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선스 汎濫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라이선스 汎濫 ( 英語 : License proliferation )은 소프트웨어 패키지마다 라이선스를 재부여하면서 생기는 여러 弊害를 가리키는 用語이다. 種種 소프트웨어 開發者가 다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部分을 倂合할 때 發生하기도 하는데, 開發者들은 이 倂合을 行할 수 없게 된다. 그 理由는 라이선스가 서로 互換되지 않기 때문이다. 두 個의 서로 다른 라이선스 아래의 소프트웨어가 서로 混合될 수 있을 때에는 라이선스가 서로 互換됨을 의미한다. 라이선스 種類가 많아지면서 自由 또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FOSS) 開發者들이 함께 하고자 하는 소프트웨어가 利用 可能하더라도, 서로 互換되지 않는 라이선스 下에서 이루어질 可能性이 높아진다. 또한, 使用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各 라이선스에 對한 比較와 評價에 큰 費用이 들어가게 된다. 嚴密하게, 라이선스 汎濫에 同參하고 있는 人物이나 組織은 存在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問題는 소프트웨어의 出市를 위해 새로운 라이선스를 作成하는 現實的인 要求나 그러한 要求가 認識한 것에서, 또 그 問題를 解決하려고 하는 傾向에서 비롯된다.

互換되는 라이선스 [ 編輯 ]

GNU General Public License(GPL)를 管理하는 自由 소프트웨어 財團 (Free Software Foundation, FSF)은 GPL과 互換되는 라이선스의 目錄을 整理하고 있다. [1] 다른 有名한 自由 또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아파치 라이선스 (Apache License)가 存在한다. 아파치 소프트웨어 財團은 各 團體와의 論議를 거쳐 웹 사이트에서 “아파치 라이선스는 GPLv3과 互換된다. 그러나 그것은 一方的으로 되는 것이다. 卽, GPLv3 소프트웨어는 아파치 라이선스 소프트웨어를 包含할 수 있으나, 그 驛은 不可能하다는 意味이다.” [2]

空虛한 라이선스 [ 編輯 ]

空虛한 라이선스( 英語 : Vanity Licenses )는 한 企業이나 人物이 特別한 理由도 없이 만들어 낸 라이선스를 批判하는 用語이다. 自由 또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보다 더 널리 알려진 라이선스보다 確實한 改善 또는 差異點이 없는 라이선스를 만들어 낸 境遇, 該當 라이선스가 空虛하다는 批判을 하는 일이 種種 있다. 自由 또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要求를 充足하지 않고, 또한 그 要求 自體도 알지 못하며, 標準이 아닌 라이선스를 利用하는 것이 프로그램을 제3자에게 있어서 거의 意味가 없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새로 선보인 프로그램이라는 理由로 새로운 라이선스를 作成하는 이들이 2008年 時點에서 많이 存在하였다. [3]

OSI의 立場 [ 編輯 ]

Open Source Initiative(OSI)는 모든 오픈 소스 라이선스를 管理하는 立場에서 自身들을 보고 있다. 그들은 OSI 引證 라이선스 目錄을 管理하고 있다. [4] 初期에는 空虛한 라이선스를 만들고 承認을 助長하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事實 마크 셔틀 워스를 비롯한 사람들은 OSI가 새로운 라이선스를 繼續 承認하면서 라이선스 汎濫의 問題가 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OSI에 그 問題에 있어서 重大한 責任이 있다고 主張하였다. 이 主張에 對應하기 위하여 OSI는 ‘라이선스 汎濫 問題 프로젝트’를 始作하였고 [5] , ‘라이선스 汎濫 報告書’를 準備하였다. [6]

구글의 立場 [ 編輯 ]

2006年 부터 2010年 까지 구글은 라이선스 汎濫에 對해 獨自的인 立場을 取하였다. 特히 2006年 에 구글은 自社의 코드 호스팅 사이트인 구글 코드(Google Code)에서 다음의 라이선스로 許諾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만 許容하는 方針을 發表하였다. [7]

  • Apache License 2.0
  • Artistic License 와 GPL의 듀얼 라이선스
  • GNU General Public License 3.0
  • GNU General Public License 2.0
  • GNU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 MIT License
  • 새로운 BSD License
  • Mozilla Public License 1.1
  • Eclipse Public License

2008年 , 구글이 호스팅하는 프로젝트에 아파치 라이선스 또는 GPLv3을 推薦한다는 追加的인 發表를 하였다. [8] 그러나 2010年 에 이러한 嚴格한 運營에 逆行하여, 結果的으로 OSI의 立場과 同一해졌다. OSI 承認 라이선스의 프로젝트가 모든 구글 코드에서 호스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하여 APGL 等의 라이선스로 進行되는 프로젝트까지 호스트할 수 있게 되었다. [9]

FSF의 立場 [ 編輯 ]

FSF의 代表 리처드 스톨먼 과 執行委員(Executive Director) 브랜들리.M.쿤은 2000年 부터 라이선스 汎濫에 對한 主張을 해 왔다. 그들은 FSF License List를 策定하고, 소프트웨어 開發者가 만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GPL과 互換되는 無料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採擇하도록 開發者에게 勸奬하고 있다. 그러나 GPL과 互換되지 않는 여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이 目錄에 코멘트 添附 方式으로 揭載되었는데, 그들은 “該當 라이선스 下에 이미 附與된 소프트웨어의 使用 또는 動作 또는 그 雙方에 關해서는 全혀 問題가 없다. 그러나 다른 한便으로는 이 目錄의 讀者가 作成하는 소프트웨어에는 그들의 라이선스를 利用하지 않도록 勸한다.” [10]

各州 [ 編輯 ]

  1. list of the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the GPL
  2. Apache License is listed compatible with the GPLv3 but only one way
  3. "FLOSS License Proliferation: Still a problem" Archived 2012年 5月 22日 - 웨이백 머신 by David A. Wheeler
  4. OSI Approved Licenses
  5. License Proliferation Project
  6. “License Proliferation Report” . 2012年 12月 1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12月 1日에 確認함 .  
  7. Ed Burnette (2006年 11月 2日). “Google says no to license proliferation” . 2007年 2月 2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9月 11日에 確認함 .  
  8. Greg Stein (2009年 5月 28日). “Standing Against License Proliferation” . 2008年 6月 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9月 11日에 確認함 .  
  9. Chris DiBona (2010年 9月 10日). “License Evolution and Hosting Projects on Code.Google.Com” . 2010年 9月 11日에 確認함 .  
  10. Bradley M. Kuhn (2000年 8月 15日). “Various Licenses and Comments about Them” . Free Software Foundation. 37?39面. 2000年 8月 1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0年 8月 15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