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바깥엉덩靜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바깥엉덩靜脈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바깥엉덩靜脈
와 下肢의 靜脈 - 아래大靜脈 , 온엉덩靜脈 , 바깥엉덩靜脈, 넙다리靜脈 과 그 支流. 大動脈 은 빨간色으로 그려져 있다.
배에서 본 오른쪽 넙다리館구멍 샅窟구멍 의 位置. 바깥엉덩靜脈은 中間에 보이는 큰 靜脈이다.
情報
起源 넙다리靜脈
到着 救助 온엉덩靜脈
動脈 바깥엉덩動脈
識別子
라틴語 vena iliaca externa
英語 external iliac vein
TA98 A12.3.10.024
TA2 5050
FMA 18883

바깥엉덩靜脈 (external iliac vein) 또는 外腸骨靜脈 (外腸骨靜脈)은 넙다리靜脈 온엉덩靜脈 으로 連結하는 큰 靜脈 이다. 始作 地點은 高샅靭帶 아래쪽 警戒이며 속엉덩靜脈 과 만나 온엉덩靜脈을 形成하며 끝난다.

兩쪽 바깥엉덩靜脈은 같은 쪽 바깥엉덩動脈 과 함께 走行한다.

救助 [ 編輯 ]

바깥엉덩靜脈은 넙다리靜脈 이 連續된 靜脈으로 [1] 高샅靭帶 높이에서 始作된다. [2] 이때 작은骨盤 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깥엉덩動脈과 함께 走行한다. 그 後 엉치엉덩關節 의 앞쪽에서 속엉덩靜脈과 합쳐져 온엉덩靜脈을 形成한다. [3]

왼쪽 바깥엉덩靜脈은 全體 走行 經路에서 바깥엉덩動脈의 안쪽에 놓여 있다. 오른쪽 바깥엉덩靜脈은 처음에는 動脈의 안쪽에 位置하지만 위로 올라가면서 動脈의 뒤쪽에서 走行하게 된다. [2]

輸尿管 속엉덩動脈 은 모두 中央을 向하기 때문에 바깥엉덩靜脈을 가로지른다. 또한 男性에서는 輸精管 이, 女性에서는 子宮圓靭帶 , 難小動脈 이 바깥엉덩靜脈을 가로지른다. 큰허리筋 은 動脈이 사이에 놓이는 部分을 除外하면 바깥엉덩靜脈의 側面에 놓여 있다. [4]

바깥엉덩靜脈은 하나의 瓣膜 을 가지기도 하지만 種種 瓣膜이 없는 境遇도 있다. [2]

바깥엉덩靜脈의 主된 支流에는 아래배壁靜脈 , 깊은엉덩휘돌이정맥 , 두덩靜脈(pubic vein)이 있다. [4]

臨床的 重要性과 歷史 [ 編輯 ]

1967年, 코케(Cockett)는 바깥엉덩靜脈이 눌리기 쉬운 解剖學的 變異 에 對해 記錄했다. 메이-터너 症候群 보다 덜 흔하기는 하지만, 現代의 映像 撮影 技法들에 依해 이 變異는 꾸준히 報告되어 왔다. 오른쪽 온엉덩動脈이나 왼쪽 속엉덩動脈은 바깥엉덩靜脈을 가로질러 骨盤 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이 動脈들에 依해 왼쪽 바깥엉덩靜脈이 눌릴 수 있다. 이렇게 靜脈이 壓迫되면 審不整脈血栓症 이 發生하는 데에 寄與할 수 있다. [5]

바깥엉덩靜脈이 제대로 發生하지 못했거나 無發生 한 境遇가 클리펠-트레노우네이 症候群 과 關聯하여 說明되어 왔다. [4]

追加 이미지 [ 編輯 ]

各州 [ 編輯 ]

  1. Sinnatamby, Chummy S. (2011). 〈5〉. 《Last's Anatomy: Regional and Applied》 12板. Great Britain: Churchill Livingstone Elsevier. 309쪽. ISBN   978-0-7020-4839-5 . 2018年 3月 16日에 確認함 .  
  2. Mozes, Geza; Gloviczki, Peter (2014). John J. Bergan & Nisha Bunke-Paquette, 編輯. 《The Vein Book》 2板.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1쪽. ISBN   978-0-19-539963-9 .  
  3. Netter, Frank H. (2017). James C Reynolds, 編輯. 《The Netter Collection of Medical Illustrations: Digestive System: Part I - The Upper Digestive Tract》 9 2板. Philadelphia: Elsevier. 35쪽. ISBN   978-0-323-38936-5 .  
  4. Delancey, John O.L. (2016). 〈73, True pelvis, pelvic floor and perineum〉 . Standring, Susan.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41板. Elsevier. 1221?1236쪽. ISBN   978-0-7020-6851-5 .  
  5. DeRubertis, Brian; Patel, Rhasheet (2017). 〈35, May-Thurner Syndrome: Diagnosis and Management〉. Cassius Iyad Ochoa Chaar. 《Current Management of Venous Diseases》 .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464?465쪽. ISBN   978-3-319-65226-9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