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妙作圖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妙作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妙作圖 (猫雀圖)는 17世紀 後半 朝鮮時代(1392~1910) 변상벽 이 그린 고목 위에 고양이 두 마리와 참새를 그린 韓國畫 이다. 代表的인 動物畫로 꼽히며, 水墨畫 위에 엷은 彩色을 입혀 緋緞에 그린 그림이다. 妙作圖는 높이 93.7cm, 너비 42.9cm이다. 이는 大韓民國 서울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所藏品의 一部이다.

說明 [ 編輯 ]

변상벽은 고양이와 닭을 能熟하게 그린 것으로 有名하여 平生 동안 '變고양이', '便닭'이라는 別名으로 불렸다. 妙作圖는 卞氏가 고양이를 좋아하고 고양이 그림에 專念했다는 記錄을 뒷받침한다.

고양이와 참새는 吉祥的인 意味를 지닌 다른 單語와 發音이 비슷해 장수의 기쁨을 기리기 위해 그리는 韓國畫의 素材가 되기도 했다. 漢字語의 墓(猫; 고양이)와 作(雀, 참새)의 發音이나 漢字語는 各各 80歲나 90歲를 뜻하는 某(?; 老人)와 作(鵲)과 連結되어 있다. 이는 까치가 韓國社會에서 상서로운 새로 여겨졌음을 의미한다.

이 그림에는 고양이와 참새가 單純하면서도 力動的인 構圖로 事實的으로 描寫되어 있다. 나뭇가지 위에서 지저귀는 참새 떼의 描寫는 매우 細密한 붓놀림으로 精密하게 그려져 있다. 두 고양이의 生動感 넘치는 表情과 움직임에서도 便 作家의 熟鍊된 드로잉 테크닉이 돋보인다. 고목 옆에 달라붙어 있는 고양이 한 마리가 땅 위의 對角線 構圖에서 마치 疏通하듯 視線을 주고받고 있다. 反面, 古木의 몸통은 多少 거친 붓놀림으로 그려져 있어 오랜 時間 동안 形成된 貧弱한 質感과 일그러진 形態를 表現하고 있다. 動物과 나무를 適用한 方式의 뚜렷한 對比는 그림에 剛한 움직임을 준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