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朝鮮의 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朝鮮의 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朝鮮의 별 〉은 日帝强占期 1928年 10月에 是認 김혁 金日成 을 위한 詩를 짓고 여기에 曲調까지 붙인 노래이다.

10代 時節부터 지린 에서 共産主義 靑年 運動에 뛰어든 金日成에게는 김혁 차광수 等의 同志가 있었다. 이들은 當時 金聖柱라는 本名을 使用하던 金日成을 '恨別'이라고 부르면서 指導者로 擁立하였고, 김일성에 對한 欽慕의 마음을 表現한 이 노래를 創作하고 널리 普及하기로 했다. 이때 김일성은 自身을 별에 비기고 노래까지 짓는다며 同僚들을 꾸짖었다.

"朝鮮의 밤하늘에 새별이 솟아/ 三千里 江山을 밝게도 비치네"로 始作되는 家事는 짓밟힌 朝鮮에도 東이 트리라는 希望的인 內容을 담고 있다. 어두운 朝鮮의 밤하늘에 빛나는 별과 같은 김일성을 中心으로 團結하고 높이 받들면서 革命에 바친 마음 變徵말자는 다짐이 主題이다. 日帝에 對해서는 "奸惡한 强盜 日帝"라고 表現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에서는 '不滅의 革命頌歌'로 불리면서 受領形象創造 藝術의 萌芽的 形態이자 革命頌歌라는 장르의 시원으로서 높이 評價한다. 雄壯하면서도 素朴한 藝術的 成就와 더불어, 人民이 김일성에게 사랑과 尊敬을 담아 바친 첫 노래라는 點과 守令決死擁衛 精神의 結晶體라는 點이 높은 評價를 받게 하는 要素이다. 首領의 革命活動이 開始되는 이른 時期에 受領形象創造 作品이 거의 同時에 出現한 것은 世界史的으로 類例가 없다는 點도 强調된다. [1]

1980年代 에 김일성을 主人公으로 한 同名의 映畫로도 製作되었다. 이 映畫는 〈朝鮮의 별〉이 처음 만들어지고 普及된 1920年代 後半부터 1930年代까지가 時代的 背景이며 김혁, 차광수, 서정애 , 박도범 等 當時의 同志들이 登場한다.

參考資料 [ 編輯 ]

  • 金日成 (1992). 〈第1部 抗日革命便, 4張 새로운 進路를 探索하던 나날에 - 6. 革命詩人 김혁〉. 《世紀와 더불어》. 平壤: 조선로동당出版社.  
  • 이명자 (2005年 8月 30日). “完全한 社會主義의 理想 <朝鮮의 별> - 事實과 虛構의 警戒 그리고 結合”. 컬처뉴스.  

各州 [ 編輯 ]

  1. “革命頌歌 <朝鮮의 별>”. 朝鮮中央通信. 2002年 1月 16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