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麗樣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高麗樣 (高麗樣) 또는 考慮風 (-風)은 高麗 後期, 元나라 에서 流行한 高麗의 여러 風習과 文物을 일컫는 用語이다. 高麗 後期 高麗는 여러 해 동안 元나라의 侵略을 받았으며 이로 因해 충렬왕 부터 공민왕 까지는 結婚 政策을 통해 平和를 維持하였다. 이때 元나라와 高麗 間에는 文物의 交流가 많았으며, 高麗에서도 處女가 宮女로 或은 蒙古 貴族의 配匹로 뽑혀 간 것이 적지 않았다. [1] 이때 元나라 皇室과 貴族, 軍人 等의 要求로 인해 結婚都監 , 寡婦處女推考別監 等이 設置되어 處女와 寡婦를 元나라로 多數 보냈다. [2] 그 中에서도 代表的인 事例가 원 惠宗 의 皇后가 된 기황후 이다. 이들로 인해 高麗의 生活 樣式이 元나라의 上流社會에 傳播된 것이 많았는데, 이것이 高麗樣이다. [1] 그 外에도 元나라에 머무르던 高麗의 世子宮, 元나라에서 벼슬을 지내던 高麗人, 高麗에서 元나라로 보낸 貢物 等으로 인해 高麗의 生活 樣式이 元나라 上流層에 퍼지게 되었다. [3]

이때 元나라로 퍼진 文物과 文化의 例示로는 當時 元나라에서 流行하던 윗옷과 아랫옷이 붙은 한 벌의 옷이 아닌 저고리 치마 를 따로 입는 衣服 樣式, 신발이나 帽子 等의 複式 文化, 饅頭 , , 여러 가지 菓子 , 生鮮국, 人蔘酒 , 상추쌈 等이 있다. [2] [4] 이러한 考慮羊의 影響으로 몽골 에서는 現在도 考慮饅頭(高麗饅頭)·考慮病(高麗餠) 等의 用語가 쓰이고 있다. [2] 高麗靑瓷 담배 等도 이 時期에 高麗에서 원으로 傳來되었다. [5]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s:國史敎本/第2篇 中古#2. 蒙古와의 關係
  2. “高麗樣” . 2023年 5月 14日에 確認함 .  
  3. “高麗樣” . 2023年 5月 14日에 確認함 .  
  4. “考慮兵科 설렁湯” . 2023年 5月 14日에 確認함 .  
  5. “考慮風과 몽골風” . 2023年 5月 14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