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겐지모노가타리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겐지모노가타리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겐지모노가타리
源氏物語
12世紀 頃 두루마리에 記錄된 겐지모노가타리
著者 무라사키 시키부
나라 일본의 기 日本
言語 中古 日本語
장르 모노가타리
發行日 1008年
土沙 미츠오키 가 그린 《겐지모노가타리 畫帖》에서의 〈와카무라사키(若紫)〉.키우던 참새를 놓쳐버린 어린 時節의 무라사키노우에와 시바街키에서 틈 사이로 바라보는 겐지.

겐지모노가타리 》( 日本語 : 源氏物語 )는 日本 헤이안 時代 中期에 成立한 日本 모노가타리 界 長篇이야기이자 小說이다. 文獻으로 처음 나온 게 1008年 ( 間코 5年)이다. 作家는 무라사키 시키부 이며, 그女 生涯 唯一한 모노가타리 作品이다. 主人公인 히카루 겐지 를 통해 戀愛, 榮光과 沒落, 政治的 欲望, 權力鬪爭 等 헤이안 時代 貴族社會를 그렸다.

下級 貴族 出身인 무라사키 시키부 는 20代 後半에 후지와라노 노부타카 와 結婚해 1女를 두었으나, 結婚 後 3年만에 男便과 死別하면서 現實을 잊기 위해 이야기를 쓰기 始作했다. 이것이 《겐지모노가타리》 始作이다. 當時에는 종이가 貴했기 때문에 종이 提供者가 있으면 그때마다 쓰고, 同僚끼리 서로 批評하는 等 즐거워했다. 그 이야기 評判에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의 딸인 仲弓 후지와라노 쇼視(아키코) 의 家庭敎師로 무라사키 시키부 를 불렀다. 이를 契機로 宮中에 들어간 무라사키 시키부는 宮에서 勤務하며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支援 아래 이야기를 繼續 썼고, 54첩 《겐지모노가타리》를 完成했다.

土沙 미츠오키 가 그린 《겐지모노가타리 畫帖》에서의 〈餓死가오(朝顔)〉. 눈 내리는 場面. 邸宅 안에 있는 것은 겐지와 무라사키노우에
무라사키 시키부

또한, 겐지모노가타리는 文獻이 처음 나온지 約 150年 만인 헤이안 時代 末期에, 〈 겐지모노가타리 에마키 〉로 會話化되었다. 現存하는 에마키 中, 도쿠가와 美術館 고토 美術館 所藏品은 國寶로 指定되어있다. 또, 現在 《겐지모노가타리》는 日本 뿐아니라, 20個 言語 以上의 飜譯을 통해, 世界 各國에서 읽히고 있다.

題目 [ 編輯 ]

古寫本은 題目이 적혀 있지 않은 것도 많고, 記錄되어 있는 境遇에도 內容은 다양하다. 《겐지모노가타리》의 境遇에는 冊子의 標題로써 《겐지모노가타리》 乃至 그에 該當하는 이야기 全體의 標題가 적혀 있는 境遇보다 各各의 첩名이 적혀 있는 境遇가 적지 않다. 이러한 經緯로 보아, 現在 一般的으로 《겐지모노가타리》라고 불리는 이 이야기가 쓰여질 當時의 題目이 무엇이었는지는 分明치 않다. 옛 寫本이나 註釋書 等의 文獻에 나와 있는 名稱은 크게 다음과 같은 系統으로 나뉜다.

  • 「源氏の物語」, 「光源氏の物語」, 「光る源氏の物語」, 「光源氏」, 「源氏」「源氏の君」 等으로 하는 系統
  • 「紫の物語」, 「紫のゆかり」, 「紫のゆかりの物語」 等으로 하는 系統

이들은 모두 겐지(源氏 (光源氏) 또는 무라사키노우에(紫の上)라는 主人公의 이름을 그대로 이야기 題目으로 한 것이어서 이야기의 固有한 名稱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執筆 時 著者가 명명했다면 이처럼 다양한 題目이 생겨날 것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이들이 作者에 依한 것이 아닐 可能性이 높다고 본다.

무라사키 시키부 日記 』, 『 사라시나 日記 』, 『 미즈街카미 』 等, 이 이야기의 成立 時期에 가까운 主要 文獻에 《겐지모노가타리》라고 되어 있는 點 等으로 말미암아, 이야기의 成立 初期부터 이 이름으로 불렸다고 생각되지만, 作家의 一般的인 通稱인 「무라사키 시키부」가 《겐지모노가타리》 (=《무라사키老모노가타리》)의 作者라는 데서 由來한다면, 그 바탕이 된 《무라사키老모노가타리》나 《무라사키老유카리老모노가타리》라는 名稱은 相當히 이른 時期부터 存在했을 것으로 보이며, 「겐지(源氏)」를 標題로 내세운 題目보다 오래되었다는 見解도 있다. 《무라사키老모노가타리》라고 부르는 境遇에는, 現在의 《겐지모노가타리》 54첩 全體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 와카무라사키 (若紫)」를 비롯한 무라사키노우에가 登場하는 卷 (이른바 《무라사키노우에모노가타리》)만을 指稱한다는 說도 있다.

카카이쇼 (河海抄)』 等의 高傳承에는 「源氏の物語」라고 불리는 이야기가 여러 個 存在하고, 그 中에서 가장 뛰어난 것이 「光源氏物語」라고 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現在 《겐지모노가타리》라고 불리는 이야기 以外의 《겐지모노가타리》의 存在를 確認할 수 없기 때문에, 이케다 키칸 等은 이 全勝을 다루기에 不足한 奇怪한 설에 不過하다며, 事實이 아니라고 밝혔다. 이에 對해 와츠地 테츠로 는 現在의 《겐지모노가타리》에는 讀者들에게 現在 알려지지 않은 히카루 겐지에 對한 某種의 周知의 이야기가 存在하는 것을 前提로 처음 理解할 수 있는 部分이 存在한다며, "이것은 갑자기 척척 해야할 설이 아닐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 「原語 (源語/げんご)」, 「諮問 (紫文/しぶん)」, 「自社 (紫史/しし)」 等의 漢字語風 名稱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이들은 漢語의 影響을 받은 것으로, 그다지 오래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이케다 에 依하면, 그 使用은 에도 時代 를 거슬러 올라가지 않는다고 여겼다.

評價 [ 編輯 ]

헤이안 時代 中期 11世紀 初에 成立된 長篇 小說(모노가타리, 物語)이다. ≪겐지 모노가타리(源氏物語)≫는 오랫동안 特定한 名稱 없이 ≪源氏の物語≫, ≪光源氏物語≫, ≪紫の物語≫, ≪光源氏≫, ≪源氏≫, ≪源語≫, ≪紫文≫ 等으로 불려 오다가, 오늘날에는 一般的으로 ≪源氏物語≫라는 署名으로 불리게 되었다. 全體 54卷으로 나뉘어 있으며 200字 原稿紙 5000枚가 넘는 世界 最高(最古), 最長(最長)의 古典 小說로 緻密한 構成과 人間의 心理 描寫, 表現의 精巧함과 美意識 等으로 日本 文學思想 最高 傑作으로 評價된다.

當時의 典型的인 이야기가 普通 ‘옛날에 男子가 있었다’라고 始作되는 것과는 달리, ≪겐지 모노가타리≫는 ‘어느 天皇의 治世 때였는지’라는 獨創的인 序頭로 始作된다. 作品 全體는 400餘 名의 登場人物과 基리쓰步 (桐?), 스字쿠 (朱雀), 레이제이 (冷泉), 金賞(今上)에 이르는 4代 天皇에 걸친 70餘 年間의 이야기로, 히카루겐지(光源氏, 以下 겐지)라고 하는 主人公의 非現實的이라 할 만큼 理想的인 一生과 그 後孫인 가오루(?)와 니오미야(?宮) 等의 人間關係를 그리고 있다. 또한 本文은 수많은 電氣(?奇)的 火刑(話型)과 함께 795首의 와카(和歌)가 散在되어 있어 緊張感 있는 文體를 이루고 있다. [1]

登場 人物 [ 編輯 ]

第1部·第2部의 主人公. 基리쓰步 天皇과 基리쓰步 坑의 사이의 아들로 天皇의 第2皇太子. 神的 降下하여 겐지 姓을 받는다. 아내는 아오이노 우에, 온나산노미야이며 事實上의 正室夫人은 무라사키노우에이다. 아들로는 遺棄리(어머니는 아오이노우에),레제인(어머니는 후지쓰步 仲弓, 公式上은 基리쓰步 天皇의 아이), 아카시 仲弓(긴調 天皇의 仲弓.어머니는 아카시老幾微). 그外 養女로는 아키코勞務 仲弓(레이제이 天皇의 後宮이자 로쿠조노 美야스도코로의 딸) 法的인 아들인 가오루(가시와기와 온나산노미야의 아이)이 있다.
  • 基리쓰步 天皇
히카루 겐지의 아버지. 寵愛했던 基리쓰步 갱意義 아들 겐지의 將來를 위해 그를 臣下의 身分을 만들었다. 基리쓰步 天皇의 막내아이라고 알려진 레이제이 天皇은 사실 겐지의 아들이다.
  • 基리쓰步 갱의
基리쓰步 天皇의 後宮. 天皇의 寵愛를 한몸에 받았지만 그로 인해 다른 後宮들의 嫉妬와 猜忌를 샀고, 마음의 病을 얻어 겐지가 세 살 때 夭折한다.
  • 후지쓰步 仲弓
先皇의 皇女. 基리쓰보노 갱義를 빼닮은 外貌 때문에 後宮이 되었으나 겐지와 密通해 레이제이를 낳는다.
  • 아오이노우에
태정官의 딸로 겐지의 첫 番째 正室夫人로 겐지보다 年上이다. 오랫동안 夫婦 사이가 和睦하지 않았지만 回臨하여 有機里를 낳는다. 로쿠조노 美야스도코로에게 怨恨을 사 生靈에게 憑依되어 죽는다.
  • 逃奴秋曹 (內大臣)
태정官의 아들이며 아오이노우에의 同腹兄弟. 겐지의 親舊이자 라이벌로 戀愛·昇進等에서 恒常 겐지에 앞선다.
  • 로쿠조노 美야스도코로
前東宮(基리쓰步 天皇의 兄)의 美야스도코로(후궁)이자 겐지의 愛人. 겐지에게 剛한 執着을 보이고 그의 冷淡함을 怨望하여 아오이노 우에를 죽이기에 이른다. 前男便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딸은 後에 겐지의 養女가 되어 레이第二의 後宮에 들어가, 아키요시 中宮이 된다. 겐지는 美야스도코로의 事後, 그 邸宅을 물려받아 壯大하게 改築한다. (로쿠鳥人의 名稱은 여기에서 나왔다.).
  • 무라사키노우에
후지쓰步 中宮의 조카딸. 少女 時節부터 겐지에게 養育되었고 아오이노우에가 죽은 後 事實上의 情實이 된다. 겐지와의 사이에 아이가 없어 아카시 中宮을 養女로 삼는다. 온나산노미야와 겐지의 結婚으로 人生無常을 느낀게 된다.
  • 아카시老幾微
겐지의 愛人이며 아카시 中宮을 낳는다. 本意 아니게 딸을 무라사키노우에의 養女로 보내지만, 入宮後 다시 만나 그女의 後見人이 된다.
  • 스에쓰무하나
히타치노미야의 딸. 겐지의 愛人이 되지만, 甚하게 야윈데다가 길고 붉은 코를 가진 추녀. 作品 中 가장 보기 凶하게 그려져 있다.

  • 온나山노미야
겐지의 異服兄 스쟈쿠인의 第3皇女로 겐지의 조카딸이다. 스쟈쿠인의 바램도 있어 겐지 晩年의 두 番째 情實이 된다. 柔弱한 性格으로 가시와기와 情을 통하여 가오루를 낳는다.
  • 가시와機
內大臣의 長男. 겐지와 結婚한 온나산노미야와 密通한다. 以後 事實이 드러날 것을 두려워하다가 그 걱정으로 인하여 病死한다.
  • 遺棄리
겐지의 長男. 어머니는 아오이노우에. 2살 年上의 四寸인 內大臣의 딸인 구모이노 카리를 아내로 맞는다. 가시와期의 未亡人인 오치바노미야를 사랑하게 되어 억지로 제2부인으로 맞는다.

  • 가오루
第3部의 主人公. 겐지(親父는 가시와機)와 온나산노미야의 아이. 先天的으로 몸에서 좋은 香氣가 나서 가오루라는 別名을 얻었다. 우지에 사는 하치노미야의 長女 오이幾微를 사랑했고, 그女의 죽음 後에는 우키後네를 思慕하게 된다.
  • 니오노미야
긴調 天皇과 아카시 中宮의 아들. 第3 皇太子라는 身分을 내세워 放蕩하게 生活한다. 가오루에 對한 競爭心으로 香에 熱中하였기 때문에 니오노미야라고 불린다. 우지에 사는 하치노미야의 딸 나카노幾微를 周圍의 反對를 무릅쓰고 아내로 삼지만 아내의 異腹女同生人 우키후네에게도 關心을 나타보여 가오루의 執着을 알면서도 빼앗는다.
  • 우키後네
오이기미와 나카노기미의 異腹女同生. 가오루와 니오노미야와 사이에서 苦悶하다가 自殺을 試圖하지만 요코와의 僧侶에게 救助받는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본 文書에는 知識乙만드는지식 에서 CC-BY-SA 3.0 으로 配布한 冊 紹介글 中 "겐지 모노가타리" 의 紹介글을 基礎로 作成된 內容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外部 링크 [ 編輯 ]

|아랫글= |아랫글模樣= text-align:center; }}</onlyincl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