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極樂鳥자리 알파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極樂鳥자리 알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極樂鳥자리 알파
名稱
다른 이름 α Aps, FK5 542, HD 129078, HIP 72370, HR 5470, SAO 257193. [1]
觀測 情報
(逆起點 J2000.0)
별자리 極樂鳥자리
敵境 (α) 14 h  47 m  51.71203 s [2]
赤緯 (δ) ?79° 02′ 41.1032″ [2]
겉보기等級 (m) 3.825 [1]
位置天文學
年周視差 7.30 ± 0.13 밀리秒角 [2]
性質
광도 980 L [3]
分光型 K2.5III [1]
追加 事項
表面溫度 4,256 켈빈 [3]
恒星 目錄

겉보기等級順   · 絶對等級順
거리順   · 質量順   · 半지름順

極樂鳥자리 알파 (α Apodis, α Aps)는 極樂鳥자리 에서 가장 밝은 별로 겉보기 等級 은 約 3.825이다. [3] 1603年 요한 바이어 는 星表 우라노메트리아 Apis Indica 별자리를 실었는데 여기에서 가장 밝은 별에 ‘알파’를 附與했다. [4] 알파는 緯度 ?79°에 있는 周極星 이다.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컴퍼스자리 알파 를 假想의 線으로 이은 뒤 이를 天球 南極까지 延長하면 極樂鳥자리 알파를 찾을 수 있다. [5]

極樂鳥자리 알파는 分光型 K2.5III의 巨星 으로 中心核에 있던 水素를 모두 태우고 主系列星 段階로부터 벗어나 죽어가는 中에 있다. 알파는 太陽 半徑의 48倍까지 부풀어 있으며 太陽보다 980倍 더 밝다. 알파의 鑛區 有效 溫度 는 4256켈빈으로 오렌지色 빛이 나는 K型 恒星이다. [6] 時差 資料에 따르면 알파는 地球로부터 約 447光年 떨어져 있다. [2] 同伴天體가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7]

이름 [ 編輯 ]

極樂鳥자리의 中國式 名稱은 ‘이작’( 異雀 , Yi Que , ‘異國的인 새’라는 意味임)이며 이 별자리를 構成하는 代表的인 항성으로는 極樂鳥자리 알파, 제타 , 요타 , 베타 , 감마 , 델타 , 델타1 , 에타 , 엡실론 이 있다. 알파별의 名稱은 ‘移作팔’( 異雀八 , Yi Que b? , 裏作의 여덟 番째 별)이다. [8]

各州 [ 編輯 ]

  1. “alf Aps -- Star” , 《SIMBAD》 (Centre de Donne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 2013年 1月 4日에 確認함 .  
  2. van Leeuwen, F. (2007年 11月),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 : 0708.1752 , Bibcode : 2007A&A...474..653V , doi : 10.1051/0004-6361:20078357 .  
  3. Kaler, James B., “Alpha Aps” ,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08年 12月 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1月 4日에 確認함 .  
  4. Ridpath, Ian, “Apus, the bird of paradise” , 《Ian Ridpath's Star Tales》 , 2013年 1月 4日에 確認함 .  
  5. Moore, Patrick (2000), 《Exploring the night sky with binoculars》 4板,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3쪽, ISBN   0-521-79390-4 .  
  6. “The Colour of Stars” ,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年 12月 21日, 2012年 3月 1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1月 4日에 確認함 .  
  7. Eggleton, P. P.; Tokovinin, A. A. (2008年 9月),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 : 0806.2878 , Bibcode : 2008MNRAS.389..869E , doi : 10.1111/j.1365-2966.2008.13596.x .  
  8.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育資訊網 2006 年 7 月 29 日” . 2011年 5月 2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1月 12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