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게임會社 이야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게임會社 이야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게임會社 이야기 》는 이수인이 連載한 漫畫 로, 게임 關聯 會社를 다니는 사람들의 에피소드를 그리고 있다. 그 內容의 大部分이 게임 開發者 들의 哀歡을 다룬 것으로, 게임 開發者들 사이에서 共感帶를 얻으며 크고 작은 波長을 일으켰다.

歷史 [ 編輯 ]

이 웹툰은 2002年 3月부터 게임 雜誌 月刊 게이머즈 에서 連載되기 始作했다. 그러다 2004年 1月 作家가 이글루스 블로그 를 열며 過去에 連載되었던 漫畫들을 提供하기 始作했다. 그의 블로그는 2004年 8月 가장 많이 링크된 이글루스 블로그로 選定되고, 같은 해 12月에는 大韓民國 블로그 50線에 選定되며 큰 人氣를 누렸다.

그러나 2005年 1月 單行本으로의 發賣가 決定되자 出版社 側의 要請으로 블로그가 閉鎖되었다. 그리고 게이머즈 2月號에서 '꿈★에 對하여 이야기하자'라는 主題를 마지막으로 게임會社 이야기의 雜誌 連載가 終了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3月 블로그는 다시 열렸고, 같은 해 5月에 單行本 作業이 中斷되었음을 알렸다. 그러나 다시 같은 해 6月 單行本 作業 再開가 決定되며 出版社의 要請에 依해 블로그를 閉鎖하는 일이 反復되었다.

結局 2005年 11月 에이콘出版社에 依해 게임會社 이야기의 單行本이 出版되었다. 그리고 같은 달에 블로그가 다시 열렸지만, 單行本이 出刊된 以後에는 새로운 漫畫가 連載되지는 않고 있다. [1]

漫畫의 形式 [ 編輯 ]

게임會社 이야기는 典型的인 네컷 漫畫 의 形態를 取하고 있다. 月刊 雜誌인 게이머즈에 連載되면서 달마다 특정한 主題를 定하고, 7個 程度의 네 컷 漫畫를 揭載하였다.

筆名 이현기 [ 編輯 ]

게임會社 이야기가 다루는 主題는 敏感한 內容이 많아서 作家인 이수인은 冊을 發刊하고 正體를 드러낼 때까지 이현기라는 筆名을 썼었다. 이수인은 筆名 이현기를 自身이 쓰던 小說의 女主人公의 이름에서 따왔고, 그 이름으로 컬럼度 써왔다. 하지만 그는 同名의 게임 디자이너 人 이현기가 있다는 것은 몰랐고, 게임 디자이너인 이현기를 아는 사람은 게임會社 이야기의 連載者를 그로 誤解했다.

以後 이수인이 自身의 正體를 드러내자 誤解는 모두 풀렸고, 이수인은 그間의 誤解로 생긴 일을 謝過했다. [2]

이런저런 事實 [ 編輯 ]

  • IMC 게임즈의 김학규 는 인터넷 上에서 neolith라는 아이디를 쓰는데, 한番은 그가 게임會社 이야기 블로그에 댓글 을 남긴 적이 있었다. 그 內容은 'ㅎㅎ 나 왔다 간다'였는데, 김학규는 게임會社 이야기의 作家를 自身이 아는 게임 디자이너 이현기로 誤解한 것이다. [3]
  • 게임開發者들의 여러 가지 失敗 事例를 羅列하는 部分에서 '株式을 많이 가진 사람이 王이 되는 資本主義 시스템을 잘 理解하지 못해 會社를 빼앗긴다거나'라는 대목이 있는데, 이것은 라그나로크 온라인 의 開發者 김학규 가 게임을 完成한 後 投資者에게 會社를 빼앗긴 일을 두고 쓴 글이라는 말이 있다.

參照 [ 編輯 ]

  1. “게임會社 이야기 블로그” . 2007年 6月 2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7年 6月 28日에 確認함 .  
  2. 게임會社 이야기 作家 이수인 님 Archived 2007年 9月 28日 - 웨이백 머신 - 디스이즈게임
  3. “게임會社 이야기 作家 이수인 님” . 2007年 9月 2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7年 6月 28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