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動機 附與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動機 附與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動機 (動機, 英語 : motive ) 또는 同人 (動因), 動機 附與 (動機附與) 或은 모티베이션 ( 英語 : motivation )은 어떤 目標를 志向하여 생각하고 行動하도록 하는 原因 또는 일이다.

槪要 [ 編輯 ]

動機附與(또는 同人)는 人間을 包含하여 動物이 行動하는 原因이 된다. 行動의 方向性을 定하는 要因과 그 行動의 程度를 定하는 要因으로 分類할 수 있다. 動物이 行動을 하는 境遇, 그 動物에는 어떠한 動機附與가 作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 그 行動의 程度가 어떤지에 따라 그 動機附與 크기의 差異를 생각할 수 있다.

社會的 動機附與 [ 編輯 ]

達成 動機附與 [ 編輯 ]

達成 動機附與는 評價를 隨伴하는 達成 狀況에 있어 높은 水準으로 目標를 達成하려고 하는 形態의 動機附與를 말한다. 말레이는 이 達成 動機附與를 達成 要求의 觀點으로부터 생각하여, 人間은 혼자 힘으로 높은 水準의 目標를 達成하려고 하는 欲求가 있으며 이에 따라 行動이 規定된다고 假定하고, 達成 動機에는 成功 欲求와 失敗 恐怖의 두 個의 欲求로부터 構成된다고 論했다. 또 애킨슨은 成功 欲求와 失敗 恐怖의 두가지 達成 要求 要素의 安定的 側面 뿐만이 아니라, 流動的인 周圍 狀況의 期待感이나 價値觀도 重要하다고 생각하고 成功과 失敗의 價値 및 成功과 失敗의 期待도 剛하게 影響을 준다고 論했다. 또 達成 行動에는 行動으로 發生한 結果의 原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도 剛하게 影響을 준다. 結果의 原因으로서는 能力, 努力, 問題의 困難性, 偶然性의 4가지 要素를 생각하는 것이 一般的이다. 達成 動機가 높은 사람은 內的 要因인 能力이나 努力에 原因이 歸屬한다고 생각하는 傾向이 剛한 한便으로 達成 動機가 弱한 사람은 外的 要因인 問題의 困難性이나 偶然性에 原因이 歸屬한다고 생각하는 傾向이 强하다.

自然發生的 動機附與 [ 編輯 ]

自然發生的 動機附與는 好奇心이나 關心에 依해 招來되는 動機附與 [1] 이며, 賞罰에 依存하지 않는 行動이다. 이것은 特히 知的 好奇心이 至極히 높은 幼兒期에 잘 나타나는 動機附與이다. 그러나 知的 好奇心 뿐만이 아니라, 스스로 課題를 設定하고 그것을 達成하려고 하는 狀況에 있어서는 自身이 中心이 되어 自發的으로 思考하여 問題를 解決하려는 自律性, 또 그 問題를 解決함에 따라 有能感을 얻을 수 있고 動機附與가 될 수 있다. 一般的으로 自然發生的 動機附與에 根據한 行動(예:자율학습)은 至極히 效率的인 學習이 되며 繼續的으로 實施할 수 있다. 이것을 기르기 위해서는 挑戰的, 選擇的인 狀況을 想定해 問題 解決을 시키는 것이 自然 發生的 動機附與를 發展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外部發生的 動機附與 [ 編輯 ]

外部發生的 動機附與는 義務, 上 [1] 벌, 强制 等에 依해 招來되는 動機附與이다. 自然發生的인 動機附與에 根據한 行動은 行動 그 自體가 目的이지만, 外部發生的 動機附與에 根據한 行動은 어떠한 目的을 達成하기 위한 것이다. 强制當한 外部發生的 動機附與가 가장 自發性이 낮은 典型的인 外部發生的 動機附與이지만, 自己의 價値觀이나 人生 目標와 一致하고 있는 境遇는 自律性이 높아진 外部發生的 動機附與라고 생각할 수 있다. 外部發生的 動機附與는 自然發生的 動機附與와 兩立할 수 있는 것이며, 또 自律性이 높은 外部發生的 動機附與는 自然發生的 動機附與와 거의 같은 行動을 볼 수 있다.

理論 [ 編輯 ]

켈러 [ 編輯 ]

켈러(Keller)의 學習動機, 學業 遂行 및 敎授 影響에 關한 理論은 한 個人이 어떤 課題를 解決하려는 '努力'과 實際로 行하는 '遂行', 그 遂行의 '結果'에 影響을 미치는 個人 特性 變因과 環境 變因을 統合한 巨視 理論으로 解釋될 수 있다. 影響을 미치는 個人 特性 變因과 環境 變因을 統合한 巨視 理論으로 解釋될 수 있다. 그리고 動機理論은 人間의 動機를 결정지을 수 있는 여러 가지 다양한 變因들과 그에 關聯된 具體的 槪念을 統合한 네 個의 槪念的 範疇 (注意, 關聯性, 自信感, 滿足感)를 包含하고 있다.

  1. 注意 ; 學習 動機에 있어서 첫 番째 要素는 '注意(attention)'이다. 거의 모든 學習 理論들이 學習에 있어서 注意의 重要性을 假定하고 있다. 學習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적어도 學習者가 學習 刺戟에 興味를 가지고 注意를 기울여야 한다. 學習動機가 誘發, 維持되기 위한 必須 條件으로서 學習者의 注意는 주어진 學習 刺戟에 기울어져야 하고 一旦 기울어진 主義는 維持되어야 한다. ARC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理論은 動機의 誘發과 繼續的인 維持를 위해 어떻게 學習者의 注意를 誘發시키고 維持키시는가에 關心을 두고 있는 것이다.
  2. 關聯性 ; 두 番째의 主要한 動機誘發 要素는 '關聯性(relevance)'이다. 一旦 注意가 기울여지고 나면 學習者들은 '왜 이 課題를 工夫해야 하는가'에 疑問을 갖게 되고, 學習 狀況에서 볼 수 있는 重要한 個人的 必要를 遲刻하려고 할 것이다. 個人的 必要, 卽 關聯性이 遲刻되어야만 學習動機는 繼續的으로 維持될 것이라는 것이 Keller의 家庭이다. 關聯誠意原理란 '이 課題가 나의 個人的 興味나 삶의 目的과 어떻게 關聯되는가'에 對한 肯定的인 解答을 提示하고자 하는 努力으로 解釋된다.
  3. 自信感 ; 動機誘發 및 維持를 위해서는 學習者는 學習에 재미와 必要性을 느껴야 하는데 이에 덧붙여 成功의 機會가 있다는 것을 認識할 수 있어야 한다. 卽 學習에 對한 '自信感(confidence)'乙가져야 한다. 恒常 100%의 成功이 保障되지는 않더라도 適正 水準의 挑戰感을 주면서 努力에 따라 成功할 수 있다는 自信感을 심어 주는 것이 높은 動機誘發 및 維持의 要素가 된다.
  4. 滿足感 ; ARCS理論의 네 番째 要素는 '滿足感(satisfaction)'이다. 動機의 한 要素로 滿足感이 强調되는 理由는 學習者醫努力의 結果가 그의 期待와 一致하고 學習者가 그 結果에 對하여 滿足한다면 學習動機는 繼續 維持될 것이며, 이는 學習者의 學業 修行에도 影響을 미치기 때문이다. 滿足感은 學習의 初期에 學習者의 動機를 誘發시키는 要素라기보다는 一旦 誘發된 動機를 繼續 維持시키는 役割을 하는 것으로 指摘되었다.

同人 理論 [ 編輯 ]

社會心理學 및 心理學에서 同人 理論(drive theory)은 人間의 기초적이고 主要한 동인(動因,motive)으로 自尊感 (self-esteem) 欲求에 對한 同人(motive)과 正確性(accurate)을 要求하는 또는 보다 나은 選擇(better options)을 위한 豫測에서 社會인지 (social cognition)라는 同人(motive)를 假定하고 있다. [2] [3] [4] [5] [6]

各州 [ 編輯 ]

  1. 고홍월 (2012). “大學生 學習動機 類型에 따른 學業消盡과 學業적 失敗內省의 差異” (PDF) . 《아시아敎育硏究》 13 (1): 126 . 2017年 12月 20日에 確認함 .  
  2. [참고](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ume 38, Issue 2, October 1986, Pages 230-256, Psychological sources of ambiguity avoidance,Shawn P. Curley, J.Frank Yates,Richard A Abrams DOI https://doi.org/10.1016/0749-5978(86)90018-X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074959788690018X
  3. [참고]( Human Inference: Strategies and Shortcomings of Social Judgment,Richard E. Nisbett & Lee Ross,Prentice-Hall (1980) https://philpapers.org/rec/NISHIS
  4. [참고]Social Psychology - Elliot Aronson,Timothy D. Wilson,Samuel R. Sommers ,10th , Pearson
  5. [참고](Social Cognition: From Brains to Culture - 2nd Edition Susan Fiske , Shelley E. Taylor ISBN-13: 978-1446258156 ) https://books.google.co.kr/books/about/Social_Cognition.html?id=FYth8i4Zg78C&redir_esc=y
  6. [참고](Markus, H., & Zajonc, R. B. (1985). The cognitive perspective in social psychology. In G. Lindzey & E. Aronson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3rd Ed., pp. 137-230). New York: Random House. ) https://www.scirp.org/(S(351jmbntvnsjt1aadkposzje))/reference/ReferencesPapers.aspx?ReferenceID=944050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動機 附與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

參考 文獻 [ 編輯 ]

  • 敎授, 學習 理論의 理解. 변영계 저. 학지사. 2009.
  • Motivational Design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John M. Keller. Springer.
  • 이러닝 白書 2007-2008. 編輯部 저. 韓國U러닝協會.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