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現實主義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新現實主義 (新現實主義, 英語 : neorealism ) 또는 構造的 現實注意 (構造的現實主義, 英語 : structural realism )는 케네스 왈츠 가 1979年에 發表한 著書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에 登場하는 用語이다. [1] 新自由主義와 함께 新現實主義는 國際關係에 있어 가장 影響力 있는 理論으로 손꼽히는데 두 觀點은 1980年代 外交學을 支配하는 觀點으로 손꼽힌다. [2] 新現實主義는 政治科學에 關聯된 北아메리카 國家들의 外交原則에서 觸發하였으며, E. H 카가 主張한 傳統的 現實主義의 到來를 다시 일으켰다. 現實主義者들은 一般的으로 權力 或은 國際 關係에서의 힘이 外交關係에서 가장 重要한 要因이라 主張한다.

新現實主義는 防禦的 現實主義와 攻擊的 現實主義로 나뉜다.

起源 [ 編輯 ]

20世紀의 主要 政治學者인 한스 모건소 의 著書에서 新現實主義가 出發하였는데, 古典的 現實主義란 原論的으로 國際政治의 力學이 人間의 本性에 기초하며 따라서 世界 指導者들의 自我와 感情에 左右한다고 보았다. [3] 新現實主義 政治學者들은 代身 利己主義 或은 動機가 附與된 意圖가 國際關係의 核心임을 假定한다. 케네트 월츠가 이에 對하여 著書 Man, the State, and War 에 쓰인 바 있다.

理論 [ 編輯 ]

新現實主義는 國際的 構造란 國家가 共通된 政府를 갖지 않는다는 槪念(Anarchy)에 立脚하며 한便으론 國際 構造上 몇몇 强大國의 數字에 따라 힘이 分割된다고 본다. 이때의 分割이란 한 國家가 모든 힘을 갖고 있음을 말하며 卽, 公式的인 中央權力이 國際 關係에서 存在하지 않음 或은 形式的으로나마 國際 構造上 모든 主權國家가 均一한 힘을 갖고 있음을 말한다. 이러한 敍述은 各國이 自國의 利益을 自求하게 되어 있으며 다른 國家의 利得에 屈從하지 않음을 일컫는다.

各 國家들은 最小限 어떠한 目的에도 關係 없이 生存을 明確히 하는 것을 目標로 여기게 되어 있다. 生存에 對한 갈급함은 여러 政策 或은 外交關係 等에 影響을 미치는 主要한 要素이며 그 代身 各國 政府는 他國의 干涉 에 맞서기 위해서라도 軍力을 增强하게 된다. 어떤 國家라도 第3國이 언제, 어떻게 侵略할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信賴 가 떨어지는데 때문에 各國이 相對的 前歷을 잃지 않기 위해서라도 者가 生存을 위해 努力하게 된다는 것이다. 不確實性에 기초한 信賴의 不足은 安保 딜레마라 불린다.

國家는 必要 水準에 있어서는 비슷하지만 그 需要를 充當하는 能力에는 差異가 있다. 能力 差異에 따른 여러 位置的 差異 等이 該當 能力의 分配에 影響을 끼친다. 그러나 이는 各國의 協力 與否에 制限的 要素가 되는데 제3국에 지나친 依存性을 갖게 되거나, 相對的 利得을 第3國이 얻을 수 있다는 疑懼心이 國家 間에 생기기 때문이다. 各國의 權力을 最大化하기 위한 欲求나 能力의 差異가 서로의 活動 半徑에 制限을 주게 되며 이것이 國際關係의 再均衡을 이루게 된다고 본다. 國際關係에서 均衡을 맞춰가는 데는 두 方式이 있다. 內的 그리고 外的 均衡으로 나뉘는데 內的 均衡이란 國家가 스스로 經濟力을 키우거나 軍力을 增强하는 것을 일컫는 反面 外的 均衡이란 더 剛한 國家 或은 聯合體와 聯盟함으로써 强化된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According to Sagan 2004 , 91 n.4 쪽, Waltz's book remains "the seminal text of neorealism".
  2. Powell 1994 , 313쪽.
  3. Morgenthau, Hans J.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 5th Edition, Revised. (New York: Alfred A. Knopf, 1978, pp. 4?15)

參考 文獻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 Theory Talks Interview with Kenneth Waltz, founder of neorealism (May 2011)
  • Theory Talks Interview with neorealist Robert Jervis (July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