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모래놀이治療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모래놀이治療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모래놀이治療 (SANDPLAY THERAPY)는 Jung의 分析心理學 理論에 基盤을 두고 Dora Kalff에 依해 發展된 정신의 자연스런 治癒能力을 促進하는 非言語的 治療方法이다. 治療者들이 提供하는 “자유롭고 保護받는” 空間에서 兒童이나 成人이 모래, 물, 모래箱子에 미니어처 피겨를 利用하여 그들의 內面에 있는 想像的 世上을 具體的으로 表現하는 創造的인 過程이다. 그래서 모래놀이治療는 來談者 內面의 象徵的인 世上을 비춰내고 安全한 모래箱子 속에서 내면 世上을 表現하게 해준다. 이러한 모래놀이治療 經驗은 外向的이고, 外的인 것 中心의 日常 世界에 均衡을 提供한다.더 나아가서는 보다 開放的이고, 均衡 잡힌 統合的 삶의 方式으로 이끌어준다(Mitchell & Friedman, 2011). ( 장미경 外 , 2011)

歷史 [ 編輯 ]

모래놀이治療는 우연한 契機를 통해 얻어진 靈感에 依해 誕生하였다. 『The Time Machine』(1895)과 『War of the Worlds』(1898)의 著者인 H. G. 웰스(Wells)는 그의 어린 두 아들과 놀이를 하는 途中 子女들이 居室 바닥에 오늘날의 모래놀이 場面 같은 場面을 만들고 이야기를 創造해 나가는 것을 흥미롭게 보게 되었다. 그 經驗을 『Floor Games』 (2004)라는 冊으로 出版하였다. 바로 그의 이러한 經驗이 모래놀이治療의 誕生에 靈感을 주었다(Mitchell & Friedman, 1994). 그 以後 英國의 精神分析家이자 兒童心理治療者인 마가렛 로웬펠드( Margaret Lowenfeld , 1935/1991)가 兒童을 위한 心理治療 方法으로 놀이治療 의 한 形態인 모래놀이를 使用하기 始作했다. 처음에 로웬펠드는 놀이의 透射的 機能에 모래놀이의 觸感을 追加해 自身의 治療를 始作하였다. 모래에 물을 붓고 피겨를 놓게 하여 始作한 것이 바로 모래놀이 治療의 胎動에 影響을 준 作業이다. 더 正確히 말하자면, 웰스가 自身의 子女들과 놀이하는 過程에서 子女들이 居室 바닥에 놀잇감들을 配列하는 어떤 基準이 있으며 場面과 關聯된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는 것을 發見한 것에 靈感을 얻어 이것을 兒童心理治療에 應用한 것이 初期 形態의 모래를 使用한 接近이라고 할 수 있다( 장미경 , 2017).

오늘날의 모래놀이治療를 탄생시킨 사람은 도라 칼프 Archived 2021年 10月 23日 - 웨이백 머신 (Dora Kalff)이다. 스위스에서 分析心理學 을 工夫한 도라 칼프는 융의 勸誘로 런던에 가서 로웬펠드에게 工夫한 後 융理論에 기초한 모래놀이治療를 發展시켰다. 그女는 이미지 만들기 作業이 하나의 治療方法이 될 수 있다는 융의 信念을 받아들이고 로웬펠드의 世界技法을 椄木시켜 새로운 장르의 兒童心理治療技法을 발전시켰다. 융은 創造的 行爲에 對한 프로이트(Freud)의 解釋을 擴張하여 創造行爲者와 創造行爲自家 創造한 이미지 사이의 關係性을 심화시켰다. ‘積極的 상상(active imagination)’이라 융은 提示하였다. 人間의 內面에는 미처 認識하지 못한 感情과 觀念으로 充滿해 있으며, 판타지가 자유롭게 흐르는 것을 觀察하고 나면 미처 認識하지 못했던, 감추어진 無意識的 內容들이 의식될 수 있다고 보는 觀點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모래놀이治療에 對한 칼프의 觀點은 이러한 융의 槪念들을 前提로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칼프가 分析心理學과 因緣을 맺게 된 契機는 C. G. 융의 딸인 그렛 바우만(Gret Baumann)과 運命的인 만남을 갖게 된 것에 있다. 그女의 勸誘로 칼프는 스위스의 융硏究所(C. G. Jung Institute)에서 융分析가 課程을 工夫하였다. 그女는 그 過程에서 分析心理學을 工夫하였을 뿐 아니라 융의 婦人인 엠마 융(Emma Jung)에게 敎育分析을 받았다. 또한 칼프는 그 當時 스위스에서 唯一하게 兒童心理治療를 한다는 것 때문에 융의 關心을 받게 되었다. 융은 그女의 親舊이자 助言者가 되었다. 로웬펠드의 世界技法과 區分하여 그女의 接近을 모래놀이治療라 부른다. 칼프의 모래놀이治療의 創始로 인해 兒童心理治療에서 兒童 精神의 原形的 要素, 精神 內的 要素 그리고 兒童의 日常生活 環境을 治療에 椄木할 수 있게 되었다.

칼프는 스위스 취리히에 있는 C. G. 융硏究所에서 융學派 分析心理學을 工夫하고, 이스라엘의 텔아비브에서 分析活動을 했던 著名한 융分析家이자 發達理論家인 에리히 노이만 (Erich Neumann)에게 깊은 影響을 받았다. 칼프는 노이만이 構成한 人間 精神의 發達段階를 自身이 모래놀이治療에서 發展한 것과 統合했다.

노이만(1973)의 發達段階 [ 編輯 ]

生涯 첫해에 人格의 全體性(卽, 自己의 經驗)은 어머니의 自己(Self)에 담겨 있다. 이 段階는 노이만의 ‘某-자 單一體(mother-child unity)’의 段階이다. 첫해가 지나면 正常的인 幼兒는 어머니로부터 自己를 分離시키기 始作한다. 萬 2~3歲 무렵에 自己(Self)가 幼兒의 無意識 內에서 鞏固化되기 始作한다. 이는 兒童이 더욱 獨立的일 수 있게 하고 어머니와의 個人的 關係를 더욱 經驗하게 한다. 어머니와의 分離 및 自己(Self)의 鞏固化 段階인 이 時期에 兒童의 그림에서 全體性(圓과 四角形)의 象徵이 나타나는 것도 그러한 理由이다. 이 神祕로운 圓과 四角形의 象徵들은 人間의 타고난 潛在力의 에너지로 充滿한 原初的 이미지들이다. 그것들이 表現되면 自己의 活性에 影響을 미친다. 이러한 自己 象徵들이 發現되면 이 象徵들의 神祕한 內容들이 情緖的으로 느껴진다. 이는 健康한 自我發達을 위한 必須 前提條件이 되는 經驗이다. 치료자가 知的 ? 靈的 側面을 包含한 全體 人格의 發達 可能性을 담아 주는 '자유롭고 保護的인 空間을 만들 수 있다면 모래놀이治療에서 來談者의 自己(Self)가 配列되고 發現될 수 있다(Kalff, 1966; Mitchell & Friedman, 1994).

來談者가 모래場面을 創造해 갈 때 治療者는 出現하는 象徵들의 配置를 目擊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來談者와 治療者 사이의 連結은 治療者가 象徵들의 意味에 調律할 수 있을 때 某-자 單一體를 再形成하고 治癒力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治癒力은 治療者가 모래場面과 來談者에게서 洞察한 것을 言語로 表現하지 않을 때조차 생겨날 수 있다. 어떤 時點에서 “來談者의 實際 삶과 連結된다. 卽 쉽게 理解될 수 있는 方式으로 來談者에게 解釋된다. 이것은 來談者의 內的 問題와 外的 問題가 一致하는 때와 時點이 언제인지 알게 한다. 이러한 發見은 그 自體로 다음 發達段階로 이어지게 한다.”(Kalff, 1966; Mitchell & Friedman, 1994)

要素 [ 編輯 ]

 모래놀이治療는 몇 가지의 要素로 이루어져 있다. 于先, ‘모래놀이治療’라는 말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래놀이라는 要素가 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모래놀이子(來談者)의 모래놀이를 함께하는 모래놀이治療者도 있다. 또한 모래, 모래箱子, , 피겨, 來談者와 治療者의 身體的 實存과 같은 物理的인 것들 그리고 意識에 影響을 미치는 無意識과 無意識의 作用을 알고자 하는 意識이 있다. 意識과 無意識 사이의 相互作用이 이루어질 수 있는 手段은 沈默의 傾聽과 想像을 통해서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重要한 것은 모래놀이者와 모래놀이治療者 사이의 關係 要素이다.

[ 編輯 ]

손은 때로 祕密을 드러내며 말보다 더 分明히 말한다. 손은 또한 傷處를 克服하거나 治癒하는 데 必要한 에너지를 뚫어 疏通하게 만든다. 認知的으로 알지 못하는 것을 손을 통해 알게 된다. 융(Jung, 1984/2002)은 “至誠이 헛되이 풀지 못한 神祕를 우리의 손이 解決한다.”라고 하였다. 그런 意味에서 來談者의 손이나 몸에 傾聽한다는 것은 單純히 聽覺的으로 소리를 知覺하는 經驗이 아니라 來談者 안에서 發生하는 複雜한 過程에 傾聽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傾聽이라는 것은 意識의 影響을 暫時 保留한 채 注意를 動搖케 하여 無意識의 記憶을 開放하는 것이다. 卽 內的 情緖: 感情, 이미지의 形態로 逆轉이가 出現하도록 促進하는 精神的 공(void) 狀態를 活性化하는 것이다. 그것은 몸의 姿勢, 몸의 움직임과 제스처를 통해 來談者의 非言語的 意思疏通을 受容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보고, 言語에 聽覺的으로 傾聽하고, 눈, 귀, 皮膚, 僞裝, 心臟 그리고 머리를 包含한 治療者의 全 存在로 來談者 全 存在에 傾聽하는 것이다. 이것은 生涯 初期 어머니와 嬰兒 사이의 意思疏通 매우 類似하다. 이것을 身體 部位에 比喩하여 說明하면, 僞裝(배)으로 傾聽하기 共感에 相應하는 것이며, 心臟으로 傾聽하기는 逆轉이에 相應하는 것이고, 머리 傾聽하기는 解釋에 相應하는 것이다. 손은 우리의 優勢한 感覺이 놓치는 것을 無意識的으로 그리고 肉的으로 感覺한다. 우리의 살(flesh), 卽 身體인 우리의 自然이 그것을 知覺하는 것이다. 또한 異性이 記憶하지 못하는 것을 우리의 身體가 記憶하는 것이다. 身體가 記憶하는 것이 想像이라는 方式을 통해 이미지 象徵으로 創造되고 우리의 意識은 그 象徵의 意味를 理解하고자 努力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努力이라는 것은 意識 中心의 表現일 뿐, 事實은 理解하게 되는 것도 無意識, 卽 神의 자비에 依해서이다.

이런 現象은 모래놀이治療 세션에서 每日 經驗되는 것이다. 來談者가 어떤 피겨를 選擇할지, 어떤 場面을 만들지 理性的으로 알지 못하면서도 손에 이끌리어, 感情에 이끌리어 피겨에게 選擇받고 想像에 依해 모래場面을 만들고 나서야 그것이 어떤 意味인지를 異性이 理解하게 되는 經驗이다. 그런 意味에서 손은 우리를 다른 世界와 連結하는, 卽 우리의 無意識 世界와 六賊 ? 物質的 世界를 連結하는 手段이 된다.

治療的 沈默 [ 編輯 ]

조용한(침묵의) 傾聽/조용한 緊張/공(void)의 狀態(不確實하고 알 수 없고 理解할 수 없고 一貫性 없음으로 인해 發生하는 不安을 治療者가 忍耐해야 한다. 治療 세션 中에 治療者는 ‘性急하게 解釋하려는 態度’를 自制해야 함을 의미한다. 來談者가 손으로 모래箱子에 만든 世界에 對해 解釋하기에 앞서 그리고 來談者로부터 言語的인 說明을 듣기에 앞서 來談者의 손이 表現한 것을 治療者가 온몸과 마음으로 傾聽해야 한다. 모래놀이治療에서 沈默은 正當한 次元을 갖고있는 疏通의 方法이다. 그 沈默은 神聖한 것이고 담아주는 것이며 完全히 알려지지 않은 神祕한 것이다. 모래놀이治療 場面에서 이 沈默은 頂點(still-point) 經驗 詩에도 經驗될 수 있다. 頂點의 經驗은 時空間을 超越한 經驗, 言語로 說明하기 어려운 經驗이다. 沈默만이 存在하는 瞬間 더 큰 存在에 對한 認識을 가져오는 驚異, 놀람, 充滿感, 葛藤, 슬픔, 苦惱, 苦痛을 治癒하는 解放과 超越의 瞬間이다. 이것은 只今까지 익숙했던 것, 便한 것, 옳은 것이라 여겼던 世界에서 다른 世界를 만나는 瞬間이며, 閾値의 瞬間으로 意味의 時間이 된다. 意味의 時間은 時間의 흐름(linear moment)李 아닌 카이로스的 時間 (kairos time)으로 永遠히 삶에 持續된다. 治療者는 來談者에게 沈默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그것은 모든 것을 담아 주고 來談者가 스스로의 過程을 創造해 나갈 수 있도록 治療者의 컨테이너이기도 하면서 來談者 自身의 컨테이너이기도 하다. 時間을 줄 때 創造를 위한 暗黑의 沈默 속에서 무엇인가가 徐徐히 나타나기 始作한다. 鍊金術的으로 말하자면, 治療者와 來談者가 鍊金術의 鎔鑛爐에서 먼저 하나로 녹아들고 그다음 徐徐히 分化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治療者가 따라야 할 것은 아마도 治療者 自身의 直觀이다. 勿論 直觀과 治療者 自身의 順順한 逆轉이를 區分하는 조심스러움이 있어야 하지만, 基本的으로 重要한 것은 來談者, 治療者 自身 그리고 治療過程에 對한 믿음이다.

想像 [ 編輯 ]

모래놀이治療는 우리의 精神世界를 多重感覺的인 方式으로 建築하는 心理治療 接近이다. 이는 想像이미지를 使用하기 때문이다. 想像은 이루어지는 것이다. 융은 럴랜드(Ruland)를 引用하여 “想像은 人間 內面의 별이거나, 天上을 超越한 몸이다.” 그리고 “상상인 幻想過程은 實體가 없는 허깨비가 아니라 어떤 身體的인 것, 折半은 精神的인 ‘微妙한 몸體’로 생각해야 한다고 言及하였다(Jung, 1985/2004,pp. 78-79). 왜냐하면 無意識이 活性化되어야 想像이 생기기 때문이다. 活性化된 無意識은 반드시 物質的인 것에 透寫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想像은 生命이 있는 肉體的인 힘과 同時 審混積인 힘에서 나온 津한 抽出物이다(p, 47). 人間 想像의 産物 中 하나인 神話에 對해 융은 “나는 이제 神話가 무엇인지 깨달았으며, 그 以上을 알게 되었다. 人間은 創造의 完成에 반드시 必要한 存在이며, 神과 함께 世上의 第2 創造者이다.” 라고 하였다 (Jaffe, 2003, p. 293 ). 想像은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이미지는 瞬間의 形相學이다. 이미지는 宇宙에 對한 비전을 그리고 마음, 人間, 事物의 祕密을 傳達한다. 이미지는 일깨워지며, 情緖的이고, 意味 있는 感覺의 經驗이다. 이미지는 單純히 事物에 對한 것이 아니라 事物의 實在를 나타내는 方式이다. 이미지는 서로 聯關性 없어 보이는 材料로 意味를 만들고 强力한 情緖를 만들어 낸다. 想像은 손을 통해 集團精神의 이미지를 物質世界에 肉化, 卽 具體化한다. 그런 點에서 人間의 삶은 神의 創造 作業에 參與하기 위해, 卽 神의 創造를 具體化(肉化)하기 위해 存在하는 것이다. 神이 創造者이기 때문에 神의 形象대로 만들어진 人間이 創造 作業에 參與하는 것은 當然한 것이다. 그런 意味에서 융은 可視的 形象을 통해 분명하지 않은 無意識的 內容을 분명하게 볼 수 있는 모습으로 만들어야 할 必要性이 생기며, 손으로 하는 創造 作業을 통해서 그렇게 될 수 있다고 하였다(Jung, 1984/2002, p. 361).

놀이와 創造的 表現 [ 編輯 ]

융은 自身의 內的인 個人的 삶과 外的인 職業的 삶에서 놀이의 重要性 을 認識하고 精神을 維持하기 위해 취리히湖水가에서 모래놀이를 했다. 릴랜드 톨로프(Leland Roloff, 2014)는 놀이精神 그리고 놀이가 만들어 내는 마음의 가벼움을 융의 『레드北(The Red Book )』(Jung, 2009a)의 ‘深層의 精神(spirit the depths)’을 引用하여 다음과 같이 說明하였다. “全體 삶은 웃음과 敬拜에서 決定된다.”(Jung, 2009b, p. 122). 웃음과 놀이가 만들어 내는 가벼움은 變化 經驗에 마음을 開放하는 열쇠이다. 놀이를 통해 모래놀이治療者는 來談者가 創造한 것을 共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無意識의 本質에 對해 그가 알고 있는 것과 너무 빠르게 推論하는 陷穽 사이에서 均衡을 찾을 수 있다고 하였다. 놀이는 모래놀이治療者들이 이미지 속으로 들어가 느끼게 되고, 來談者의 狀況이나 마음을 느끼기 때문에 尊重과 共感이 豐盛하게 나타난다. 놀이는 思考 機能만으로 過程을 探究했던 것이 나머지 세 機能의 렌즈를 통해 걸러지기 때문에 象徵的 過程이 破壞되지 않는다. 또한, 놀라운 洞察力과 反對되는 狀況을 보게 된다.

융은 “ 象徵 이 나를 變化 시킨다.”(Jung, 2009b, p. 190)라는 것과 熟考(contemplation)를 통해 그것에 가라앉을(sink into)’ 수 있을 때 象徵이 變化한다는 것을 發見했다. 그것은 융이 靈魂의 案內라고 부른 象徵的 方式이다(Jung, 2009b, p. 62). 古代로부터 많은 思想家와 學者는 人間이 하는 놀이 에 關해 言及해 왔다. 쉴러(Schiller)는 人間은 놀이할 때만 完全한 人間이라고 하였다. 絨에 依하면 想像力의 創造的 活動은 ‘아무것도 아닌 것에 不過한 存在’라는 매임으로부터 人間을 자유롭게 해 주며, 人間을 놀이하는 狀態로 상승시켜 준다(Jung, 1954/1993f, p. 46). 하나의 人間으로서 兒童뿐 아니라 成人조차 創造的 存在가 될 수 있는 것 그리고 全人格을 利用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오직 놀이할 때뿐이다. 그리고 人間이 自己(self)를 發見하게 되는 것은 놀이할 때와 같이 오직 創造的일 때뿐이다(Winnicott, 1971). 놀이는 冥想, 祈禱, 藝術, 춤, 사랑처럼 自我中心的인 意識性을 버리고 內面의 神聖한 創造性을 만나게 하며, 깊은 無意識의 本質을 만나게 함으로써 自我意識性의 葛藤이 治癒받게 하고 더욱 創造的인 方向으로 삶을 살아가게 하는 것이다. 神이 許諾한 治癒와 삶의 方法이다.

意識과 無意識 [ 編輯 ]

모래놀이治療 作業을 하는 理由가 바로 無意識을 意識에 統合시켜 意識의 範圍를 擴張하고 自我를 새롭게 하는 것이다. 無意識을 意識化하기 위해 象徵을 活用하는 理由는 無意識이 象徵으로 그 自身을 表現한다는 前提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常識的으로 意識은 말 그대로 우리가 認識하고 의식하는 것이다. 더 具體的으로 말하면, 自我(ego)에 對한 精神的 內容의 關係를 維持하는 機能 또는 活動을 意識이라고 하며, 意識과 無意識을 모두 包含하는 精神科는 槪念的으로 區分된다. 大極의 區分 없는, 卽 無意識과 區分 없는 意識은 存在하지 않는다(Jung, 1959/1990c, par. 178). 絨에 依하면 意識은 스스로를 만들어 내지 못하며 알 수 없는 깊은 곳, 卽 無意識에서 생겨난다. 어린 時節부터 意識은 漸進的으로 깨어나며, 全 生涯를 통해 無意識 狀態로부터 깊은 잠에서 每日 아침 깨어난다. 象徵 言語를 使用하여 表現하면, 無意識이라는 原始的 子宮에서 每日 태어나는 어린아이와도 같다. 意識은 無意識의 影響을 받을 뿐 아니라 無數히 많은 自發的인 觀念과 갑작스러운 事故의 번뜩임 形態로 無意識으로부터 끊임없이 생겨난다(Jung, 1978/1990, par. 935).

이에 비해 無意識(the unconscious)은 精神에서 의식하지 못하는 것, 卽 嚴密히 말하자면 意識이 아닌 것이다. 絨에 依하면 無意識은 모든 것의 極端的인 流動的 狀態이다. 特히 융의 個人無意識은 個人이 알고 있는 모든 것이지만 意識이 그 瞬間에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한때 意識했지만 只今은 忘却한 모든 것이다. 感覺했지만 意識的 精神이 注目하지 않는 모든 것이다. 非自發的이고 注目하지 않았던 모든 것이며, 느끼고 생각하고 記憶하고 願하고 行하는 것이다. 無意識 狀態이기 때문에 精神 안에서 模樣을 잡아가는 未來의 것이며, 언젠가 의식될 것들이다. 이 모든 것이 無意識의 內容이다(Jung, 1960/1981a, par. 382). 卽, 自我(ego)와는 知覺的으로 關聯되지 않은 모든 精神的 內容이나 過程을 包括한다. 그러나 無意識이 漸漸 意識化되어 간다고 해서 廣大한 無意識은 枯渴되지 않는다. 無意識은 單純히 알려지지 않았거나 프로이트學派의 無意識 槪念인 抑壓된 意識的 思考와 情緖의 貯藏庫가 아니라 意識化될 또는 意識化되어야 하는 內容을 包含한다(Sharp, 1991).

처음으로 無意識을 體系的으로 說明한 사람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프로이트 (Freud)이다. 勿論 그 以前부터 哲學的 觀點에서 無意識 槪念이 存在했다. 프로이트의 無意識에 對한 觀點은 意識에서 받아들이질 수 없는, 特히 幼兒的인 內容들이 抑壓되어 無意識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抑壓이 일어나는 理由는 道德的 理由로서 近親相姦 衝動 等과 같이 兒童期 때부터 父母를 비롯한 周邊의 重要한 人物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한 觀點에서 分析의 目標는 抑壓된 內容을 意識化해서 삶 속에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프로이트의 無意識 槪念은 抑壓된 內容들이 分明 制限的이고, 따라서 無意識을 모두 意識化하는 것이 可能하다고 假定할 수 있다. 그러나 융에 依하면 無意識 內容은 모두 意識化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의 無意識 槪念은 無意識의 性質이 個人이 태어나서 生成된 것만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융의 集團無意識(collective unconscious)의 槪念을 말한다. 융의 個人無意識 槪念은 프로이트의 無意識 槪念과 類似하다. 그러나 集團無意識은 個人無意識과는 區分되는, 타고난 要素들을 包含하는 人間 精神의 構造的 層이다. 융은 集團無意識에 關한 理論을 個人的 經驗에 根據해서는 說明할 수 없는 心理的 現象의 偏在性(ubiquity)으로부터 가져왔다. 要約하면, 프로이트와 융의 無意識 槪念 間의 比較와 一致하게 융의 無意識的 판타지는 두 個의 範疇로 分類된다. 첫 番째 範疇는 個人的 經驗과 關聯되어 있으며, 잊었거나 抑壓된 內容으로 個人的 經驗과 確實히 關聯되어 있다. 두 番째 範疇는 꿈을 包含한 個人的 特性을 지닌 판타지로서 個人의 過去와 還元的으로 連結되어 있는 經驗에 依해 說明될 수 없다. 따라서 個人的으로 習得된 것이 아니다.

治療者 그리고 治療者의 態度 [ 編輯 ]

다니엘 시겔(Daniel Siegel, 2007)은 治療者의 態度와 關聯하여 ‘느껴짐을 느끼는 것(feeling felt)’에 關해 言及했는데, 이는 우리가 더 큰 全體(分析心理學的으로는 自己이며 宗敎的으로는 神의 世界)의 一部分임을 느끼는 것과 關聯된 느낌으로, ‘다른 存在에게 느껴짐을 느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어머니와 아기의 關係처럼 治療者와 來談者의 關係는 治療者에게 至極히 重要한 情緖的 共鳴과 情緖的 經驗 을 하는 것이다. 시겔(1999)은 어머니와 子女 사이의 强力하고, 親密하고, 非言語的인 意思疏通을 說明하면서 “治療者에 依해 느껴짐을 느낌”이라는 表現을 使用했다. 눈 맞춤, 얼굴 表情, 목소리의 톤과 리듬, 身體 움직임, 接觸과 같은 빠르고 非意識的인 相互行動을 통해 어머니와 아기는 以上的으로 調律과 共鳴을 經驗한다.

모래놀이治療에서 共感的이고 沈默하는 모래놀이治療者의 存在 안에서 來談者는 ‘느껴짐의 느낌’을 經驗한다. 來談者가 安全하고 保護받는 空間에 있다는 心理的 ? 身體的 ? 意識的 ? 無意識的 느낌을 갖도록 하기 위해 모래놀이治療者가 ‘自身이 느껴지고 있음을 느끼는’ 經驗을 하도록 하기 위해 모래놀이治療者가 모래놀이治療 세션 中에 治療와 來談者를 向해 갖고 있어야 하는 態度는 ‘受容的, 共感的, 담아 주는, 保護하는, 돌보는, 沈默하는, 判斷的이지 않은, 指示的이지 않은, 解釋的이지 않은, 冥想的’과 같은 單語들로 要約될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重要한 것은 治療者 自身에 對한 敏感함이 必要하다. 治療者는 自身을 敏感한 道具와도 같이 來談者의 얼핏 작고 無意識的인 것까지 敏感하게 느낄 수 있도록 訓鍊 함이 必要하다. 特別히 모래놀이治療者는 優越한 知識에 對한 모든 權利와 모든 權威와 影響을 주고자 하는 欲求를 抛棄하고, 來談者의 모래場面의 意味를 결론지으려 하지 말아야 한다. 來談者에게 맞는 治癒의 길을 正確히 알고 있다고, 빨리 變化할 것으로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이는 ‘알지 못함못함’에 對한 기다림에 比喩한다. 록하트(Lockhart, 1987)는 알지 못함은 治療者를 招待하는 에로스의 瞬間이라 提示하였다. 來談者에게서 일어나는 心理過程과의 目擊者이자 同伴者로서 治療者는 來談者가 누구인지 그리고 그가 만든 모래場面의 意味가 무엇인지 理解하는 時間을 가질 準備가 必要하다(Weinberg, 2010).

모래箱子와 피겨 [ 編輯 ]

융의 理論에 根據한 모래놀이治療는 모래箱子 바닥을 파란色으로 漆하고 마른 모래箱子와 젖은 모래箱子를 使用한다. 칼프는 49.5cm * 72.5cm * 7cm 사이즈인 모래箱子를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使用했다.

모래箱子 內部는 箱子의 壁을 包含하여 파란色을 漆하고 來談者가 물을 使用할 수 있게 防水가 되어야 한다. 빈 箱子를 準備해도 有用하다. 機能的으로 모래箱子는 모래와 물 같은 自然要素들이 녹아들 수 있는 컨테이너(container), 卽 勇氣 役割을 한다. 心理的으로 自由롭고 保護받는 空間이라고 할 수 있다.

모래箱子는 精神 外的 世界와 精神 內的 世界가 함께 登場하는 空間이라고 할 수 있다. 無意識으로부터 나온 이미지를 모래箱子에 透寫하기 때문에 無意識에서 오는 이미지를 볼 수 있고, 無意識的 內容을 意識化할 수 있다. 卽, 來談者는 精神에너지를 모래箱子에 投射하여, 來談者가 모래놀이를 文字 그대로 그리고 은유적으로 來談者의 全體性에 더 가깝게 만들며, 來談者로 하여금 內面에서 統合의 感情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自然과 人間 世上에 存在하는 모든 것, 卽 世上에 存在하는 象徵的 ? 種族的 ? 宗敎的 對象物 等을 包含한 모든 象徵 模型을 선반에 準備했고, 來談者가 選擇하여 모래場面을 만들 수 있게 했으며, 그 外 自然物이나 천, 줄, 종이 等의 物件도 使用했다. 이러한 模型들은 익숙한 現象에 集團無意識을 連結하려는 精神을 表現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칼프의 理論과 經驗을 中心으로 한 모래놀이治療를 칼彼岸(Kalffian) 모래놀이治療라고 한다.

오늘날 모래놀이治療는 융分析을 工夫한 사람들뿐 아니라 精神과 醫師, 心理學者, 社會事業家 等 多樣한 分野의 사람들이 單獨으로 또는 다른 治療法과 連繫하여 使用하는 技法이 되었다. 칼프는 言語로 이루어지는 分析을 돕기 위한 이미지 만들기 作業의 하나로 모래놀이治療를 使用했으나, 現在는 모래놀이治療만으로 相談을 하기도 하고, 모래놀이治療의 補助的 方法으로 言語的 治療를 竝行하기도 하며, 그 反對의 方法으로 使用하기도 한다.

모래와 물: 自然要素들 [ 編輯 ]

모래는 地球를 形成하는 物質이며 어머니 大自然의 땅의 意味가 있다. 모래는 바위가 액체화된 것으로서 永劫의 時間이 흘러 땅에 있는 바위가 모래가 되었기 때문에 모래 한 알 한 알이 地球의 歷史를 간직하고 있다. 卽, 모래는 地球라는 行星의 本質的 要素인 원質料, 프리마 마테리아(prima materia)라고 할 수 있다.

地球의 本質的 要素 中 다른 하나는 물이다. 물에는 여러 가지 種類의 물이 있다. 그中 바다나 江은 더 깊은 無意識으로서의 물을 의미할 수 있다. 깊은 땅속과 깊은 바닷속에는 象徵的으로 寶物이 있다. 人間 精神은 이 깊은 곳의 寶物, 卽 삶의 窮極的 意味를 찾아 나선다. 이러한 땅과 하늘이 만나는 警戒 空間이 바로 모래놀이 空間이다.

이러한 모래놀이 空間에 피겨를 選擇하여 놓은 것은 모래와 물, 피겨에 精神的 意味를 投射한 것이며, 이 無意識의 보이지 않고 알려지지 않은 內容들을 눈으로 보고 理解할 수 있게 된다. 이 過程을 통해 精神의 낡고 오래되고 惰性에 젖은 部分이 죽고 새로운 部分이 誕生하여 成長하는 過程을 反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資格證 [ 編輯 ]

모래놀이治療 關聯 國家資格證은 없으나 發達再活서비스 提供人力 認證制度가 있다. 民間資格으로는 韓國모래놀이治療學會의 段階別 資格證과 韓國臨床모래놀이治療學會 모래놀이相談師 가 있다.

參考 文獻 [ 編輯 ]

  • 장미경(2017). 分析心理學的 모래놀이治療. 서울: 학지사.
  • 장미경, 이미애, 이상희, 채경선, 홍은주 (2011). 모래놀이治療 수퍼비전. 京畿: 韓國臨床모래 놀이治療學會.
  • Jaffe, A. (1962/2003). C. G. Jung의 回想, 꿈, 그리고 思想 (Erinnerungen, Traurme, Gedanken von C. G. Jung). (이부영 驛). 京畿: 집문당. 
  • Johannes, L. (2014). Reflections on the spirit of story in sandplay. Homepage of Sandplay Therapists of America.
  • Jung, C. G. (1954/1993f). The aims of psychotherapy. In C. G. Jung, Practice of psychotherapy: Essays on the psychology of the transference and other subjects (2nd ed.). CW 16. London: Routledge.
  • Jung, C. G. (1959/1990c). The psychological aspect of mother archetype. In C. G. Jung, The archetype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2nd ed.). CW 9i. Bollingen Series XX.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Jung, C. G. (1960/1981a). On the nature of psyche. In C. G. Jung,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syche (2nd ed.). CW 8. Bollingen Series XX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Jung, C. G. (1978/1990). Psychology of eastern meditation. In C. G. Jung, Psychology and the East. CW 10, 11, 13, 18. Bollingen Series XX.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Jung, C. G. (1984/2002). 原形과 無意識(Archetyp und Unbewusstes). 韓國융硏究院 C. G. 융 咀嚼 飜譯書 2卷. (韓國융硏究院 C. G. 융 咀嚼 飜譯委員會 驛). 서울: 솔出版 社.
  • Jung, C. G. (2009a). The red book: Liber novus (Shamdasani, S. ed.). W. W. Norton & Company: London & New York.
  • Jung, C. G. (2009b). The red book: Liber novus, A reader's edition (Shamdasani, S.
  • ed.). W. W. Norton & Company: London & New York.
  • Kalff, D. (1966). Symbolism and child analysis. Unpublished transcription of seminar at Footlighters' Child Guidance Clinic, Hollywood Presbyterian Hospital, Hollywood, CA.
  • Lowenfeld, M. (1935/1991). Play in childhood. London: Mac Keith Press.
  • Markell, M. J. (2002). Sand, water, silence: The embodiment of spirit: Explorations in matter and psyche. London: Jessica Kingsley Pubs.
  • Mitchell, R. R., & Friedman, H. S. (1994). Sandplay: Past, present and future.
  • London: Routledge.
  • Neumann, E. (1973). The child. Boston, MA: Shambhala.
  • Roloff, L. (2014). Reflections on the spirit of story in sadnplay. STA Website.
  • Sharp, D. (1991). C. G. Jung lexicion: A primer of terms & concepts. Toronto: Inner City Books.
  • Siegel, D. J. (1999). The developing mind: How relationships and the brain interact to shape who we ar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 Siegel, D. J. (2007). The mindful brain: Reflection and attunement in the cultivation of well-being.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nc.
  • Steinhardt, L. F. (2013). On becoming a Jungian sandplay therapist: The healing spirit of sandplay in nature and in therapy. London & Philadelphi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 Wells, H. G. (2004). Floor games: A father's account of play and its legacy of healing. Cloverdale, CA: Temenos Press.
  • Winnicott, D. W. (1971). Playing and reality. London: Tavist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