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論爭 (國際政治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國際政治學에서 大論爭 (Great Debates)은 國際政治學의 發展에 큰 影響을 미친 一連의 論爭들을 일컫는다. [1] 單純히 歷史 敍述을 中心으로 이루어지던 國際政治學이 學問으로 定立된 것은 第1次 世界 大戰 以後의 일으로, 學問의 發達 方向을 놓고 이루어진 여러 論爭들이 오늘날 國際政治學의 土臺를 形成하였다.

第1次 對論爭 [ 編輯 ]

傳簡기에 있었던 第1次 對論爭은 國際政治學의 理想主義와 現實主義의 對立이었다고 한다. [2] 第1次 世界大戰 以後 國際政治學의 主 鳥類는 人間을 善하게 보고 國際社會에서 協力과 共存의 可能性을 樂觀的으로 展望하던 理想主義였으며, 이것은 우드로 윌슨 國際 聯盟 (League of Nations) 中心의 戰後 國際社會 秩序를 推進하면서 强調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反해 現實主義는 國際社會를 無政府的 狀態로 여기고 協力의 可能性에 悲觀的이었으며 힘에 根據한 國家의 生存을 主張하였다. 나치 獨逸 의 登場을 契機로 國際 聯盟 體制의 武力함이 드러나자 美國에서는 現實主義的 悲觀論이 漸次 優位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第2次 世界大戰 以後에는 理想主義와 現實主義 中 現實主義가 國際政治學의 主要 흐름으로 登場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理想主義者者과 現實主義者들의 論爭을 "大論爭"의 一部로 描寫하는 것은 事實을 糊塗하는 것이며 所謂 "大論爭"은 虛構였으나, 여러 目的에서 있는 것처럼 看做되고 있다. [3] [4]

第2次 大論爭 [ 編輯 ]

第2次 大論爭은 社會科學 全般에서 科學的 方法論을 要求하는 潮流가 나타남에 따라 國際政治學에 생긴 論爭이다. 이것은 "現實主義者 對 行態主義者 ", "傳統酒의 對 科學主義"라 불리는 論爭으로 [5] 旣存의 歷史的/解釋的 接近法 對 科學的 方法論의 다툼이었다.

第3次 大論爭 [ 編輯 ]

第3次 大論爭은 國際政治學의 패러다임 間 對決이었다. 理想主義的 視角이 다시 浮上하고, 從屬 理論 이나 世界體制論 같은 急進主義가 登場하면서 現實注意, 自由主義, 急進主義 사이의 論爭이 생겼다. [6] 現實主義, 制度注意, 構造主義 사이의 論爭이라고 表現되기도 한다. 한便, 國際政治學의 패러다임 間 論爭을 大論爭의 範疇에 包含하지 않는 學者들도 있다.

第4次 大論爭 [ 編輯 ]

第4次 大論爭은 國際政治學의 實證主義 (또는 合理主義)와 脫實證主義 (또는 省察注意)間의 論爭이었다. 위의 第3次 對論爭을 大論爭으로 包含시키지 않는 境遇, 이것이 第3次 大論爭으로 불리기도 한다. [7] 新現實主義가 代表하는 實證主義的 흐름은 科學的, 經驗的 方法을 통한 國際社會의 構造 說明을 追求한다. 이에 對抗한 脫實證主義는 認識論 敵 論爭을 觸發시켰다. 1989年 冷戰의 終熄은 國際政治學의 理論 흐름에 큰 衝擊을 가져왔으며, 實證主義와 脫實證主義를 折衷하고자 하는 構成主義의 出現으로 이어졌다.

各州 [ 編輯 ]

  1. Ken Booth, Michael Cox, Timothy Dunne. 《The eighty years' crisis: international relations 1919-1999》(1板). 1쪽. "The 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is conveniently told in a series of 'great debates'."
  2. LM Ashworth. 2002. 《Did the Realist-Idealist Great Debate Really Happen? a Revisionist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16卷. 33~51쪽.
  3. Vigneswaran, Darsha. 《International relations’ first great debate : context and tradition》. 5쪽. ISBN   0 7315 3133 7
  4. Peter Wilson. 1998. 〈The myth of the ‘First Great Debate’〉. 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24卷). 1~16쪽.
  5. Guzzini, Stefano. 1998. 《Realism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the continuing story of a death foretold》. 뉴욕: Routledge. 32쪽
  6. Ole Weaver. 〈The rise and fall of the Inter-paradigm debate〉, 《International theory: positivism and beyond》, Steve Smith, Ken Booth, Marysia Zalewski. 151쪽
  7. Y Lapid, 〈The third debate: On the prospects of international theory in a post-positivist era〉.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1989) 33. 235~25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