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진일遺稿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진일遺稿

진일遺稿
(眞逸遺稿)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寶物
種目 寶物 第1466號
( 2006年 4月 28日 指定)
數量 4卷 1冊
時代 朝鮮時代
所有 계명대학교
位置
진일유고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진일유고
진일遺稿
진일遺稿(大韓民國)
住所 大邱廣域市 達西區  達句伐대로 1095,
東山圖書館 (신당동,계명대학교聖書캠퍼스)
座標 北緯 35° 51′ 32.4″ 東京 128° 29′ 1.1″  /  北緯 35.859000° 東京 128.483639°  / 35.859000; 128.483639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진일遺稿 (眞逸遺稿)는 朝鮮 初 左正言(左正言)을 歷任한 진일재(眞逸齋) 星間(成侃 : 1427-1456)의 詩文集이다. 2006年 4月 28日 大韓民國의 寶物 第1466號로 指定되었다. [1]

槪要 [ 編輯 ]

『진일遺稿』는 朝鮮 初 左正言(左正言)을 歷任한 진일재(眞逸齋) 星間(成侃 : 1427-1456)의 詩文集으로, 이 冊은 그가 죽은 뒤에 兄인 吏曹判書 成任(成任)李 글을 모으고 大提學을 歷任한 그의 동생 成俔 (成俔)이 編輯하여 世祖 13年( 1467年 )에 木版으로 刊行한 初刊本이다.

文集의 內容은 卷頭에 서거정 (徐居正)이 쓴 序文과 동생 成俔(成俔)이 지은 著者의 行長이 收錄되어 있고, 卷1-3은 時(詩)가 收錄되어 있으며 卷4에는 部(賦)·西(序)·氣(記)·설(說)·서후(書後)·前(傳)·前(箋) 等 散文 13篇이 收錄되어 있다. 卷末에는 그의 親舊인 이승소(李承召)가 1458年 에 쓴 跋文이 있다.

特히 이 文集에는 그와 交遊한 강희맹 (姜希孟)·김수온(金守溫)·김수녕(金壽寧)· 노사신 (盧思愼)· 서거정 (徐居正)·이승소(李承召)· 임원준 (任元濬)·異派(李坡) 等과 같은 當代의 名士들과 주고받은 글이 多數 收錄되어 있어 朝鮮 初期 文人들의 文學과 思想의 硏究에 重要한 資料가 된다. 朝鮮初期에 刊行된 몇 種 안 되는 文集으로 朝鮮初期 文學과 書誌學 硏究에 貴重한 資料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文化財廳考試制2006-40號,《國家指定文化財(寶物) 指定》, 文化財廳長, 大韓民國 官報 第16244號, 2006-04-28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