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벅스 버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벅스 버니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벅스 버니
情報

벅스 버니 (Bugs Bunny)는 後날 워너 브로스 카툰즈 로 使命을 變更한 레온 슐레징거 프로덕션이 1940年代에 製作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이다. 오리지널 시리즈의 성우는 멜 블랭크 가 맡았다. [1] 벅스는 워너 브로스의 애니메이션 短篇 映畫 인 과 메리 멜로디 시리즈와 루니 툰 시리즈를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美國 애니메이션의 黃金期 를 거치면서 벅스 버니는 美國의 文化的 象徵 으로 자리잡았고 워너 브로스 의 公式 마스코트가 되었다. [2]

벅스는 灰色 토끼 擬人化 하였으며 無事太平하고 건방진 性格을 附與 받았다. 말套는 뉴욕의 브루클린 方言을 使用하고, 西洋의 여러 神話와 傳說에 나오는 장난꾸러기인 트릭스터 로서 行動한다. 有名한 臺詞로는 "음, 뭔일이셔?"("Eh... What's up, doc?")李 있다. 워너 브로스는 비슷한 토끼 캐릭터를 1930年代부터 製作하여 오면서 벅스 버니의 캐릭터를 開發하였다. 1940年 텍스 에이버리 가 벅스의 목소리를 演技한 《 어 와일드 헤어 》로 오스카 賞 候補에 올랐다. [3]

벅스는 以後 텔레비젼 시리즈, 音盤, 비디오 게임, 漫畫冊 等 다양한 媒體에 登場하였다. [4] 헐리우드 名譽의 거리 에 벅스 버니를 위한 별이 設置되었다. [5]

開發 [ 編輯 ]

《엘머의 眞率한 카메라》에 登場한 벅스 버니와 엘머 퍼드

週刊誌 《선데이》에 벅스 버니를 最初로 連載하였고 첫 單行本을 發刊한 美國의 漫畫家 체이스 크레이그 는 "벅스는 한 名이 主導하여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대여섯 名의 監督과 作家들이 協力하여 製作한 캐릭터였다. 그 當時엔 이러 저러한 개그와 스토리를 여러 그룹에서 提案하고 그것을 스토리 모임에서 決定하는 方式으로 製作되었다."라고 回顧하였다. [6] 벅스 以前에도 레온 슐레징거 프로덕션은 1937年 作인 《포키의 오리 사냥》의 後續篇 格으로 《포키의 토끼 사냥》(Porky's hare Hunt, 1938年)을 發表하면서 사냥꾼 포키 피그를 놀리는 怜悧한 토끼 캐릭터를 선보인 바 있다. [7] [8]

워너 브로스의 代表的인 애니메이터 가운데 하나였던 척 존스 는 1939年 短篇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프레스트-오 체인지-오》(Prest-O Change-O)에서 보이지 않는 캐릭터인 魔法師 샴푸(Sham-Fu)의 愛玩動物인 토끼를 등장시킨다. 當時 토끼는 個 보다 큰 덩치에 점잖고 똑똑하며 목청껏 웃지만 比較的 조용한 캐릭터였다. [9]

프로덕션에서 세 番째로 선 보인 토끼는 1939年의 《토끼야 무섭니》(Hare-um Scare-um)에 登場한 灰色 토끼로 《포키의 토끼 사냥》을 監督한 달턴과 하더웨이가 다시 監督을 맡았다. 이 애니메이션에서 토끼는 獨自的인 重要 役割을 맡는 캐릭터가 되었다. 《토끼야 무섭니》의 首席 애니메이터 찰리 소르슨 은 하더웨이에게 건낸 원貨 보드에 토끼의 이름을 "벅스 버니"라고 적어 놓았다. [8] [10]

소르슨은 스토리 擔當 首席이었던 테드 피어스 에게 보나 나은 토끼의 디자인을 要請하였다. 소르슨은 디즈니 에서 일하던 1936年 《거북이 土匪의 歸還》(Toby Tortoise Returns)을 製作하면서 맥스 헤어라는 이름의 토끼 캐릭터를 만들었던 經驗이 있었다. 그는 여섯 가지 다른 모델을 하더웨이에게 보여주고 무엇이 더 좋은 지 고르라고 하였다. 소르슨의 토끼는 "典型的인 털북숭이 토끼"를 나타낸 것이었다. 긴 목에 平平한 얼굴을 하고 있었으며 눈은 컸고 掌匣을 낀 손가락은 세 個였다. 이 디자인은 여러 모로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影響을 받은 것이었다. [9]

1940年 존스는 《엘머의 眞率한 카메라》를 만들면서 토끼를 등장시켰다. 이 애니메에션에서 토끼는 오늘날 벅스 버니 모습에 한層 더 가까워졌고, 벅스 버니의 宿敵 엘머 퍼드 와 대면하게 된다. 當時의 엘머 퍼드 亦是 오늘날의 디자인과는 다른 모습이었다.

데뷔 [ 編輯 ]

1939年 《포키의 토끼 사냥》李 벅스 버니와 같은 性格의 토끼를 登場 시킨 애니메이션이었다면, 1940年 《 어 와일드 헤어 》는 벅스 버니가 公式的으로 登場한 첫 애니메이션이었다. 監督은 텍스 에이버리 가 맡았고 1940年 7月 27日 上映되었다. [3] [11] 《어 와일드 헤어》에 登場하는 벅스 버니와 엘머 퍼드는 밥 기븐스 가 다시 디자인하였고 멍청한 사냥꾼과 그를 괴롭히는 怜悧한 토끼라는 典型的인 이야기 틀을 갖추었다. 벅스 버니의 성우는 멜 블랭크 가 맡았는데 "뭔일이셔?"("What's up, doc?")이란 大使는 流行語가 되었다. [12] 어 와일드 헤어 》는 커다란 成功을 거두었고 아카데미 賞 의 短篇 애니메이션 候補로 올랐다. [13]

1941年 척 존스는 《 엘머의 愛玩 토끼 》(Elmer's Pet Rabbit)를 製作하여 토끼를 主人公으로 삼았다. 애니메이션의 題目 카드에 "벅스 버니 出演"이라는 文句가 揷入되었고 이로서 벅스 버니의 이름이 스크린에 오르게 되었다. 그러나 토끼의 디자인은 《엘머의 眞率한 카메라》의 것을 使用하였고 聲優 亦是 달랐다. 《엘머의 愛玩 토끼》以後로는 멜 블랭크가 목소리를 맡고 《어 와일드 헤어》의 디자인을 使用한 벅스 버니만이 製作되었다.

프리츠 프렐렝 李 監督한 1941年의 《 히아와타의 토끼 사냥 》(Hiawatha's Rabbit Hunt)은 다시 한 番 아카데미 賞 候補로 올랐지만 [14] 受賞을 하진 못하였다.

시리즈 [ 編輯 ]

벅스 버니는 워너 브로스의 短篇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製作되고 上映되었다. 메리 멜로디 [15] 시리즈에서 出發한 워너 브로스의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컬러로 製作되는 루니 툰 으로 이어졌다. 벅스 버니는 오늘날에도 루니 툰의 代表的인 캐릭터이다. [16]

擔當聲優 [ 編輯 ]

1940年에서 1989年까지는 멜 블랭크 가 벅스 버니를 演技했다. 블랭크의 事後 제프 버그만 , 빌리 웨스트 , 그레그 버슨 이 벅스 버니 役을 맡았으며 1990年代 以後에는 조 알라스키 가 主로 맡았으나 루니 툰 - 벅스 버니와 待避 德 以後 다시 제프 버그만이 擔當하기 始作했다. 베이비 루니툰 에서는 사무엘 빈센트가 벅스 버니를 演技했다. 韓國語版은 大部分의 作品에서 강수진 이, 《루니 툰 카툰》에서는 정재헌 이 擔當하였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Mel Blanc” . Behind the Voice Actors . 2013年 2月 5日에 確認함 .  
  2. “Bugs Bunny: The Trickster, American Style” . 《Weekend Edition Sunday》. NPR. 2008年 1月 6日 . 2011年 4月 10日에 確認함 .  
  3. Adamson, Joe (1990). Bugs Bunny: 50 Years and Only One Grey Hare. Henry Holt. ISBN   0-8050-1855-7 .
  4. “Most Portrayed Character in Film” . 《 Guinness World Records 》. May 2011. 2012年 2月 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5. “Bugs Bunny” . Hollywood Chamber of Commerce . 2012年 6月 28日에 確認함 .  
  6. Chase Craig recollections of "Michael Maltese," Chase Craig Collection, CSUN
  7. “bp2.blogger.com” . 2020年 3月 2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1月 20日에 確認함 .  
  8. Bugs Bunny'&#39” . 《Encyclopædia Britannica》. Britannica.com . 2009年 9月 20日에 確認함 .  
  9. Barrier (2003), p. 359-362
  10. Barrier, Michael (2003-11-06). Hollywood Cartoons: American Animation in Its Golden Age. United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p. 672. ISBN   978-0-19-516729-0 .
  11. Barrier, Michael (2003), Hollywood Cartoons: American Animation in Its Golden Age ,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6729-0
  12. Adamson, Joe (1975). 《Tex Avery: King of Cartoons》. 뉴욕 : Da Capo Press. ISBN   0-306-80248-1 .  
  13. “1940 academy awards” . 2007年 9月 20日에 確認함 .  
  14. “1941 academy awards” . 2013年 2月 10日에 確認함 .  
  15. “Warner Bros. : Merrie Melodies” . 2012年 12月 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1月 20日에 確認함 .  
  16. “Looney tunes official site” . 2018年 1月 2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1月 20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