빼앗았다가 다시 이를 돌려주었다고 하였고, [11] 紀元前 289年 (소왕 7)에 秦나라가 위나라를 攻擊하여 61個 城을 빼앗았다고 하였다. [12]

楚나라 征伐과 靈性占領 [ 編輯 ]

紀元前 286年 (소양왕 21), 白旗는 조나라 (趙)를 攻擊하여 大(代)의 桄榔性(光狼城)을 빼앗았다. [5]

紀元前 279年 (소양왕 28), 白旗는 楚나라 (楚)를 攻擊하여 언(?)과 等(鄧)의 5個 城을 빼앗았으며, 罪人들을 赦免시켜 이주시켰다. [5] 《水經注》에 따르면, 百기가 楚나라를 攻擊할 當時에 瑞山(西山)의 장곡(長谷)의 물을 끌어들여 楚나라 言聲의 東北쪽 모서리를 무너뜨렸고, 이로 인하여 數十 만의 百姓들이 水公에 휩쓸려 죽었으며 蓮못이 하나 생겼다고 傳한다. 當時에 性 東쪽이 온통 屍體가 썩는 냄새가 振動했는데, 때문에 그 蓮못을 "趣旨(臭池)"라 부르게 되었다. [13]

紀元前 278年 (소양왕 29), 白旗는 楚나라를 攻擊하여 그 首都인 (?)을 빼앗았으며, 楚나라 王室의 墓域인 伊陵(夷陵)을 불태웠고 마침내 東쪽으로 景陵(竟陵)에 이르렀다. 이에 初 경양王 (頃襄王)은 靈을 버리고 달아나 東쪽의 陳(陳)으로 首都를 옮겼다. 秦나라는 占領한 靈을 남郡(南郡)으로 삼았다. [7] 이듬해인 紀元前 277年 (소양왕 30), 白旗는 務安郡(武安君)의 爵位를 받았다. [7]

《詐欺》 백旣往戰列傳에서는 百기가 楚나라의 靈을 占領한 後에 다시 楚나라를 攻擊하여 무군(巫郡) · 檢中軍(黔中郡)을 攻擊하였다고 하였으나, 《詐欺》 진본기에서는 觸郡守 約(若)李 무군(巫郡)과 江南(江南)을 占領하고 劍中軍(黔中郡)을 設置했다고 하였다. [11]

三振(三晉)과의 戰爭 [ 編輯 ]

紀元前 276年 (소양왕 31), 百기가 위나라를 攻擊하여 2個 城을 빼앗았다. [11]

紀元前 273年 (소양왕 34), 百기가 위나라를 攻擊하여 華陽(華陽)을 빼앗아 그 將帥인 網墓(芒卯)를 달아나게 하였으며, 三振(三晉), 卽 위나라 · 조나라 · 한나라의 將帥들을 捕虜로 잡고 13萬 名의 목을 베었다. 또한 조나라 將帥 假言 (賈偃)과 싸워 그 兵卒 2萬 名을 黃河 에 빠뜨려 죽였다. [14]

紀元前 272年 (소양왕 33), 楚나라의 황헐 (後날의 春申君 )이 陳 소양왕을 찾아가 "두 虎狼이가 다투면 개가 利得을 얻는다."라 比喩를 들며 只今 秦나라와 楚나라가 서로 다툰다면 곧 한나라 · 위나라 · 齊나라 等이 그 틈을 타서 秦나라와 楚나라를 노릴 것이라 說破하였다. 그 말을 받아들인 소양왕은 楚나라와 和親을 맺고 白旗로 하여금 더以上 楚나라를 攻擊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15]

紀元前 264年 (소양왕 43), 白旗가 한나라의 形成 (?城)을 攻擊해 5個 城을 陷落시키고 5萬 名의 목을 베었다. [5]

紀元前 263年 (소양왕 44), 白旗가 한나라의 南陽(南陽) 태행산(太行山)을 攻擊하여 그 길을 끊었다. [5]

조나라 征伐과 長平之戰 [ 編輯 ]

紀元前 262年 (효성왕 4), 秦나라 의 攻擊을 받고 있던 한나라 의 相當(上黨)李 結局 조나라에 投降할 意思를 傳達하였다. 그리고 이듬해인 紀元前 261年 에는 趙나라의 名將인 簾波 (廉頗)가 장평(長平)에 派遣되어 秦나라 軍隊와 對峙하였다. [16] 以後 紀元前 260年 (효성왕 7), 4月에 秦나라 의 王訖(王?)李 相當을 빼앗자 그 人民들이 曹나라로 달아났다. [2]

秦나라 軍隊는 攻勢를 펼쳐서 6月에는 趙나라의 軍營을 陷落시켜서 두 個의 堡壘를 빼앗고 네 名의 敎委를 사로잡았다. 또한 7月에는 秦나라가 趙나라의 堡壘를 攻擊하여 敎委 둘을 사로잡았다. [2] 그러나 조나라 軍隊를 指揮하던 簾波는 흔들리지 않고 싸움을 避하며 堡壘를 쌓고 防禦를 强化하는 等 長期戰으로 對應하였다. [17] 그러자 秦나라 側에서는 "秦나라가 가장 두려워 하는 것은 마복群 調査 (趙奢)의 아들인 趙括 (趙括)李 將帥가 되는 것이다."라는 所聞을 퍼뜨렸다. 이 말을 믿은 兆 효성왕 은 簾波를 罷免하고 趙括을 代身 將帥로 派遣하였다. [18] 한便 秦나라 側에서는 조나라 側의 장수가 趙括로 交替되었다는 消息을 듣고는 몰래 白旗를 보내 上將軍(上將軍)으로 삼았고, 王訖을 그 部長으로 삼았다. 그리고는 群衆에 務安郡이 上將軍이 되었다는 事實을 입 밖에 내는 者는 목을 자르겠다는 命令을 내렸다. [2]

戰場에 到着한 趙括은 곧바로 出兵하여 진나라의 軍隊를 攻擊했다. 그러자 白旗는 騎兵을 풀어서 敗하여 달아나는 척 하였다. 조나라 軍隊는 秦나라 側의 堡壘까지 追擊하였으나 堡壘가 堅固하여 뚫고 들어가지 못했다. 그러자 秦나라 側은 起兵 2萬 5千으로 조나라 軍隊의 退路를 끊었고, 또한 起兵 5千으로 조나라의 堡壘 사이를 끊으니 趙나라의 軍隊는 둘로 나누어지고 食糧 補給路가 끊어졌다. 戰勢가 不利해진 조나라 側은 堡壘를 쌓고 守備하면서 救援兵을 기다렸다. 趙나라의 食糧 補給路가 끊어졌다는 報告를 받은 陳 소양왕 은 몸소 河內까지 와서 百姓들의 爵位를 한 等級씩 올리는 한便 15歲 以上을 모두 徵發하여 장평으로 보내 조나라의 救援兵과 食糧 補給路를 遮斷했다. [2]

結局 9月이 되자 46日 동안 包圍당한 趙나라의 軍士들은 굶주리게 되어 몰래 서로를 죽여서 잡아 먹는 地境에 이르렀다. 이에 秦나라의 堡壘를 攻擊하여 脫出하려고 部隊를 넷으로 나누어 4,5次例 攻擊했지만 脫出하지 못했다. [2] 趙括은 精銳 部隊를 내세워 直接 戰鬪에 나섰으나 진나라의 軍士가 趙括을 활로 쏘아 죽였다. 趙括의 軍隊는 敗하여 結局 秦나라에 降伏하고 말았다. [19] 이 싸움을 長平之戰 理라 한다.

捕虜虐殺 [ 編輯 ]

長平之戰에서 敗하여 白旗에게 降伏한 조나라 軍士는 40萬 名이었다. 白旗는 이 軍士들을 살려두면 後날 亂을 일으킬까 두려워하였다. 때문에 이들을 거짓말로 속여서 구덩이에 파묻어 죽여버렸으며, 나이가 어린 240名만을 남겨서 曹나라로 보냈다. 이로 인하여 長平之戰에서 죽은 조나라 軍士가 45萬 名에 達하였으며, 이에 조나라 사람들이 두려움에 떨었다. [2]

1995年, 中國 山西省 考評視(高平市) 榮祿村(永祿村)에서 長平之戰 當時의 것으로 보이는 遺跡이 發見되었다. 그곳에서 人骨(人骨)李 集團으로 파묻힌 구덩이 10餘 곳이 發見되었고, 各 구덩이마다 20歲~45歲 사이의 男性 130餘 名이 埋藏되어 있었다. 發見된 遺骨 가운데에는 大腿骨에 화살이 깊게 박힌 것, 頭蓋骨이 鈍器 等에 맞아서 陷沒된 것, 斬首된 것, 칼자국이 남아있는 것 等이 確認되었다. [20]

疾病과 失脚 [ 編輯 ]

長平之戰에서 趙나라의 大軍을 모조리 殺傷하고 크게 勝利한 白旗는 오랫동안의 싸움으로 인하여 진나라의 나라살림이 크게 疲弊해졌음에도 不拘하고 조나라를 繼續해서 攻擊해야 한다고 主張하였다. [8]

그리하여 紀元前 259年 (소양왕 48)에는 秦나라가 조나라를 攻擊하여 避雷(皮牢) · 太原(太原) · 相當 等을 빼앗았다. 漢나라와 조나라에서는 두려워하여 小隊(蘇代)에게 厚한 禮物을 주고는 秦나라의 宰相인 범수 (范?)를 說得해 줄 것을 要請하였다. 범수를 만난 小隊는 秦나라가 이대로 조나라를 滅亡시키면 百기가 三空(三公)의 地位에 올라 범수의 立地를 威脅하게 될 것이므로 조나라로부터 땅을 받고 和親하여 百기가 功을 세우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主張하였다. 小隊의 말에 넘어간 범수는 소양왕에게 晉나라 軍隊가 지쳤으니 조나라와 漢나라로부터 땅을 받고 軍隊를 쉬게 할 것을 建議하였다. 소양왕이 이를 받아들이고 正月에 白旗와 軍隊를 불러들였다. 그 事情을 알게 된 白旗는 범수와 사이가 나빠졌다. [2]

한便 百姓들을 休息케하고 軍隊를 整備한 소양왕은 다시 조나라를 攻擊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務安郡 白旗는 이를 反對하였다. 소양왕이 以前에 長平之戰의 餘波로 나라가 疲弊해졌을 때에는 戰爭을 主張하더니 왜 只今은 反對하는지에 對해 묻자, 白旗는 長平之戰 以後로 큰 苦難에 處한 조나라 君臣과 百姓들의 團合力이 훨씬 剛해졌고, 燕나라 · 위나라 · 제나라 · 楚나라 等도 趙나라를 도울 것이므로 이런 때에 조나라를 치는 것은 어렵다고 答하였다. [8]

그해 9月에 秦나라가 다시 誤代父(五大夫) 王陵(王陵)으로 하여금 조나라의 首都인 한단(邯鄲)을 攻擊하도록 하였다. [5] 이때에 白旗는 病을 앓고 있어서 從軍하지 못하였다. [2]

이듬해인 紀元前 258年 (소양왕 49) 正月까지도 王陵이 邯鄲을 빼앗지 못하자 秦나라에서 軍士를 增員하여 王陵을 도왔다. [5] 그러나 王陵은 敎委 5名을 잃었을 뿐 이기지 못했다. 이 때에 百基의 病이 낫자 소양왕이 王陵 代身에 白旗를 將帥로 삼고자 하였다. 그러자 白旗는 오랜 戰爭으로 秦나라 또한 被害가 莫甚할뿐더러, 只今 조나라와 다른 諸侯들이 안팎에서 呼應하여 攻擊해온다면 秦나라 軍隊는 반드시 敗할 것이라 主張하며 攻擊을 反對하였다. 소양왕은 白旗가 말을 듣지 않자 범수를 보내 出戰을 付託하였으나 白旗는 病을 핑계로 가지 않았다. [2]

當時에 범수가 白旗를 叱責하면서 過去에 그가 이궐 · 言英 · 장평에서 敵軍을 擊破한 일을 擧論하며 以前의 戰績이 神과 같은데 조나라를 이기지 못하겠느냐고 말했다. 그러자 白旗는 自身이 過去에 거둔 勝利는 神과 같은 超自然的인 힘을 빌은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常識에 따라 勝利의 機會를 놓치지 않은 탓이라 反駁하였으며, 長平之戰 直後에 조나라를 滅하지 못했다가 도리어 그들의 團合力을 더욱 튼튼하게 하고 다른 諸侯國들이 趙나라를 도울 時間을 벌어준 것이야말로 그런 勝利의 機會를 놓친 것이라 主張하여 범수를 부끄럽게 하였다. [8]

結局 진나라는 王陵 代身에 王訖(王?)을 將帥로 삼아 8~9個月에 걸쳐 邯鄲을 攻擊하도록 하였으나 如前히 이기지 못하였다. 그 동안에 楚나라의 春申君 (春申君)과 魏나라의 信陵君 (信陵君) 等이 數十 萬 兵力을 이끌고 秦나라의 軍隊를 攻擊하자 秦나라의 軍隊는 큰 被害를 입게 되었다. 이에 白旗가 "秦나라 王께서 神의 計策을 듣지 않으시다가 只今 어찌 되었는가?"라 말했다. 소양왕이 이 말을 傳해 듣고는 火가 나서 白旗를 直接 찾아가 强制로 將帥로 삼아 戰場으로 보내려 하였으나 務安郡은 "저는 차라리 무거운 罪를 짓고 죽임을당할지언정 치욕스런 敗將이 되는 일은 차마 하지 못하겠습니다."라 말하며 끝까지 病을 핑계로 가지 않았다. [21] 以後 범수가 또다시 白旗에게 出戰할 것을 請하였으나 이때에도 白旗는 가지 않았다. [2]

結局 소양왕은 白旗를 罷免하여 四五(士伍, 兵卒)로 降等시키고는 陰密(陰密)로 流配보냈으나 이 때에 白旗는 病이 들어서 가지 못했다. [2]

죽음과 死後 [ 編輯 ]

紀元前 257年 (소양왕 50) 10月, 소양왕이 白旗를 재촉하자, 結局 白旗는 秦나라 首都인 咸陽(咸陽)을 떠나 序文(西門) 10里 밖의 두우(杜郵)에 이르렀다. 이때 "百기가 流配를 가면서도 오히려 怨望을 품고 服從치 아니하며 不遜한 말을 한다"는 말을 들은 소양왕은 11月에 白旗에게 劍을 보내 自決할 것을 命하였다. [2]

白旗는 劍을 받아들고 스스로 목을 베려다가 "내가 하늘에 무슨 罪를 지었기에 이 地境에 이르렀는가?"라 하였다. 白旗는 한참을 생각하다가, "나는 죽어 마땅하다. 장평 싸움 때에 조나라 兵卒로서 降伏한 者들 數十 萬名을 내가 속여서 구덩이에 파묻어 죽여버렸으니, 이것만으로도 죽을만하다."라 하고는 自殺하였다. 白旗가 罪없이 죽었기에 진나라 사람들이 그를 불쌍히 여기며 그 故鄕에서 祭祀를 지내주었다. [2]

百基의 部長으로서 장평에서 함께 曹나라 軍隊과 싸웠던 社마근(司馬?) 또한 白旗와 마찬가지로 斗牛에서 죽임을 當하였고, 以後 畫紙(華池)에 埋葬되었다. 그의 後孫이 바로 後날에 《 詐欺 》를 編纂한 司馬遷 이었다. [22]

評價 [ 編輯 ]

  • 傳한 時代의 歷史가 司馬遷 은 《詐欺》에서 진나라의 代表的인 名匠들인 白旗 · 王錢 等의 熱戰을 함께 묶어서 構成하였다. 이들의 列傳은 《詐欺》 卷73 백旣往戰熱戰에 收錄되었다. 여기서 司馬遷은 "白旗는 敵을 잘 헤아려 變化에 맞추어 無窮하고 奇拔한 計策을 내었으니 그 名聲이 天下를 떨게 했다. 그러나 응後의 근심으로부터 自身을 求하지는 못했다."라 하였다. 또한 이 點을 꼬집여서 王戰과 마찬가지로 "그들에게는 各自 短點이 있었다."라 評하였다.
  • 《詐欺》 卷73 백旣往戰列傳에서 小隊는 百기가 쌓은 功績에 對하여 "務安郡(武安君, 白旗)李 秦나라를 위해 싸워서 이기고 70餘 個의 城을 攻擊해 빼앗았는데, 南쪽으로 언(?)ㆍ영(?)ㆍ한중(漢中)을 平定하였고, 北쪽으로는 趙括(趙括)의 軍隊를 모두 사로잡았으니, 비록 住公(周公)ㆍ小功(召公)ㆍ太公望(太公望)의 公的이라도 이보다는 못할 것이다."라 말하였다.
  • 《詐欺》 卷4 奏本器에서는 燒戾 (蘇?)가 西周 의 王에게 "秦나라가 한나라 · 위나라를 擊破하여 事務(師武)를 패배시키고, 北쪽으로 조나라의 人(藺)과 李錫(離石)을 빼앗은 것은 모두가 百基의 功입니다. 그는 傭兵(用兵)에도 能할뿐더러 또한 千名(天命)까지 지녔습니다."라 말하였다.
  • 南朝 時代의 文人 주흥사는 《千字文》에서 "基傳播목(起?頗牧) 庸君최정(用軍最精)"이라 하였는데, 이는 곧 戰國時代에 白旗 · 王錢 · 簾波 · 이목 等이 軍士를 가장 잘 부렸다는 뜻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

各州 [ 編輯 ]

  1. 《戰國策》 卷18 詔冊1 〈辰王위孔子打〉 ; 《戰國策》 卷20 詔冊3 〈平原郡淸風機〉
  2. 《詐欺》 卷73 백旣往戰列傳
  3. 《新唐書》 卷75下 宰相世界表5下
  4. 《全唐文》 卷680 〈고공현嶺伯夫君社長〉
  5. 《詐欺》 卷5 진본기, 《詐欺》 卷73 백旣往戰列傳
  6. 《詐欺》 卷72 양후열展
  7. 《詐欺》 卷5 진본기 ; 《詐欺》 卷73 백旣往戰列傳 ; 《詐欺》 卷15 六國年表
  8. 《戰國策》 卷33 重散策 〈소왕기식民選病〉
  9. 《戰國策》 卷2 鉏주책 〈燒戾爲主軍〉
  10. 《戰國策》 卷2 鉏주책 〈庶務牌語이궐〉
  11. 《詐欺》 卷5 진본기
  12. 《詐欺》 卷44 威勢가
  13. 《水經注》 卷28
  14. 《詐欺》 卷73 백旣往戰列傳 ; 《詐欺》 卷15 六國年表
  15. 《詐欺》 卷78 春申君列傳 ; 《詐欺》 卷40 超世가
  16. 《詐欺》 卷15 六國年表 (《詐欺》 卷43 租稅가, 《詐欺》 卷81 簾波인상여列傳 等에서는 簾波가 長平에 派遣된 時期를 紀元前 260年이라 하였다.)
  17. 《詐欺》 卷73 백旣往戰列傳, 《詐欺》 卷81 簾波인상여列傳
  18. 《詐欺》 卷73 백旣往戰列傳 ; 《詐欺》 卷81 簾波인상여列傳
  19. 《詐欺》 卷81 簾波인상여列傳 ; 《詐欺》 卷15 六國年表
  20. 山西省考古?究所, 〈長平之戰遺址永祿1號屍骨坑發掘簡報〉, 《文物》, 1996
  21. 《戰國策》 卷33 重散策 〈소왕기식民選病〉 ; 《詐欺》 卷73 백旣往戰列傳
  22. 《詐欺》 卷130 太子公子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