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노턴 커맨더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노턴 커맨더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노턴 커맨더
原著者 존 疏箚 (John Socha)
發表日 1986年 (38年 前) ( 1986 )
最終 버전
5.51 / 1998年 7月 1日 (25年 前) ( 1998-07-01 )
運營 體制 MS-DOS
種類 파일 管理者
라이선스 常用 事由 소프트웨어
狀態 中斷

노턴 커맨더 ( Norton Commander , NC )는 開發이 中斷된 原形的인 傳統的 파일 管理者 (orthodox file manager, OFM)으로서, 존 疏箚 가 開發하고 피터 노턴 컴퓨팅 이 出市하였다. (나중에 1990年 시만텍 코퍼레이션에 引受되었음) NC는 MS-DOS 床에서 파일들을 管理하기 위한 텍스트 基盤 使用者 인터페이스 를 提供한다. 1986年부터 1998年 사이 公式的으로 製作되었다. 마지막 MS-DOS 버전의 노턴 커맨더 5.51은 1998年 7月 1日 出市되었다.

MS-DOS와 윈도우用 그래픽컬 셸人 關聯 製品 노턴 데스크톱(Norton Desktop)은 노턴 커맨더의 뒤를 이었다. 2가지 種類로 出市되었다: 노턴 데스크톱 抛 도스(Norton Desktop for DOS), 노턴 데스크톱 脯 윈도우(Norton Desktop for Windows).

背景 [ 編輯 ]

존 小車는 1984年 노턴 커맨더의 作業을 始作하였다. 當時 그는 이 프로그램을 "버추얼 도스"(Visual DOS) 또는 "VDOS"라고 불렀다. [1]

노턴 커맨더는 한 番에 2個의 파일 造作 個客體들을 일정하게 보여줄 수 있어서 使用하기 쉬웠다. 프로그램을 始作한 以後 使用者는 파일 目錄이 있는 2個의 패널을 使用한다. 各 패널은 다른 패널, 디렉터리 트리, 수많은 其他 옵션에 關한 情報를 標示하도록 쉽게 構成할 수 있다. 畵面 下段에는 노턴 커맨더가 CTRL - ALT 키들을 使用하여 要請 時 擴張되는 命令語 目錄을 標示한다. 그러므로 마우스를 많이 使用하지 않더라도(마우스 機能은 버전 3.0 즈음에 統合되었다) 使用者는 수많은 파일 造作 動作을 빠르고 效率的으로 遂行할 수 있다. 게다가 텍스트 파일 뷰어(F3 키를 통해 呼出)와 텍스트 파일 編輯機(F4 키를 통해 呼出)가 內藏되어 있다.

노턴 커맨더는 도스 時節 매우 人氣를 끌었으며 클론되기도 했다. 이를테면 IntelliJ IDE 는 노턴 커맨더와 同一한 短縮키를 使用하는 파일 操作을 遂行하였던 "커맨더" 플러그인을 包含하곤 했으나 [2] 이 플러그인은 現在 舊式이다. [3]

긴 파일 이름 [ 編輯 ]

윈도우 95 윈도우 探索機 라는 이름의 새로운 그래픽컬 셸을 包含하였고 긴 파일 이름 (LFN)을 支援하였다. 시만텍은 標準 윈도우 API 를 使用하여 긴 파일 이름을 支援하는 노턴 커맨더 5.51을 出市하였다. 리얼 모드 에서 作業하는 동안 LFN을 保存하기 위해 노턴 커맨더 5.51은 終了 後 尙州 프로그램 (TSR) 유틸리티의 使用이 要求되었다. 노턴 커맨더는 리얼 모드에서 LFN을 네이티브로 支援하지 않았으므로 該當 파일名을 잘라냈다.

斷種 [ 編輯 ]

前 피터 노턴 그룹 開發者 마크 로우리어(Mark Lowlier)에 따르면, 시만텍이 피터 노턴 컴퓨팅을 引受한 뒤 시만텍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가 成功的일 것이라 推定하였으므로 主要 PNC 資源들은 다른 部門으로 옮겨졌고 윈도우 플랫폼을 위한 새로운 프로그래머들이 雇用되었다. 엔리크 살렘 (시만텍의 CEO)은 Norton Desktop for Windows로 出市된 파일 管理者와 프로그램 管理者의 開發을 主導하게 된다.

反應 [ 編輯 ]

1989年 BYTE 는 도스用 노턴 커맨더 2.0을 BYTE 賞 가운데 "Distinction" 優勝者 가운데 하나로 選定하였으며, "(資料로) 붐비는 하드 디스크를 探索하는 일이 식은 粥 먹기"라고 言及하였다. [4]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Bezroukov, Nikolai (2005). “The History of Development of Norton Commander” . 《Softpanorama》. As John Socha recollected the events (personal communication): 'I started work on what became known as the Norton Commander in the fall of 1984 ... At the time I called it Visual DOS, with the abbreviation of VDOS instead of the usual two-letter abbreviations used at the time.'  
  2. “Commander Tool Window” . 2020年 5月 1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8月 9日에 確認함 .  
  3. “Commander” . 2018年 7月 6日에 確認함 .  
  4. “The BYTE Awards” . 《BYTE》. January 1989. 327쪽.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