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光線銃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光線銃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1970年代 日本에서 만들어진 光線銃 장난감. 방아쇠를 당기면 삐슝삐슝 소리가 나면서 끄트머리의 붉은 조각이 및난다.

光線銃 (raygun)은 SF 에 나오는 指向性 에너지 武器 다. 大部分의 境遇 銃器의 形態를 가지고 있어서 使用하면 눈에 보이는 빛줄기를 發射하고, 이 빚줄기에 사람이 맞으면 죽을 수 있다.

光線武器는 SF의 初期 歷史에서부터 登場했다. 허버트 조지 웰스 의 『 宇宙戰爭 』(1898年)에서는 “熱狂選(Heat-Ray)”, [1] 개릿 퍼트넘 서비스 의 『 에디슨의 華城 征服 』(1898年)에서는 “粉碎光線(disintegrator ray)”, 빅터 루소 엠마누엘 의 『실린더의 메시아』(1917年)에서는 “光線銃(raygun)”, [2] [3] 닉親 윌스톤 디얼리스 의 短篇 「綠色 별 이지러지다」(1925년)에서는 “ 블래스터 (blaster)”, 존 우드 캠벨 의 『 검은 별 사라지다 』(1930年)에서는 “光線透射機(ray projector)”, [4] 에드워드 엘머 스미스 의 『 발레론의 종달새 』(1934年)에서는 “바늘光線(needle ray, needler)” [5] 이라는 表現들이 各其 처음으로 登場했다.

광선총읜 SF의 黃金時代 에 雜誌 表紙에 흔하게 그려졌는데, 特히 캠벨의 『어스타운딩』地 에서 아주 흔했다. [6] 光線銃은 1940年代에 이미 클리셰 가 되었다. [7] 1960年代에 레이저 가 發明되면서 SF에서의 光線銃이라는 表現도 차츰 레이저에 代替되었다. 1970年代에 레이저의 武器로서의 可能性이 크게 떨어지는 것이 밝혀지자 “페이저(phasers)”, “펄스 라이플(pulse rifles)”, “플라스마 라이플(plasma rifles)” 等의 새로운 表現들이 생겨났다.

各州 [ 編輯 ]

  1. Van Riper, op. cit., p. 46.
  2. Peter Nicholls, John Clute, and David Langford, " Ray Gun ", The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 , 3rd edition, Jan 15, 2016.
  3. Victor Rousseau , "The Messiah of the Cylinder", serialized in Everybody's Magazine , June?September 1917 ( ISFDB link ).
  4. Jeff Prucher, Brave New Words: The Oxford Dictionary of Science Fic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page 162
  5. Winchell Chung, "Introduction to Sidearms" , Project Rho: Atomic Rockets (accessed 3 March 2016).
  6. Pontin, Mark Williams (November?December 2008). “The Alien Novelist” . 《MIT Technology Review》 (英語).  
  7. "Ray Gun" , TV Tropes (accessed 3 March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