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短音階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短音階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短音階 (短音階, minor scale) 또는 에올리안(Aeolian)은 長音階 보다 먼저 나왔으며 音階의 하나이다. 크게 自然 短音階(natural minor scale), 華城 短音階(harmonic minor scale), 가락 短音階(melodic minor scale)로 나뉜다. 長音階 人 아이오니안 音階와는 달리 어두운 雰圍氣를 演出할 수 있긴 하지만, 無條件 어두운 雰圍氣인 것은 아니다.

種類 [ 編輯 ]

自然 短音階는 第2音과 第3音 사이, 第5音과 第6音 사이에 半音을 가지며 그 밖에는 온音으로 되는 7音의 音階를 말한다. 그리고 長音階와 마찬가지로 音階의 Ⅰ을 으뜸音, Ⅳ를 버금딸림音, Ⅴ를 딸림音이라고 한다. Ⅶ은 臨時標에 依해서 半音 높아진다.(으뜸음과 單2度의 關係에 있을 때만 이끎音이라고 한다.) [1]

華城 短音階는 自然 短音階의 Ⅶ을 臨時標로 반음 높여서 이끎音으로 한 것이다. 主로 火星에서 쓰이므로 이렇게 부른다. 華城 短音階의 Ⅵ과 Ⅶ(이끎音)은 增2度, Ⅶ과 Ⅰ(이끎音과 으뜸音)은 單2道路 되고, 다른 音階 各 陰의 音程關係는 自然短音階와 같다. [2]

가락 短音階는 自然 短音階의 第6音과 第7音을 올라갈 때에는 半音씩 올리고, 내려갈 때에는 自然短音階의 形態를 갖는 것이다. 이것은 和聲短音階에서 第6音과 第7音의 사이가 增2度이므로 가락으로서는 자연스럽지 않기 때문에 제6음도 半音을 높이고, 또 올라갈 때에는 마침(終止)의 느낌을 얻기 위해서 제7음과 第8音 사이를 半音으로 할 必要가 있어 생겼다. 아래로 내려갈 때에는 그렇게 할 必要가 없으므로 自然短音階를 그대로 쓴다. [3]

自然 短音階

{\override Score.TimeSignature #'stencil = ##f
  \relative c'' { 
    \time 7/4
    a4 b c d e f g a g f e d c b a2
  }
}
華城 短音階

{\override Score.TimeSignature #'stencil = ##f
  \relative c'' { 
    \time 7/4
    a4 b c d e f gis a gis f e d c b a2
  }
}
가락 短音階

{\override Score.TimeSignature #'stencil = ##f
  \relative c'' { 
    \time 7/4
    a4 b c d e fis gis a g! f! e d c b a2
  }
}

五度圈 [ 編輯 ]

五度圈 (The circle of fifths)은 요한 다비트 下이니헨 이 1728年에 最初로 그의 冊 Der General-bass 에서 導入했으며, 키(key)들 사이의 相對的인 音程의 距離를 說明하기 위한 手段으로 쓰여왔다. [4]

圓 안의 數字는 그 調標의 플랫/샤프의 個數를 나타낸다. 가短調(a minor)에서 始作하여, 플랫 키는 反時計方向으로, 샤프 키는 時計方向으로 進行된다. 이 原形 排置에서 異名同音 關係를 볼 수 있다. 여섯 個의 플랫/샤프가 붙으면, 單調로서는 내림마短調 / 올림라短調 가 되겠다. [4]

기타 [ 編輯 ]

  • 英文 表記 時 單調라고 無條件 小文字 를 쓰지는 않는다. (例를 들자면 가短調 의 英文 表記일 境遇 'a minor' 代身 'A minor'로 表記하는 境遇도 間或 있다.)

各州 [ 編輯 ]

  1.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 〈自然的 短音階〉
  2.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 〈和成的 短音階〉
  3.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 〈가락적 短音階〉
  4. Drabkin, William. 2001. "Circle of Fifths".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 second edition, edited by Stanley Sadie and John Tyrrell . London: Macmillan Publishers.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