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로골로지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로골로지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로골로지 (logology)는 單語의 意味보다는 單語를 構成하는 글字들의 패턴을 重點으로 硏究하는 學問 分野를 指稱하는 말로 드물게 使用하는 用語이다. 種種 애너그램 (anagram), 回文 (回文, palindrome), 아이鉏그램 (isogram)과 같은 言語 遊戱의 一部로 硏究되기도 한다. 露骨로지를 硏究하는 사람을 로골로지스트(logologist)라고 한다.

이 用語는 1960年 代 後半 言語에 關한 多數의 冊을 쓴 드미트리 보그먼 에 依해 (적어도 어느 程度까지는)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어원 [ 編輯 ]

語源上으로는 말, 單語, 知識 等의 뜻을 가지는 그리스 單語 λ?γο?(logos)와 學問, 知識이란 뜻의 接尾辭 -λογια (-logia)가 합쳐서 된 單語이다. 그래서 로골로지는 "單語를 硏究하는 學問"이란 뜻도 되지만 "知識의 知識"이란 뜻도 된다. 事實 -λογια 接尾辭도 λ?γο?에서 派生된 單語이다. 때로는 神學 에서 로고스(Logos, 하나님의 말씀)를 硏究하는 學問 또는 敎理라는 뜻으로도 로골로지라는 單語를 使用하기도 한다.

"知識의 知識"이란 뜻으로 使用될 때에는 該當 分野에 對한 아주 仔細한 硏究나 知識이란 意味를 가진다. 例를 들어 "Dmitri is a literary logologist."란 文章의 뜻은 "드미트리는 文學에 關해서 集中的으로 硏究한다"는 뜻이 된다. [1]

옥스퍼드 英語 辭典 에 依하면 이 單語의 用例가 18世紀부터 보이지만 "로고스 敎理"란 뜻으로 두 卷의 冊 題目에서 그 用例가 發見이 될 程度로 使用 頻度가 極히 稀薄한 單語였다. 以後 19世紀와 20世紀 初까지 "單語를 硏究하는 學問"이란 뜻으로 드물게 使用되다가 1960年代 末부터 本格的으로 보그먼에 依해서 널리 大衆에 알려지고 學問의 한 分野로 確立이 되었다. 하지만 如前히 이 單語는 大部分의 辭典에 나오지 않을 程度로 生疏한 用語이고 로골로지 分野 外에서는 거의 使用되지 않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一般 主題 [ 編輯 ]

關聯 書籍 [ 編輯 ]

各州 [ 編輯 ]

  1. Langmaker: logology 項目 [1] Archived 2007年 9月 30日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