草案 : 엄재수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엄재수

Eom Jae-su

出生 陰曆 1963年 12月 16日 (60歲)
職位 全羅北道無形文化財 10-4號 扇子匠
學歷 원광대 卒業
立像 2008年 第7回 韓國 옻漆工藝大戰 銅像

2009年 第34回 傳承工藝大展 入選

戰勝 문영득 → 문준하 → 엄주원 → 엄재수
家族 아들(履修者) 엄창석

1. 紹介 [ 編輯 ]

大韓民國의 扇子匠 [1] . 全羅北道 無形文化財 10-4號 ' 扇子匠 ' 取得者로, 全州 負債博物館 館長 [2] 이기도 하다. 先代에 이어 家系 繼承으로는 2代째, 技術 傳承의 系譜를 올라가면 故 문영득 扇子匠으로부터 4代째 일을 이어나가고 있다.


2. 生涯 [ 編輯 ]

엄재수 扇子匠은 스승이자 아버지인 故 엄주원 扇子匠의 아들이자 戰勝者로서, 現在의 全羅北道無形文化財 指定者이기도 하다. 本來는 圓光大學校 電子工學科를 卒業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以後 故鄕인 全州로 돌아와 家業을 繼承했다.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의 負債 만드는 일을 돕고, 材料를 求하고 展示를 準備하는 일을 거들었다. 大學 입學年度人 83年度부터 負債 겉대 [3] 에 烙竹 [4] 하는 것을 배워 일을 始作했으며, 正式으로 師事하고 繼承을 覺悟한 것은 89年이다. 最初로 無形文化財 指定을 받은 것은 97年이며, 現在의 全羅北道無形文化財 10-4號 '扇子匠'으로 指定된 것은 2012年 8月의 일이다. [5]

以後 朝鮮時代의 合竹扇 [6] 들을 復元하려 애썼으며, 故 엄주원 扇子匠의 遺品 中에서 옛 負債들에 關聯된 朝鮮 末期의 遺物 展示會 圖錄과 復元 作業을 위한 材料들을 發見하게 된다. 倉庫 구석에서도 비슷한 時期에 소의 다리뼈 두 가마니, 물소의 뿔 한 가마니, 그리고 代母 數十 張을 찾아내어 復元技術의 習得을 위한 材料의 準備를 마쳤다. [7]

德分에 朝鮮時代때부터 使用되었던, 兩班의 奢侈品으로서의 負債가 가지는 樣式과 胎를 再現하는 境遇가 잦은 便이다. 漆接線은 엄재수 扇子匠의 復元 以前에 製作 事例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8] 日帝强占期 以後 抑壓받아 消失된, 固有의 優雅하고 사치스러운 材料가 總動員되었던 겉대의 治粧들을 大部分 復元하여 攄得하고 있으며, 그가 이렇게 再現한 負債는 大輪扇 [9] , 五十살百接線, 斑竹扇 [10] , 우각選 [11] , 代母選 [12] , 竹皮選 [13] , 나電線 [14] , 漆接線 [15] 等이 있다. [16] 以外에도 어피선 [17] 等의 새로운 材料를 使用한 治粧 技法 亦是 開發해냈으며, 2024年度에는 겉대에 桶으로 象牙를 올려 붙여 깎은 象牙先導 製作해내기에 이른다.


3. 作品 特徵 [ 編輯 ]

엄재수 扇子匠은 每年 새로운 컨셉으로 展示會를 연다. 端午節 前後이며, 現場에서 願하는 負債를 購入할 수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形成, 使用者들의 趣向을 聚合하여 反映하고 있다. [18] 準作品 以上의 負債를 買入한 사람은 엄창석 履修者가 이끄는 傳統 合竹/漆接線 愛好家 同好會인 '햇살선자방'에 加入할 수 있으며, 販賣된 모든 準作品 以上 負債는 買入者를 帳簿에 記錄하여 引證한다. 또한 모든 作品 負債는 겉대 안쪽에 製作年度에 基盤한 一連番號가 表記되어있다.

大體的으로 女性스럽고 端雅한 曲線의 아름다움이 두드러지는 作品을 만드는 便이다. 모든 作品에는 銀私服, 銀고리, 黃漆이나 香漆 等의 高級 材料를 使用하며 옻漆하여 자개 裝飾을 붙인 箱子와 全州의 다른 매듭 作家가 協業韓 線追加 包含된다. 또한 全代 扇子匠의 骨董品이나 마찬가지인 오래된 品目에도 修理와 線面紙 交替 等의 서비스를 提供하며, 自身의 物件 亦是 後에 傳授者가 맡아줄 것임을 保證한다.

作品 種類는 크게 合竹扇, 漆接線, 합죽漆扇으로 나뉘며 그 안에서 겉대 種類에 따라 細分化된다. 겉대 種類는 代母, 우각, 魚皮, 반죽, 竹皮 等이 있으며, 드물게 우각 끝에 代母를 붙인다거나, 물소의 검은 우각과 韓牛의 하얀 우각을 이어붙이는 式의 複合材料 治粧도 보인다. 先頭 [19] 의 才質도 가장 高級으로는 象牙부터, 우각이나 먹감나무, 霹棗木까지 다양하게 使用한다. [20]

使用者가 願하는 대로 注文製作이 可能하다. [21]

遺物이나 옛 圖錄에 存在하지 않는 方式의 負債도 製作한다. 創作의 領域인 셈. 說明한 黑角에 代母를 이어붙인 겉대 治粧이나, 黑角과 白각을 이어붙인 겉대 治粧 等이 있다. 또한 遺物을 그대로 레플리카해서 諸賢韓 遺物再現作 亦是 展示, 販賣한 履歷이 있으며 [22] , 겉대에 阿膠와 옻漆을 개어 바르는 現代的인 技法을 使用, 패턴을 그려넣은 膠漆先導 存在한다. [23] 또한 現代的인 色感의 옻漆을 導入하여 만든 부채들 또한 存在한다. [24]

主로 날개를 어긋나게 펼치고 있는 박쥐 烙竹 印章을 찍으며, 孟宗竹의 겉대 治粧 時 烙竹의 빼곡함 自體는 김동식 扇子匠 對備 느슨한 便이다. 엄주원 扇子匠 時節 一部 使用한 것으로 確認된 學 烙竹이 負債 實物로는 銃 서너點 假量 남아있는데, 該當 烙竹은 最小 35센티미터 以上의 大型 負債를 위한 烙竹으로 一般的인 30센티미터 假量의 부채에는 찍지 못한다고 把握되었다.


4. 기타 [ 編輯 ]

엄재수 扇子匠이 運營하는 全州韓屋마을 부채博物館은 博物館임과 同時에 作品 負債의 展示 및 販賣를 擔當하는 미선工藝士이기도 하다. 全羅北道 전주시 완산구 千經路 37에 位置해 있다. 負債는 大體로 손氣物이고, 8割은 만들 때 完成되지만 2割은 '손때를 올려' 完成한다고 하는 만큼 個人의 趣向이 重要하다. [25]




  1. 全州工藝品展示館. “全州工藝品展示館” . 2024年 4月 29日에 確認함 .  
  2. “全州韓屋마을 負債博物館” . 2024年 4月 29日에 確認함 .  
  3. 부채의 兩 끝段. 邊죽이라고도 한다.
  4. 인두를 불로 달구어 그것으로 대나무를 그을려 그림이나 패턴을 새기는 傳統技法. 關聯 無形文化財로는 이新入 烙竹腸 等이 있다.
  5. 全州工藝品展示館. “全州工藝品展示館” . 2024年 4月 29日에 確認함 .  
  6. 대나무의 겉껍질을 兩쪽으로 붙여 속살 하나를 만드는 부채. 때문에 合竹(合竹)하였다고 하며, 속살이 합죽이 아니라면 合竹扇이라 이를 수 없다.
  7. 全州工藝品展示館. “全州工藝品展示館” . 2024年 4月 29日에 確認함 .  
  8. “엄재수 先支障 "접부채 새로운 方向 提示 作業 " . 2017年 6月 1日 . 2024年 5月 8日에 確認함 .  
  9. 부채살이 한 바퀴 돌아 '바퀴' 模樣을 만드는 부채.
  10. 斑點이 있는 얼룩무늬 대나무를 겉대로 삼아 治粧하는 負債. 昭詳반죽, 豹범반죽, 全州반죽, 그리고 任意로 겉대에 斑點을 만들어 使用하는 人造반죽 따위가 있다.
  11. 소의 뿔 따위를 겉대에 말아싸기하여 治粧하는 負債. 普通 검은 것은 물소의 뿔이며, 새하얀 것은 韓牛의 뿔이다. 물소보다 韓牛의 뿔이 大體로 짧기에 貴하다.
  12. 바다거북의 등껍데기. 大體로 滅種危機種인 매부리바다거북의 등껍데기를 이르는 말이지만, 푸른바다거북의 등껍데기가 쓰이는 일도 있다. 前者가 더 貴하다.
  13. 대나무의 겉껍질을 얇게 켜서 겉대에 말아싸 붙인 治粧을 한 負債.
  14. 겉대에 傳統 螺鈿 技法을 붙이고 옻漆을 올린 負債.
  15. 合竹扇과 달리 대나무 속臺에 옻漆을 올려 속살로 삼은 負債.
  16. “負債博物館-햇살갤러리” . 2024年 4月 29日에 確認함 .  
  17. 상어나 가오리 따위의 껍질을 말려 겉대에 말아싸기하여 붙인 治粧의 負債. 宏壯히 단단하고 딱딱하며 거칠다.
  18. “全州負債文化館, 엄재수 扇子匠 招待展 ‘七 接線과 合竹扇 그리고 疏通’” . 2024年 5月 8日에 確認함 .  
  19. 부채의 손잡이가 되는 뒷部分. 이곳을 여러 材質로 만든다.
  20. “關聯 뉴스 記事” .  
  21. 인터넷新聞, 全北日報 (2020年 6月 2日). “扇子匠 엄재수가 건넨 60點의 負債” . 2024年 5月 8日에 確認함 .  
  22. “엄재수 扇子匠 朝鮮末期 合竹扇 漆接線과의 再會 試圖.” . 2018年 5月 31日 . 2024年 5月 8日에 確認함 .  
  23. 인터넷新聞, 全北日報 (2018年 6月 10日). “全州負債文化館, 扇子匠 엄재수 招待展 13日까지…조선말기 合竹扇·漆接線의 정갈한 멋 中 參考寫眞 <반죽합죽교칠선> 參照.” . 2024年 5月 8日에 確認함 .  
  24. “젊은 感覺으로 새롭게 태어난 엄재수 扇子匠의 新作을 만나다” . 2019年 5月 20日 . 2024年 5月 8日에 確認함 .  
  25. “엄재수 扇子匠 傳統에 趣向을 더하다” . 2020年 6月 2日 . 2024年 5月 8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