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케일링 때문에 亡했다? 齒科 治療에 關한 잘못된 情報|週刊東亞

週刊東亞 1184

..

덴틀 헬스

스케일링 때문에 亡했다? 齒科 治療에 關한 잘못된 情報

  • 강지남 記者

    layra@donga.com

    入力 2019-04-15 11: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shutterstock]

    [shutterstock]

    많은 사람이 아프고 비싸다며 齒科 治療를 두려워한다. 그래서 齒科에 가는 代身 關聯 情報를 인터넷에서 찾아본다. 하지만 인터넷에 올라온 齒科 治療 情報 中에는 잘못된 것이 대단히 많다. 잘못된 情報에 依存해 齒牙를 管理할 境遇 深刻한 副作用을 겪을 수 있다. 인터넷에서 擧論되는 잘못된 齒科 治療 情報의 代表的 例를 살펴본다.

    [shutterstock]

    [shutterstock]

    Q 스케일링을 하면 齒牙 사이가 벌어진다?

    齒솔질로도 除去되지 않은 微細한 飮食 찌꺼기는 단단하게 굳어 治石이 된다. 齒石은 잇몸 炎症, 卽 ‘齒周炎’을 일으킨다. 齒周炎이 생기면 잇몸 속에 있는 잇몸뼈가 漸漸 녹아 없어진다. 그러면 잇몸이 漸漸 내려앉아 齒牙 사이에 空間이 생긴다. 그런데 이 空間은 繼續 쌓이는 齒石으로 가려져 있다. 스케일링으로 齒石이 除去되면 그제야 齒牙 사이의 빈 空間이 드러난다. ‘스케일링으로 멀쩡하던 내 齒牙들이 다 벌어졌다’는 誤解는 이렇게 해서 생긴다. 齒牙 사이가 벌어진 原因은 스케일링이 아니라 齒周炎이다. 齒牙 사이에 空間이 드러나더라도 齒石은 除去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잇몸뼈가 繼續해서 녹아 없어지다 終局엔 이를 뽑아야 하는 地境에 이를 수 있다.

    Q 於此彼 빠질 誘致, 蟲齒 治療하지 않아도 된다?

    生後 6個月부터 나기 始作하는 誘致(乳齒)는 初等學校 高學年이 될 때까지 維持된다. 乳齒는 永久齒보다 蟲齒가 잘 생기고 進行도 빠르다. 많은 父母가 乳齒는 於此彼 빠질 齒牙라 굳이 治療할 必要가 없고, 많이 썩으면 뽑아버리면 된다고 여긴다. 하지만 乳齒에 蟲齒가 甚하면 아래에서 자라고 있는 永久齒에도 蟲齒가 옮는다. 또 蟲齒 때문에 일찍 誘致를 뽑으면 먼저 난 永久齒들이 誘致가 뽑혀 나간 빈 空間으로 쓰러져 齒列이 흐트러진다. 誘致의 蟲齒도 初期에 治療해 誘致를 本來의 壽命만큼 써야 한다.

    Q 齒牙 矯正은 成長期에만 할 수 있다?

    成人이 되면 齒牙 矯正 治療를 할 수 없다고 지레斟酌해 抛棄하는 境遇가 있다. 勿論 뼈의 成長 發育이 活潑한 靑少年期에 齒牙 矯正 效果가 가장 뛰어난 것은 事實이다. 하지만 뼈의 生長 反應은 平生 나타나기 때문에 얼마든지 齒牙 矯正을 할 수 있다. 實際로 美容 目的으로 齒牙 矯正을 하는 30, 40臺가 크게 늘고 있다. 다만 齒周 疾患이 甚하면 矯正 治療가 制限될 수 있다.

    도움말 : 고광욱 파주 유디치과의원 대표원장

    도움말 : 고광욱 坡州 유디치과議員 代表院長





    유디치과는… 

    國內 最大 規模의 齒科 브랜드. 1992年 開院 以來 半값 임플란트, 0원 스케일링 等 ‘門턱 없는 齒科’를 만들고자 努力해왔다. 유디치과의 全國 120餘 個 病·議員, 300餘 名의 醫療陣은 임플란트, 턱關節治療, 齒牙矯正, 補綴治療 等 專門的인 齒科 治療를 施行하고 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